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의 다시 2100년의 바르바라에게 독후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연수의 다시 2100년의 바르바라에게 독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들어가며
2. 미래의 우리를 생각한다는 것
3. 우리 곁의 바르바라들
4. 정신의 삶은 계속 된다

본문내용

하나의 역사는 하나의 과거로만 머물거나 사라지지 않는다. 다른 존재에 의해 영원히 영속 가능할 수 있다. 그래서 시간이 흐른 후에도 우리는 그 일을 반복하거나 혹은 반복하지 않음으로써 그 일을 영원히 기억할 수 있는 것일 테다.
그러고 보면 이 소설은 역사, 이야기, 혹은 글쓰기에 관한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의 역사, 서사, 쓰기와 듣기가 하는 일이 다름 아닌 그것이다. 인간의 유한한 삶을 지속되고 서로 연결되게 하는 것. “다른 사람의 기억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가며 자신의 존재를 확장해 나가”는 것. 작가가 이 소설에서 행하고 있는 것, 즉 바르바라나 정약용 가문의 이야기, 소설 속 할아버지의 삶을 통해 독자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이 작품은 한마디로 소설의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 한다. 소설을 읽어나가며 우리 독자는 점차 느끼게 된다. 얼핏 외따로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우리들이 사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그러한 연결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물리적 신체의 한계를 넘어 존재를 확장해 갈 수 있다는 것을 말이다. 소설가가 이야기를 들려주고 독자가 그것을 경청하는 행위란 사실 얼마나 경이롭고 뭉클한 경험인가.
  • 가격3,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4.04.09
  • 저작시기202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6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