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비사회복지사로서 배워야 할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중개인으로서의 사회복지사
2) 옹호자로서 사회복지사
3) 교사로서의 사회복지사
4) 상담가 혹은 임상가
5) 사례관리자로서 사회복지사
6) 업무관리자로서 사회복지사
7) 직원(역량) 개발자로서 사회복지사
8) 사회변화 대행자로서의 사회복지사
9) 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
10) 얻게 하도록 또는 주게 하도록 돕는 역할의 사회복지사
2.
자신이 졸업한 후 사회복지사로서 초점을 두고 싶은 역할(3가지)과 이유
3.
참고문헌
예비사회복지사로서 배워야 할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중개인으로서의 사회복지사
2) 옹호자로서 사회복지사
3) 교사로서의 사회복지사
4) 상담가 혹은 임상가
5) 사례관리자로서 사회복지사
6) 업무관리자로서 사회복지사
7) 직원(역량) 개발자로서 사회복지사
8) 사회변화 대행자로서의 사회복지사
9) 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
10) 얻게 하도록 또는 주게 하도록 돕는 역할의 사회복지사
2.
자신이 졸업한 후 사회복지사로서 초점을 두고 싶은 역할(3가지)과 이유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역사회가 자발적으로 주게 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지역주민들이 저마다 자기의 삶터에서 본인들이 속하는 지역 내의 인간관계와 생활환경 속에서 주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사회복지사이다.
2. 자신이 졸업한 후 사회복지사로서 초점을 두고 싶은 역할( 3가지)과 이유
앞서 언급한 사회복지사로서의 많은 역할 중에 나는 중개인으로서의 사회복지사, 사례관리자로서 사회복지사, 얻게 하도록 또는 주게 하도록 돕는 역할의 사회복지사가 되고 싶다. 이유는 내가 꿈꾸고 있는 사회복지는 모든 지역주민이 자기 삶의 주인으로서 살 수 있도록 또한 반드시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사람다움 사회와 사회다움 세상이 실현되는 그것이 참 복지 세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람다움 사회는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사회적 약자들도 살만해야 하고 이들과 구별된 삶이나 환경이 아닌 약자라 불리는 당사자들도 제한된 공간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닌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이다. 영구임대아파트나 시설 등이 제한된 그들만의 공간에서의 건조한 삶이 아닌 따뜻한 이웃도 있고 인정도 있는 그것이 사람다움 사회라고 생각한다. 이런 관점에서 사회복지사는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복지를 이루고 살아갈 수 있도록 중개인의 역할을 충실히 하여야 하고 약자가 살만한 사회는 모든 사회인이 이용하는 공간, 시설, 제품, 서비스 조직문화 등의 것들도 당당하고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는 사회로서 그것을 연결해주도록 코디네이터 즉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싶다. 우리에게 사라져 가고 있는 전통적인 강점의 기능인 이웃과 우리만의 인정을 살리는데 사회복지는 딱 맞춤형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에서 부족한 것들에 대하여 정보도 자연스럽게 얻고 과거에 가난하지만 조금씩 당연하게 나누어 이웃을 먼저 챙기던 십시일반의 전통 기능을 살려 주게 하도록 돕는 역할의 사회복지사야말로 내가 꿈꾸는 사회복지사라 할 수 있다. 그렇기 위하여 지역사회를 찾아다니며 사람들에게 인사하고 묻고, 의논하고 함께 할 것에 대하여 부탁하고 같이함께 해준 것에 감사하는 생활을 하다 보면 우리 사회의 사라져 가고 소원해진 이웃 관계와 인정의 소통이 살아날 것으로 생각한다,“ 아~~~ 사람 사는 것 같다!, 살맛 난다.” 이러한 사람다움 사회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전문가로서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싶다.
3. 참고문헌
오수경 외, 사회복지 현장실습, 공동체, 2012
한덕연, 복지요결, 2017.3
2. 자신이 졸업한 후 사회복지사로서 초점을 두고 싶은 역할( 3가지)과 이유
앞서 언급한 사회복지사로서의 많은 역할 중에 나는 중개인으로서의 사회복지사, 사례관리자로서 사회복지사, 얻게 하도록 또는 주게 하도록 돕는 역할의 사회복지사가 되고 싶다. 이유는 내가 꿈꾸고 있는 사회복지는 모든 지역주민이 자기 삶의 주인으로서 살 수 있도록 또한 반드시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사람다움 사회와 사회다움 세상이 실현되는 그것이 참 복지 세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람다움 사회는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사회적 약자들도 살만해야 하고 이들과 구별된 삶이나 환경이 아닌 약자라 불리는 당사자들도 제한된 공간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닌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이다. 영구임대아파트나 시설 등이 제한된 그들만의 공간에서의 건조한 삶이 아닌 따뜻한 이웃도 있고 인정도 있는 그것이 사람다움 사회라고 생각한다. 이런 관점에서 사회복지사는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복지를 이루고 살아갈 수 있도록 중개인의 역할을 충실히 하여야 하고 약자가 살만한 사회는 모든 사회인이 이용하는 공간, 시설, 제품, 서비스 조직문화 등의 것들도 당당하고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는 사회로서 그것을 연결해주도록 코디네이터 즉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싶다. 우리에게 사라져 가고 있는 전통적인 강점의 기능인 이웃과 우리만의 인정을 살리는데 사회복지는 딱 맞춤형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에서 부족한 것들에 대하여 정보도 자연스럽게 얻고 과거에 가난하지만 조금씩 당연하게 나누어 이웃을 먼저 챙기던 십시일반의 전통 기능을 살려 주게 하도록 돕는 역할의 사회복지사야말로 내가 꿈꾸는 사회복지사라 할 수 있다. 그렇기 위하여 지역사회를 찾아다니며 사람들에게 인사하고 묻고, 의논하고 함께 할 것에 대하여 부탁하고 같이함께 해준 것에 감사하는 생활을 하다 보면 우리 사회의 사라져 가고 소원해진 이웃 관계와 인정의 소통이 살아날 것으로 생각한다,“ 아~~~ 사람 사는 것 같다!, 살맛 난다.” 이러한 사람다움 사회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전문가로서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싶다.
3. 참고문헌
오수경 외, 사회복지 현장실습, 공동체, 2012
한덕연, 복지요결, 2017.3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예비사회복지사의 대학생활설계
사회복지실습 중간평가서
실습종결평가서
광주광역시 가정위탁지원센터 기관 방문보고서
충현사회복지관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기관소개, 과정평가, 실습총괄평가) 실습 보고서
굿네이버스 전라북도 아동보호전문기관(사회복지현장실습보고서, 실습평가서, 최종보고서)
[실습보고서] <전주효자청소년문화의집> 사회복지현장실습 최종보고서 (기관소개, 실습평가, ...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예비 사회복지사로서 배워야 할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5가지 이...
사회복지시설 현장실습의 각 단계에 대해 설명하고, 시설 실습이 지닐 수 있는 제한점(3가지 ...
지역아동센터사회복지현장실습중간평가서 및 최종평가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