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센병과 근대의료
2. 제국주의적·인종주의적 관점
3. 소록도와 그 후 음성나환자촌
4. 현대 사회의 신종 전염병의 시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한센병과 근대의료
2. 제국주의적·인종주의적 관점
3. 소록도와 그 후 음성나환자촌
4. 현대 사회의 신종 전염병의 시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주하는 한센인들은 그 후로도 오랫동안 해방되지 못했다. 당시 우리 사회에서는 그들을 국가의 일원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이 머물 곳은 차가운 길거리의 부랑자로 살아가거나 아니면 또다시 갈 수밖에 없는 격리시설이었다고 한다.
5. 현대 사회의 신종 전염병의 시대
현대 사회에서 병균을 중심에 두고 세상을 바라보면 병균은 사회 어디에나, 세상 어디에나, 건강한 사람에게도 존재할 수 있다. 병균이 존재하는 \'사람의 삶\'이 되었고, 그런 삶에서 병균만 제거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고 믿는다. 그러나 이런 맥락에서 병균에 대한 집착으로 가득한 보건·의료제도에서는 그 누구든 감염병 환자로 격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염인을 사회적 위험 요소로 여기며 그들의 시민권을 박탈할뿐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관계조차 끊어내 종국에는 사회적으로 배제시키는 구조는 한센인과 에이즈감염인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코로나19 팬데믹 떼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들에 대하여 국가와 우리 사회가 보인 태도와 반응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양한 질명에 대한 감염인을 사회의 위험 요소로 격하시키고 조롱하고 비난하며 시민의 권리를 침해하고 빼앗고 관계를 단절시키는 일이 반복되고 있지만 누구도 반성하지 않는다. 우리 사회에서 한센인이 살아온 역사를 통해 사회의 안전과 보건의료가 공공선이라는 명목하에 성찰 없이 같은 시민을 병균의 매개체로 격하시켜 매도하고 사회에서 배제하려는 태도와 인식을에 대래 우리는 반성하고 옳은 방향을 찾아야 할 것이다.
Ⅲ. 결론
한센병에 감연된 환자들에 대해 오랫동안 돌봄과 치료를 받고 회복해야 하는 존재이자, 비정상적인 대상으로 낙인찍혀 차별받고 배제해야 하는 존재로 인식되고 취급당했다. 오랫동안 한센병 환장에 대해 환자를 위험한 대상으로 낙인찍어 사회적으로 배제하고 격리해왔다. 더 안타까웠던 것은 한세녕 환자 대부분이 그로 인한 고통 속에서도 저항하지 못했던 점이다. 만약 저항하더라도 그로 인한 결과가 너무 참담했기 때문에 저항은 꿈도 꾸지 못했던 것이다. 광복 이후에도 우리나라는 하나의 독립된 국가였지만 소록도에서는 일제 강점기와 다를 게 하나도 없는 상황 그대로였다. 그리고 소록도에 거주하는 한센인들은 그 후로도 오랫동안 해방되지 못했다. 당시 우리 사회에서는 그들을 국가의 일원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이 머물 곳은 차가운 길거리의 부랑자로 살아가거나 아니면 또다시 갈 수밖에 없는 격리시설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에 코로나19 팬데믹 떼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들에 대하여 국가와 우리 사회가 보인 태도와 반응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양한 질명에 대한 감염인을 사회의 위험 요소로 격하시키고 조롱하고 비난하며 시민의 권리를 침해하고 빼앗고 관계를 단절시키는 일이 반복되고 있지만 누구도 반성하지 않는다. 우리가 이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올바른 인식과 그런 인식을 실천하는 올바른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사회적인 공론화가 필요하다.
Ⅳ. 참고문헌
김재형(2021), 『질병, 낙인: 무균사회의 욕망과 한센인의 강제격리』, 돌베개.
