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아 캐머런 <<아티스트 웨이>> 독후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줄리아 캐머런 <<아티스트 웨이>> 독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더 글로리>>와 복수의 글쓰기
2. 창조성을 깨우고 나를 바꾸는 <<아티스트 웨이>>
1) 내 마음에 귀 기울이기, ‘모닝 페이지’
2) 내 마음대로 듣는 연습, ‘아티스트 데이트’
3) 나만의 고민 상담 라디오, ‘걷기’
3. 상처와 과거로부터 벗어나기 : 자기변화, 구원, 해방의 실천
4. 번아웃 되어 무언가를 시작하는 것이 힘든 사람들에게

본문내용

은 한 번에 한 단계씩 진행된다. 걸으면서 우리는 자신의 근원을 향해 걸어간다.
3. 상처와 과거로부터 벗어나기 : 자기변화, 구원, 해방의 실천
앞서 이 글을 시작하며 드라마 <<더 글로리>> 이야기를 했다. 이 드라마는 학교 폭력 피해자의 씻을 수 없는 상처에 대한 이야기이고 복수의 이야기이지만, 또 다른 관점에서는 일종의 창조성과 변화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상처를 대면하고 치유하고 극복하고 그리고 마침내 해방되고자 한다. 그를 위해 하나하나 실천하는 복수의 방법들은 ‘아티스트 웨이’의 방법들과 거의 유사하다. 드라마에서 복수는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차분하고 서늘하게 자신과 삶, 주변을 돌아보게 만드는 힘이 있다. 복수의 행위자 동은은 실은 아티스트 웨이를 실천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녀에게 복수라는 도구는 통념처럼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인생을 바꾸는 영감을 얻고 생산적으로 행동하는 것의 은유라고 봐도 될 것이다. 그녀가 행하는 차분하고 방향성이 분명한 복수는 마침내 성공을 향해가고 그녀는 구원되고 해방된다는 생각이 든다. 다른 건 몰라도 그녀 자신의 변화라는 구원과 해방 말이다.
4. 번아웃되어 무언가를 시작하는 것이 힘든 사람들에게
또한 아티스트 웨이는 이러한 창조성과 자기 변화에 대한 꿈은 있으나, 쉽게 몸을 움직이거나 곧바로 실천을 하기가 힘들었던 사람들을 위한 편안한 도구이기도 하다. 내 개인적으로, 오래 번아웃 증후군에 시달렸다. 번아웃 증후군에 시달리면 무언가를 새롭게 시작할 의지 자체가 바닥 나 있고, 아무리 작고 사소한 일이라도 할 엄두가 안 난다. 아무리 작은 것일지라도 새로운 시작은 또 하나의 과업이자 부담이 되고, 시작도 하지 전부터 마음을 억누르는 무거운 돌덩어리가 된다.
아티스트 웨이의 방법들은 그런 지친 나에게, 힘을 주고 위안을 주며 할 수 있다고 토닥거려 주는 내 편이다. 나를 억지로 끌고 가고 다그치며 윽박지르는 무언가가 아니라. 당장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지 않아도 되고, 할 수 있는 만큼만 하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것이 내면의 무언가를 거스르고 부담과 스트레스를 주는 방식이 아니라 마치 바람이 불고 물이 흘러가듯 자연스러운 과정임을 기억하라고 말한다. 그러니, 아티스트 웨이는 지친 자든, 절망의 벼랑 끝에 서 있는 사람이든, 완전히 파괴되어 무너져버린 사람이든, 자신이 발 디딘 바로 그 곳에서 새롭게 시작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4.09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6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