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배경지식
3. 가설설정
4. 실험
5. 고찰
6. 인용문헌
2. 배경지식
3. 가설설정
4. 실험
5. 고찰
6. 인용문헌
본문내용
스티딘(histidine)
0.70
자갈색
세린(serine)
0.35
자색
발린(valine)
0.74
자색
글리신(glycine)
0.42
붉은 자색
메티오닌(methionine)
0.83
자색
아스파르트산
(aspartic acid)
0.42
자갈색
류신(leucine)
0.86
붉은 자색
리신(lysine)
0.59
자갈색
프롤린(proline)
0.89
황색
알라닌(alanine)
0.60
자색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0.90
푸른 자색
표 2. 아미노산의 표준 Rf값
5. 고찰(disscussion)
광합성의 경우 실험 결과가 잘나와서 이론과 같은 결과를 볼수 있었다. 이론상 전개율은 카로틴>크산토필>엽록소 a>엽록소b 순이였고, 실제로 Rf 값을 비교한결과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실험결과 사진에 표시는 안되어있지만 엽록소a와 카로틴 사이에 정말 희미하게 색소가 보였는데 너무 흐릿해서 결과로 나타난 색소가 맞는지 헷갈려서 표시해둔걸 지웠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크산토필의 색소가 보였던 것 같다. 아미노산의 경우 이론값과 완전히 같지는 않은 결과를 얻었는데 그이유가 Rf는 물질의 판정기준이 되는 중요한 값이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화하므로 온도변화를 적게하고, 전개거리나 전개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실험을 해야 보다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광합성 색소의 분리나 아미노산의 분리처럼 이렇게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할 수 있는 이유는 모세관 현상 때문인데, 모세관 현상이란 액체 속에 폭이 좁고 긴 관을 넣었을 때, 관 내부의 액체 표면이 외부의 표면보다 높거나 낮아지는 현상으로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에 의한 현상이다. 식물의 뿌리에서 무기양분과 물을 흡수하는 것을 이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고체는 물의 수소분자와 결합하려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를 부착력이라고 하고, 물은 물끼리, 고체는 고체끼리 붙으려는 성질을 응집력이라고 한다. 부착력의 크기는 온도, 고체면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부착력이 응집력 보다 크면 물은 관을 타고 올라가지만, 응집력이 더 크면 관 아래로 내려간다. 물에 가는 관을 세우게 되면 부착력이 모세관 내의 물의 응집력보다 클 경우 그 만큼 모세관 내의 수의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고 한다.
6. 인용문헌(Literature cited)
<두산백과>
<네이버 블로그>
0.70
자갈색
세린(serine)
0.35
자색
발린(valine)
0.74
자색
글리신(glycine)
0.42
붉은 자색
메티오닌(methionine)
0.83
자색
아스파르트산
(aspartic acid)
0.42
자갈색
류신(leucine)
0.86
붉은 자색
리신(lysine)
0.59
자갈색
프롤린(proline)
0.89
황색
알라닌(alanine)
0.60
자색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0.90
푸른 자색
표 2. 아미노산의 표준 Rf값
5. 고찰(disscussion)
광합성의 경우 실험 결과가 잘나와서 이론과 같은 결과를 볼수 있었다. 이론상 전개율은 카로틴>크산토필>엽록소 a>엽록소b 순이였고, 실제로 Rf 값을 비교한결과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실험결과 사진에 표시는 안되어있지만 엽록소a와 카로틴 사이에 정말 희미하게 색소가 보였는데 너무 흐릿해서 결과로 나타난 색소가 맞는지 헷갈려서 표시해둔걸 지웠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크산토필의 색소가 보였던 것 같다. 아미노산의 경우 이론값과 완전히 같지는 않은 결과를 얻었는데 그이유가 Rf는 물질의 판정기준이 되는 중요한 값이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화하므로 온도변화를 적게하고, 전개거리나 전개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실험을 해야 보다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광합성 색소의 분리나 아미노산의 분리처럼 이렇게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할 수 있는 이유는 모세관 현상 때문인데, 모세관 현상이란 액체 속에 폭이 좁고 긴 관을 넣었을 때, 관 내부의 액체 표면이 외부의 표면보다 높거나 낮아지는 현상으로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에 의한 현상이다. 식물의 뿌리에서 무기양분과 물을 흡수하는 것을 이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고체는 물의 수소분자와 결합하려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를 부착력이라고 하고, 물은 물끼리, 고체는 고체끼리 붙으려는 성질을 응집력이라고 한다. 부착력의 크기는 온도, 고체면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부착력이 응집력 보다 크면 물은 관을 타고 올라가지만, 응집력이 더 크면 관 아래로 내려간다. 물에 가는 관을 세우게 되면 부착력이 모세관 내의 물의 응집력보다 클 경우 그 만큼 모세관 내의 수의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고 한다.
6. 인용문헌(Literature cited)
<두산백과>
<네이버 블로그>
키워드
추천자료
Grignard 반응
(식품화학실험보고서)TLC(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지질의분리
일반 생물학 실험 summary
일반화학실험 -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물질의 분리
[생물실험] 광합성 색소의 분리 (종이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 방법, 종이크로마토그래피(PC)...
[일반화학 실험] 08- 크로마토 그래피(Chromatography) : 고정상과 이등상 크로마토 그래피에...
[일반생물학] 광합성과 크로마토그래피 예비+결과 A+ 자료 고찰A++
종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물질 분리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실험 보고서
[일반화학실험] 제11주차: 종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물질 분리 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