5. 현대 사회의 신종 전염병의 시대
현대 사회에서 병균을 중심에 두고 세상을 바라보면 병균은 사회 어디에나, 세상 어디에나, 건강한 사람에게도 존재할 수 있다. 병균이 존재하는 \'사람의 삶\'이 되었고, 그런 삶에서 병균만 제거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고 믿는다. 그러나 이런 맥락에서 병균에 대한 집착으로 가득한 보건·의료제도에서는 그 누구든 감염병 환자로 격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염인을 사회적 위험 요소로 여기며 그들의 시민권을 박탈할뿐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관계조차 끊어내 종국에는 사회적으로 배제시키는 구조는 한센인과 에이즈감염인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코로나19 팬데믹 떼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들에 대하여 국가와 우리 사회가 보인 태도와 반응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양한 질명에 대한 감염인을 사회의 위험 요소로 격하시키고 조롱하고 비난하며 시민의 권리를 침해하고 빼앗고 관계를 단절시키는 일이 반복되고 있지만 누구도 반성하지 않는다. 우리 사회에서 한센인이 살아온 역사를 통해 사회의 안전과 보건의료가 공공선이라는 명목하에 성찰 없이 같은 시민을 병균의 매개체로 격하시켜 매도하고 사회에서 배제하려는 태도와 인식을에 대래 우리는 반성하고 옳은 방향을 찾아야 할 것이다.
Ⅲ. 결론
한센병에 감연된 환자들에 대해 오랫동안 돌봄과 치료를 받고 회복해야 하는 존재이자, 비정상적인 대상으로 낙인찍혀 차별받고 배제해야 하는 존재로 인식되고 취급당했다. 오랫동안 한센병 환장에 대해 환자를 위험한 대상으로 낙인찍어 사회적으로 배제하고 격리해왔다. 더 안타까웠던 것은 한세녕 환자 대부분이 그로 인한 고통 속에서도 저항하지 못했던 점이다. 만약 저항하더라도 그로 인한 결과가 너무 참담했기 때문에 저항은 꿈도 꾸지 못했던 것이다. 광복 이후에도 우리나라는 하나의 독립된 국가였지만 소록도에서는 일제 강점기와 다를 게 하나도 없는 상황 그대로였다. 그리고 소록도에 거주하는 한센인들은 그 후로도 오랫동안 해방되지 못했다. 당시 우리 사회에서는 그들을 국가의 일원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이 머물 곳은 차가운 길거리의 부랑자로 살아가거나 아니면 또다시 갈 수밖에 없는 격리시설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에 코로나19 팬데믹 떼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들에 대하여 국가와 우리 사회가 보인 태도와 반응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양한 질명에 대한 감염인을 사회의 위험 요소로 격하시키고 조롱하고 비난하며 시민의 권리를 침해하고 빼앗고 관계를 단절시키는 일이 반복되고 있지만 누구도 반성하지 않는다. 우리가 이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올바른 인식과 그런 인식을 실천하는 올바른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사회적인 공론화가 필요하다.
Ⅳ. 참고문헌
김재형(2021), 『질병, 낙인: 무균사회의 욕망과 한센인의 강제격리』, 돌베개.
추천자료
사회문제론]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사회문제 현상, 그 원인과 과정, 그리고 해결 방안 ...
[사회문제론 4학년] 다음 추천도서 중 한 권 이상을 읽고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사회문...
사회문제론]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사회문제 현상, 그 원인과 과정, 그리고 해결 방안 ...
사회문제론]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사회문제 현상 그 원인과 과정, 해결 방안 대안 [질...
[2022 사회문제론][출처표기] 다음 추천도서 중 한 권 이상을 읽고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다양...
사회문제론 2022] 다음 추천도서 중 한 권 이상을 읽고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사회문제...
사회문제론 2022] 다음 추천도서 중 한 권 이상을 읽고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사회문제...
사회문제론 ) 다음 추천도서 중 한 권 이상을 읽고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사회문제 현...
방송통신대_사회문제론_다음 추천도서 중 한 권 이상을 읽고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사...
방송통신대_사회문제론_다음 추천도서 중 한 권 이상을 읽고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