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2. 대상자의 병력 정리
- 진단명
1. 세균성 폐렴(pneumonia)
- 투여약물 및 부작용
3. 대상자의 치료적 강점 및 취약점
4. 대상자의 문제 사정
5. 간호과정 (2개)
2. 대상자의 병력 정리
- 진단명
1. 세균성 폐렴(pneumonia)
- 투여약물 및 부작용
3. 대상자의 치료적 강점 및 취약점
4. 대상자의 문제 사정
5. 간호과정 (2개)
본문내용
(장기/단기)
장기
- 재원기간내에 체온이 하강 후 정상 범위로 계속 유지된다.
단기
-입원 당시(38.5)보다 체온이 떨어진다.
간호계획
① 2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② 옷을 얇게 입힌다.
③ 방 안 공기를 시원하게 한다.
④ 37.5℃ 이상인 경우 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환자의 몸을 닦아준다.
⑤ 38℃ 이상인 경우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⑥ 38℃ 이상인 경우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고, 해열제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⑦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고, 항생제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⑧ 땀으로 인해 환자의 의복이 젖은 경우 바로 갈아입힌다.
⑨ 보호자에게 미온수 맛사지에 대해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①대상자의 현 상태파악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지표이다.
②시원한 공기를 맞닺게 함으로써 체열을 방출시킨다.
③체표면에 시원한 공기를 맞닺게 하여 대류에 의해 체열을 방출시킨다.
④⑨체표면에서 수분이 기화되어 혈관을 수축시키며 신진대사를 떨어뜨림으로서 체온을 하강시킨다.
⑥해열제는 시상하부의 설정온도를 낮춰서 열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⑦감염이 발열의 근원이라면 균배양이 확인 되는대로 항생제를 바로 투여하기 시작한다.
간호수행
①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
② 환자에게 얇은 티셔츠 하나만 입혔다.
③ 창문을 조금 열어주어 방안 공기를 시원하게 하였다.
④ 열이 37.5℃ 이상으로 지속되면 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말단부 부터 닦아주었다.
(특히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와 같이 땀이 차기 쉬운 부위를 중점적으로 닦아주었다.)
⑤ 38℃ 이상이면 즉시 간호사에게 보고하였다.
⑥ 38℃ 이상일 때 처방에 따라 간호사가 해열제인 타이레놀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 하였고, 타이레놀의 부작용인 두드러기, 구역,구토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 하였다.
⑦ 처방에 따라 간호사가 항생제인 트리손키트주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 하였고, 부작용인 주사부위통증, 정맥염, 아나필락시스 반응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 하였다.
⑧ 환자가 땀으로 인해 의복이 젖으면 바로 갈아입게 옷을 가져다주고 갈아입도록 도와주었다.
⑨ 보호자에게 미온수(37~42℃)에 수건을 적셔서 환자의 몸을 닦아주도록 교육하면서
시범을 보여주었다.
(몸을 닦을 때에는 말단부 부터 닦도록 하며, 겨드랑이, 사타구니, 목과 같은 땀이 차
기 쉬운 부위는 더 주의를 기울여 닦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및 재조정
3/17일에 대상자의 체온이 37.5℃ 이하로 감소하였다.
장기
- 재원기간내에 체온이 하강 후 정상 범위로 계속 유지된다.
단기
-입원 당시(38.5)보다 체온이 떨어진다.
간호계획
① 2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② 옷을 얇게 입힌다.
③ 방 안 공기를 시원하게 한다.
④ 37.5℃ 이상인 경우 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환자의 몸을 닦아준다.
⑤ 38℃ 이상인 경우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⑥ 38℃ 이상인 경우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고, 해열제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⑦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고, 항생제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⑧ 땀으로 인해 환자의 의복이 젖은 경우 바로 갈아입힌다.
⑨ 보호자에게 미온수 맛사지에 대해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①대상자의 현 상태파악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지표이다.
②시원한 공기를 맞닺게 함으로써 체열을 방출시킨다.
③체표면에 시원한 공기를 맞닺게 하여 대류에 의해 체열을 방출시킨다.
④⑨체표면에서 수분이 기화되어 혈관을 수축시키며 신진대사를 떨어뜨림으로서 체온을 하강시킨다.
⑥해열제는 시상하부의 설정온도를 낮춰서 열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⑦감염이 발열의 근원이라면 균배양이 확인 되는대로 항생제를 바로 투여하기 시작한다.
간호수행
①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
② 환자에게 얇은 티셔츠 하나만 입혔다.
③ 창문을 조금 열어주어 방안 공기를 시원하게 하였다.
④ 열이 37.5℃ 이상으로 지속되면 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말단부 부터 닦아주었다.
(특히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와 같이 땀이 차기 쉬운 부위를 중점적으로 닦아주었다.)
⑤ 38℃ 이상이면 즉시 간호사에게 보고하였다.
⑥ 38℃ 이상일 때 처방에 따라 간호사가 해열제인 타이레놀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 하였고, 타이레놀의 부작용인 두드러기, 구역,구토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 하였다.
⑦ 처방에 따라 간호사가 항생제인 트리손키트주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 하였고, 부작용인 주사부위통증, 정맥염, 아나필락시스 반응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 하였다.
⑧ 환자가 땀으로 인해 의복이 젖으면 바로 갈아입게 옷을 가져다주고 갈아입도록 도와주었다.
⑨ 보호자에게 미온수(37~42℃)에 수건을 적셔서 환자의 몸을 닦아주도록 교육하면서
시범을 보여주었다.
(몸을 닦을 때에는 말단부 부터 닦도록 하며, 겨드랑이, 사타구니, 목과 같은 땀이 차
기 쉬운 부위는 더 주의를 기울여 닦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및 재조정
3/17일에 대상자의 체온이 37.5℃ 이하로 감소하였다.
추천자료
Parkinsons disease CASE STUDY (파킨슨,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Fracture 골절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Delirium 섬망 A+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STUDY)
cerebral infarction 뇌졸중 A+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STUDY)
폐렴 Aspiration pneumonia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STUDY)
MICU - asthma 천식 case study A+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사례연구
강력추천) Brain Tumor 뇌종양 케이스 스터디 A+ CASE, STUDY,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study-pnuemonia (폐렴, 케이스, 간호과정, 사례연구)
골절 Fracture 케이스 A+
폐렴 case study (pneumonia) 간호과정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