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⑵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 ⑶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를 설명해주세요. ⑷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를 설명해주세요. ⑸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본문내용
散階)를 수여하였다. 특히 여진은 조공국을 가리키는 명칭인 동번(東蕃)서번(西蕃) 등으로 불렀다. 이로써 고려가 중심이 되는 천하를 구성했으며, 그 안에서 고려 국왕을 ‘해동천자(海東天子) ’라고 하였다.
10~12세기에는 고려뿐 아니라 베트남, 대하(大夏) 등 중국 주변의 국가들이 책봉을 받는 동시에 황제를 칭했는데, 이는 당시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관련이 있다. 12세기 들어 여진이 흥기하면서 고려의 다원적 천하관은 위기에 직면했다. 이전까지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대하며 번국으로 불렸던 여진이 금을 건국하고 거꾸로 고려에 사대관계를 맺을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고려는 힘의 균형이 무너진 현실을 인정하고 금과 사대관계를 맺었지만 다원적 천하관에 입각한 외왕내제의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였다. 그러나 고려후기 원과 책봉-조공 관계를 맺으면서 황제국체제가 완전히 무너졌다.
⑸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고려 후기에는 무신란으로 파괴된 고려 전기의 보수적인 문화를 대체하는 새로운 문화의 기운이 일어났다. 무신집권기에 새로운 문화를 모색하려는 노력은 역사를 정리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규보의 「동명왕편(東明王篇)」은 동명왕에 의한 고구려 건국을 한문 서사시로 기록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고구려의 전통을 부각시키면서, 고구려 건국 과정에서 나타난 신이한 일들을 기록함으로써 신이사관을 계승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몽골과 전쟁이 끝난 후에는 단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는 전쟁 이후 고려가 국가를 유지한 데 대한 자부심의 표현이었다. 일연의 『삼국유사(三國遺事)』는 민간에서 전승되는 자료를 광범하게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삼국의 역사를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삼국유사에는 단군신화를 포함하여 삼국사기에 실리지 않았던 설화와 전설, 그리고 불교 관련 내용이 많이 수록되었다. 삼국유사에서는 단군조선을 우리 역사의 시작으로 삼음으로써 중국사와 대등한 역사체계를 구성하였다. 일연과 비슷한 시기에 이승휴는 1287년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서사시로 기록한 『제왕운기(帝王韻紀)』를 지었다.
한편, 고려 후기에 성리학이 수용되자 역사 서술도 영향을 받았다. 민지의 『본조편년강목(本朝編年綱目)』(1312)를 시작으로 주자가 창안한 강목체(綱目體) 사서가 편찬되었다. 강목체는 사실의 기록보다 평가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이후 신진사대부에 의해 성리학적 가치관을 기준으로 역사적 사실을 평가하는 사서들이 편찬되었다.
참고문헌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3~7쪽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96-97쪽.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98쪽.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122-123쪽.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42~44쪽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81~83쪽
10~12세기에는 고려뿐 아니라 베트남, 대하(大夏) 등 중국 주변의 국가들이 책봉을 받는 동시에 황제를 칭했는데, 이는 당시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관련이 있다. 12세기 들어 여진이 흥기하면서 고려의 다원적 천하관은 위기에 직면했다. 이전까지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대하며 번국으로 불렸던 여진이 금을 건국하고 거꾸로 고려에 사대관계를 맺을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고려는 힘의 균형이 무너진 현실을 인정하고 금과 사대관계를 맺었지만 다원적 천하관에 입각한 외왕내제의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였다. 그러나 고려후기 원과 책봉-조공 관계를 맺으면서 황제국체제가 완전히 무너졌다.
⑸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고려 후기에는 무신란으로 파괴된 고려 전기의 보수적인 문화를 대체하는 새로운 문화의 기운이 일어났다. 무신집권기에 새로운 문화를 모색하려는 노력은 역사를 정리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규보의 「동명왕편(東明王篇)」은 동명왕에 의한 고구려 건국을 한문 서사시로 기록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고구려의 전통을 부각시키면서, 고구려 건국 과정에서 나타난 신이한 일들을 기록함으로써 신이사관을 계승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몽골과 전쟁이 끝난 후에는 단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는 전쟁 이후 고려가 국가를 유지한 데 대한 자부심의 표현이었다. 일연의 『삼국유사(三國遺事)』는 민간에서 전승되는 자료를 광범하게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삼국의 역사를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삼국유사에는 단군신화를 포함하여 삼국사기에 실리지 않았던 설화와 전설, 그리고 불교 관련 내용이 많이 수록되었다. 삼국유사에서는 단군조선을 우리 역사의 시작으로 삼음으로써 중국사와 대등한 역사체계를 구성하였다. 일연과 비슷한 시기에 이승휴는 1287년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서사시로 기록한 『제왕운기(帝王韻紀)』를 지었다.
한편, 고려 후기에 성리학이 수용되자 역사 서술도 영향을 받았다. 민지의 『본조편년강목(本朝編年綱目)』(1312)를 시작으로 주자가 창안한 강목체(綱目體) 사서가 편찬되었다. 강목체는 사실의 기록보다 평가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이후 신진사대부에 의해 성리학적 가치관을 기준으로 역사적 사실을 평가하는 사서들이 편찬되었다.
참고문헌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3~7쪽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96-97쪽.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98쪽.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122-123쪽.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42~44쪽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81~83쪽
추천자료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한국사의이해)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
한국사의이해 2024년 1학기 중간과제물 -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
(한국사의이해 1학년) 1.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 (서술한 ...
202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비교)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한국사의이해, 공통)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
한국사의이해 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⑵ 삼국사회의 ...
202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국...
[한국사의이해] 2024년 중간과제물, 1)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 설명 2)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