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가족상담의 정의
2. 개인 상담과 가족 상담의 비교
Ⅲ.결론
Ⅳ.참고문헌
Ⅱ.본론
1. 가족상담의 정의
2. 개인 상담과 가족 상담의 비교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탐색하고 성찰, 분석, 통찰을 하여 과거와 현재에서 나타나는 결함을 파악하고, 인지 또는 행동 등의 변화를 추구하게 된다. 이에 반해 가족 상담에서는 내담자의 가족구성원 모두가 상담 대상이지만 반드시 모두가 대상은 아니며, 현재 내담자가 겪고 있는 문제와 관련하여 꼭 필요한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파악하여 가족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상호작용 등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 양상에 초점을 맞춰 가족체계의 변화를 추구한다.
개인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겪고 있는 모든 문제들과 문제를 발생시킨 원인을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살펴본 후 내면의 갈등과 문제 행동 등을 해결해야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소요하게 되지만 가족 상담에서는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중에서 역기능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춰 변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개인 상담보다는 비교적 상담 기간이 짧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 상담과 가족 상담에서 상담자(치료자)의 역할도 다소 상이한데 개인 상담에서는 내담자의 문제가 무엇인지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의 길잡이 역할을 하지만, 가족 상담에서는 문제 해결의 중심은 가족구성원이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위기조정자,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가족 상담의 개념과 개인 상담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가족 상담이란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족을 한 체계로 보고 가족의 역할, 기능, 관계상의 문제에 실제로 개입하는 상담과정이다. 개인 상담과 문제를 바라보는 초점, 대상, 기간 등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결국 두 상담 기법 모두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개인 상담, 가족 상담 어느 하나가 중요한 것이 아닌 내담자의 상황과 문제에 발맞춰서 함께 진행될 필요가 있다.
Ⅳ. 참고문헌
이민주. 「한국 가족의 현실에 대한 소고: 가족주의와 사회적 실체로서의 가족해체현상에 대하여」. 경남발전 (2005)
서종수.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 복지상담연구. (2016)
정혜정. 「가족의 위기 대처를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 서비스 강화방안」. 가족과 가족치료. (2015)
김순옥, 곽소현, 노명숙, 류경희, 배선희 . 『가족상담』. 교문사(2012)
이영실, 김재경, 김봉순, 박용권, 조명희, 홍성희. 『가족복지론』.양서원 (2013)
개인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겪고 있는 모든 문제들과 문제를 발생시킨 원인을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살펴본 후 내면의 갈등과 문제 행동 등을 해결해야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소요하게 되지만 가족 상담에서는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중에서 역기능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춰 변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개인 상담보다는 비교적 상담 기간이 짧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 상담과 가족 상담에서 상담자(치료자)의 역할도 다소 상이한데 개인 상담에서는 내담자의 문제가 무엇인지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의 길잡이 역할을 하지만, 가족 상담에서는 문제 해결의 중심은 가족구성원이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위기조정자,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가족 상담의 개념과 개인 상담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가족 상담이란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족을 한 체계로 보고 가족의 역할, 기능, 관계상의 문제에 실제로 개입하는 상담과정이다. 개인 상담과 문제를 바라보는 초점, 대상, 기간 등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결국 두 상담 기법 모두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개인 상담, 가족 상담 어느 하나가 중요한 것이 아닌 내담자의 상황과 문제에 발맞춰서 함께 진행될 필요가 있다.
Ⅳ. 참고문헌
이민주. 「한국 가족의 현실에 대한 소고: 가족주의와 사회적 실체로서의 가족해체현상에 대하여」. 경남발전 (2005)
서종수.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 복지상담연구. (2016)
정혜정. 「가족의 위기 대처를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 서비스 강화방안」. 가족과 가족치료. (2015)
김순옥, 곽소현, 노명숙, 류경희, 배선희 . 『가족상담』. 교문사(2012)
이영실, 김재경, 김봉순, 박용권, 조명희, 홍성희. 『가족복지론』.양서원 (2013)
추천자료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치료의 이론적 기초 - 가족치료와 개인치료의 차이, 초기 가족의 치...
[가족상담 및 치료 4공통]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
[교육학과] [가족상담 및 치료 공통] 가족체계이론에 대해서 설명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 맥...
가족상담 및 치료의 정의를 기술하시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 특성과 차이를...
가족상담및치료의정의를 기술하시고,이를 바탕으로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특성과차이를 서술...
가족상담및치료 )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전과정, 가족상담 및 치료의 특성(가족상담의 전제)...
[가족상담및가족치료] 가족상담 및 치[가족상담및가족치료] 가족상담 및 치료의 정의를 기술...
가족상담 및 치료의 정의를 기술하시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 특성과 차이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