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 ‘컨테이젼’ 줄거리
2. 감염성 질환의 유행을 막기 위한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
3. 느낀점
4. 추가학습
5. 참고문헌
2. 감염성 질환의 유행을 막기 위한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
3. 느낀점
4. 추가학습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다.
멸균장치
BLS2
위험그룹2
- 점염성 낮으며, 감염되어도 치료 가능
허가된 인원만 입실 가능하며 경고 표시가 필요하고 보호복을 착용해야한다.
고효율미세필터
BLS3
위험그룹3
- 심각한 감염 일으키나 치료 가능
완전 봉쇄가 필요하고 복도 출입이 제한되며 고성능 필터가 필요하다.
이중출입문
BLS4
위험그룹4
- 심각한 감염 일으키고 치료도 불가능
샤워실이 필요하고 방호복이 없으면 입실할 수 없다. 모두 탈의하고 우주복같이 생긴 양안 보호복을 입는다. 별도의 산소공급을 위한 공기튜브가 연결되어있다.
공기잠금시스템
세계보건기구(WHO)가 1983년 제정한 실험실 생물안전등급(BSL) 권고 기준이다. 항상 감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병원성 미생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했다. 이는 감염 경로, 치료 가능성, 병원성 정도 등에 따라 미생물을 4가지 위험그룹으로 나누는데 각 그룹마다 실험실이 갖춰야 할 안전 조건이 다르다.
● 영화에서 감염병 지침을 내리기 전에 제일 먼저 알아내야 할 것은 재생산지수라고 언급하였다.
<재생산지수>
감염자 한 명이 바이러스를 옮기는 환자 수를 뜻하는 지수이며 이 지수가 1 이상이면 유행이 확산하고 있다는 의미다.
기초감염재생산지수 1.2는 예방접종 완료자가 지역사회에 20% 이상 분포돼야 유행을 잠재울 수 있는 수준으로 평가된다.
5. 참고문헌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1·2. 현문사
- [네이버 지식백과] 기초감염재생산지수 (한경 경제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세계보건기구 생물안전등급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멸균장치
BLS2
위험그룹2
- 점염성 낮으며, 감염되어도 치료 가능
허가된 인원만 입실 가능하며 경고 표시가 필요하고 보호복을 착용해야한다.
고효율미세필터
BLS3
위험그룹3
- 심각한 감염 일으키나 치료 가능
완전 봉쇄가 필요하고 복도 출입이 제한되며 고성능 필터가 필요하다.
이중출입문
BLS4
위험그룹4
- 심각한 감염 일으키고 치료도 불가능
샤워실이 필요하고 방호복이 없으면 입실할 수 없다. 모두 탈의하고 우주복같이 생긴 양안 보호복을 입는다. 별도의 산소공급을 위한 공기튜브가 연결되어있다.
공기잠금시스템
세계보건기구(WHO)가 1983년 제정한 실험실 생물안전등급(BSL) 권고 기준이다. 항상 감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병원성 미생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했다. 이는 감염 경로, 치료 가능성, 병원성 정도 등에 따라 미생물을 4가지 위험그룹으로 나누는데 각 그룹마다 실험실이 갖춰야 할 안전 조건이 다르다.
● 영화에서 감염병 지침을 내리기 전에 제일 먼저 알아내야 할 것은 재생산지수라고 언급하였다.
<재생산지수>
감염자 한 명이 바이러스를 옮기는 환자 수를 뜻하는 지수이며 이 지수가 1 이상이면 유행이 확산하고 있다는 의미다.
기초감염재생산지수 1.2는 예방접종 완료자가 지역사회에 20% 이상 분포돼야 유행을 잠재울 수 있는 수준으로 평가된다.
5. 참고문헌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1·2. 현문사
- [네이버 지식백과] 기초감염재생산지수 (한경 경제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세계보건기구 생물안전등급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