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식물의학A)식물병 저항성의 종류와 식물체의 방어기작을 식물체-병원체의 상호작용과 연결하여 설명하라 해충방제의 경제적 개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식물의학A)식물병 저항성의 종류와 식물체의 방어기작을 식물체-병원체의 상호작용과 연결하여 설명하라 해충방제의 경제적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식물병 저항성의 종류와 식물체의 방어기작을 식물체-병원체의 상호작용과 연결하여 설명하라. (24점)
2-A(학번끝자리 홀수번). 해충방제의 경제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시오. (6점)

Ⅰ. 서론
Ⅱ. 본론
1. 식물병 저항성의 종류와 식물체의 방어기작을 식물체-병원체의 상호작용과 연결하여 설명하라.
1) 병원체와 기주의 상호작용
2) 식물병 저항성의 종류
①진정저항성(수직저항성) ②포장저항성(수평저항성) ③침입저항성
④감염저항성 ⑤확대(진전) 저항성 ⑥면역성(비기주저항성) ⑦내병성
3) 식물체의 방어기작
(1) 정적 저항성(기존 저항성)
① 정적 물리적 저항성(기존 구조적 방어)
② 정적 화학적 저항성(기존 화학적 방어)
(2) 동적(능동적) 저항성
①형태학적 방어반응(유도된 구조적 방어)
가. 기주세포벽막의 형태변화와 저항성
나. 원형질의 형태변화와 과민감반응 저항성
② 화학적 방어반응
가. 페놀성 성분 나. 파이토알렉신

2-A(학번끝자리 홀수번). 해충방제의 경제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시오.
1)해충의 발생유형
① 잠재해충(potential pest) ② 간헐해충(occasional pest)
③ 수시해충(frequent pest) ④ 상시해충(constant pest)
2) 해충의 요방제수준
3) 해충방제의 종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곤충이 해충으로 변하는 요건은 개체군의 평균밀도 증가 또는 개체군의 분산 정도에 달려 있다. 따라서 해충 개체군 관리의 목표는 전자에 있어서 평균밀도를 저하시키고, 후자에 대해서는 개체군의 변동폭을 작게 하는 것이다.
① 잠재해충(potential pest)
2차 해충(secondary pest)으로도 불린다. 가해는 하나 그 발생밀도가 항상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 이하이므로 방제비보다 피해액이 적어 방제를 실시하는 것이 오히려 손해가 되므로 방제대상이 되지 않는 해충이다.
② 간헐해충(occasional pest)
돌발해충이라고도 한다. 해충밀도가 가끔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을 넘는데, 이때에 한하여 방제수단이 강구된다. 간헐해충의 출현은 잠재해충이 이상기후나 경종방법의 변화에 의하여 급격히 해충밀도가 증가하는 경우와 농약의 과용과 오용에 의하여 생태계 내의 균형이 파괴되어 잠재해충의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이다. 또한 멸강나방이나 갈색여치처럼 국내에 침입한 해충이 천적이 없어서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기도 한다. 또한 외래해충인 꽃매미,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은 침입초기에 천적 및 적당한 방제약제가 없어서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③ 수시해충(frequent pest)
관건해충(key pest)으로도 불린다. 일반평형밀도가 경제적 피해수준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어서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는 빈도가 잦아 경계가 필요한 해충이다. 이러한 해충은 해충밀도가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에 이르지 못하도록 방제시기나 방제횟수를 연구하여야 한다. 고추에 발생하는 목화진딧물처럼 매년 자주 방제하는 해충이 여기에 속한다.
④ 상시해충(constant pest)
일반평형밀도가 경제적 피해수준 이상에서 형성되어 가장 피해가 심한 해충으로 해충 발생과 동시에 피해를 받는다. 피해정도가 가장 높고 항상 문제가 되는 해충이므로, 발생예찰을 통하여 해충 출현 시 철저한 방제수단을 강구하여 일반평형밀도를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 이하로 변화시켜 변형된 일반평형밀도(modified equilibrium position, MEP)로 유지해야 한다. 과일의 문제해충인 복숭아심식나방과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가 여기에 속한다.
2) 해충의 요방제수준
해충이 발생이 곧 방제대상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발생량(또는 발생정도)에 따라 방제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방제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을 요방제수준(control threshold, CT)이라고 하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정한 기준을 활용하고 있다. 벼 해충인 혹명나방의 경우 요방제수준이 유수분화기의 피해엽률 25%로 되어 있는데, 이는 벼의 유수분화기의 피해엽률이 25% 이하이면 방제하지 않고, 25% 이상일 때에는 방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흑다리긴노린재의 경우 8월 중하순에 주당 약충 0.5마리 이상이면 방제해야 하고, 0.5마리 이하이면 방제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3) 해충방제의 종류
방제란 예방과 구제의 합성어로, 예방은 발생의 억제나 피해의 회피이고 구제는 발생 후의 조치를 말한다. 해충방제를 흔히 사용하는 재료나 방법을 중심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법적 방제(legal control)란, 국가의 명령에 의한 방제로 동식물의 철저한 검역(quarantine)이나 문제해충의 박멸작업이 행정력을 동원하여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재배적 방제(cultural control)는 저항성 품종의 활용, 윤작, 기피식물 재배, 경운·이앙(이식) 이나 수확시기의 변경, 시비, 잔류물의 제거 등을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기계적물리적 방제(mechanical and physical control)는 손으로 파괴, 인위적인 방어망 설치, 간단한 채집기구를 이용한 서식집단 제거( 미국흰불나방 유충 초기) 등이 있고, 물리적 방제는 온도, 습도, 광선으로 유인·치사시킴으로써 밀도를 억제하는 것이고,
화학적 방제(chemical control)는 합성살충제를 이용한 해충밀도 억제와 불임제 및 곤 충성장조절제를 이용한 방제이다. 생물적 방제(biological control)는 포식성 또는 기생성 천적을 이용하는 방법과 곤충 병원 미생물을 방제수단으로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말한다.
행동적 방제(behavioral control)는 성페로몬과 같이 곤충의 행동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말하며, 유전적 방제(genetic control)는 비정상적인 유전형질을 야외 개체군에 유입시켜 차세대 개체군의 밀도를 억제시키는 것을 말한다. 끝으로 종합적 해충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는 여러 가지 방제수단을 조화롭게 이용하는 것으로, 해충을 죽여 없애는 것이 아니라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말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 식물병 저항성의 종류와 식물체의 방어기작을 식물체-병원체의 상호작용과 연결하여 설명하고, 해충방제의 경제적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론에서 논의된 식물병 저항성의 다양한 형태와 식물체의 방어기작은 식물이 환경 내에서 병원체에 대응하여 생존하고 번성할 수 있도록 하는 진화적 적응의 결과로, 병원체의 병원성과 기주식물의 저항성은 병원체와 기주의 상호작용으로 발현된다. 이러한 저항성과 방어기작의 이해는 병원체 관리 전략을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해충방제는 해충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주요 해충의 밀도를 억제할 수단을 적용하여 낮은 밀도로 최대한 동안 유지하는 것으로, 해충방제는 최소한의 경비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실행해야 한다. 따라서 법적, 재배적,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행동적, 유전적 방제 및 종합적 해충관리(IPM) 등의 다양한 방제 방법을 조화롭게 적용함으로써, 농업 생태계의 건강성을 보전하고, 해충에 의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식물의학 / 최재을 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8
신제 식물병리학 / 김형무 외 / 향문사 / 2008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도서관(https://lib.rda.go.kr)
  • 가격6,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4.03.11
  • 저작시기202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3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