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한국지리여행)설악산 일원의 하천은 무엇을 따라 형성되었는가 대승폭포의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했던 요인 두 가지는 외 8문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한국지리여행)설악산 일원의 하천은 무엇을 따라 형성되었는가 대승폭포의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했던 요인 두 가지는 외 8문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설악산 일원의 하천은 무엇을 따라 형성되었는가? (3점)
①정답 ②설명

2. 대승폭포의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했던 요인 두 가지는? (3점)
①정답 ②설명

3. 폭호로 흘러들어 온 자갈들이 와류를 따라 내부를 빙글빙글 돌면서 암반을 갈아내어 폭호를 점차 넓고 깊게 만드는 현상은? (3점)
①정답 ②설명.

4. 작은 폭포가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하도의 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3점)
①정답 ②설명

5. 사태로 밀려온 토석이 하도를 막아서 형성된 못 또는 호수를 의미하는 것은? (3점)
①정답 ②설명

6. 구하도가 형성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3점)
①정답 ②설명

7. 동강의 형성에 영향을 준 요인을 3개 이상 나열하시오. (3점)
①정답 ②설명

8. 베트남 하롱베이의 탑처럼 우뚝 솟아있는 석회암 지형을 무엇이라 하는가? (3점)
①정답 ②설명

9. 습지를 판별하는 기준으로 중요한 두 가지는? (3점)
①정답 ②설명

10. 습지는 우리 몸의 어떤 장기와 가장 유사한 기능을 하는가? (3점)
①정답 ②설명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라고 한다. 하천과 만나는 석회암 절벽 아랫부분은 활발한 용식작용을 받는다. 아랫부분이 침식되면 윗부분은 불안정해지고 마 침내 무너져 내려 험준한 절벽이 유지된다. 한편, 뾰족한 봉우리나 날카로운 능선에는 비가 내리면 바로 흘러내려서 물과 접촉할 기간이 짧기 때문에 용식작용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첨봉(尖峯)과 날선 능선이 유지되는 이유다. 이러한 현상은 열대 지역의 탑카르스트(타워 카르스트, tower karst)와 유사하다. 베트남 할롱만이나 중국 계림에는 탑처럼 우뚝 솟아 있는 석회암 지형을 탑카르스트라고 부른다(그림 2. 9). 정상부에는 빗방울이 떨어지더라도 바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용식작용이 약하다. 반면에 탑카르스트 아랫부분은 축축하거나 물이 고여 있어 용식이 활발하게 일어나 급한 경사를 이루게 된다. 탑카르스트의 중턱 여기저기에 동 굴의 흔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과거의 지하수위를 지시하는 경우가 많다. 지반의 융기가 일어난 경우에도 가능하지만, 카르스트 지대가 용식으로써 지표면이 낮아져도이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 동강의 석회암 절벽에서도 중턱에 동굴이 관찰된다(40-42쪽).
9. 습지를 판별하는 기준으로 중요한 두 가지는? (3점)
①정답
수심과 수몰 기간
②설명
연중 최소 2주 이상 주기적으로 물에 잠기는 곳, 그리고 계속 물에 잠겨 있더라도 수심이 얕은 곳을 습지라고 한다. 수심과 수몰 기간(水沒期間, hydro-periods)이 습지 판별 기준으로서 중요하다. 물에 잠겨 있거나 배수가 불량한 곳에는 흙에 산소가 잘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습윤토양(濕潤土壤, hydric soil)이 나타나고, 수몰 환경(水沒 環境)을 잘 견뎌내는 동식물이 분포한다. 호소나 바다에서 어느 깊이까지를 습지로 간주할 것인가는 지역 사정에 따라 차이가 있다. 많이 인용되는 기준을 소개하면, 캐나다에서는 수심 2m 까지 담수습지(淡水濕地)로 간주한다(57쪽).
10. 습지는 우리 몸의 어떤 장기와 가장 유사한 기능을 하는가? (3점)
①정답
콩팥
②설명
습지는 육상생태계와 수중생태계를 연결하는 고리다. 서로 다른 두 환경을 이어 주는 인터페이스(interface)에 비유되기도 한다. 지표 위를 흐르던 물은 연안에 자리 잡은 습지를 거쳐 하천이나 호수로 서서히 유입한다. 지표수에 실려온 토사나 고형 물질은 습지에 대부분 퇴적되고 유기물이나 오폐수는 이곳에 자생하는 생물이 분해하여 먹이로 사용한다.이 과정은 탁월한 수질 정화 기능을 발휘한다. 하천의 물이 범람원으로 유입할 때 범람원에서 빽빽하게 자라는 식생이 유속을 떨어뜨려 토사와 그 밖의 부유 물질을 퇴적시킨다. 예를 들면, 갈대나 부들이 자라는 습지에서는 최대 95% 정도의 부유 물질이 가라앉는다. 우리 몸의 콩팥은 노폐물을 제거하고 체액을 조절 하는 등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습지를 ‘자연의 콩팥(the kidneys of the landscape)’ 이라고 부른다(58-59쪽).
11. 참고문헌
한국지리여행, 유근배,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2.28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2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