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요약
2. 서론
3. 실험과정
4. 결과 및 해석
5. 고찰및 결론
6. 참고문헌
2. 서론
3. 실험과정
4. 결과 및 해석
5. 고찰및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tip에 넣어준 후 꾹꾹 눌러 담아 기포가 생기지 않게 만들어 준다.
⑤ 끝부분에 기포가 살짝 생길 경우 기포가 생긴 끝부분을 살짝 잘라도 된다.
⑥ 앞서 준비한 0.1M , 1M, 3M, 그리고 포화 KCl 용액을 피펫을 이용하여 micropipet tip에 가득 채워준다.
⑦ 그 후 parafilm으로 micropipet tip 윗부분을 감싸준다.
⑧ Parafilm으로 감싸진 부위를 Ag(s)wire로 뚫어 micropipet tip에 담겨있는 각각의 용액에 Ag(s)wire를 담가준다.
(2) Ag(s)lAgCl(s) 기준전극의 측정
① 연필의 앞 뒤 부분을 잘라서 흑연이 튀어나오도록 한다.
② 4B연필의 흑연부분과 Ag(s)wire를 연결회선으로 연결한 후 둘을 Ferri/Ferro 용액에 집어넣어 두 전극 사이의 직류전압을 multimeter로 측정해준다.
③ ②번의 과정을 0.1M KCl 용액을 넣은 전극과 4B연필 전극 사이에서 3번 측정해준다. 각 실험 과정 후 흑연과 Ag/AgCl(s) wire는 증류수로 세척해서 재사용한다.
④ ②번의 과정을 1M KCl 용액을 넣은 전극과 4B연필 전극 사이에서 3번 측정해준다. 각 실험 과정 후 흑연과 Ag/AgCl(s) wire는 증류수로 세척해서 재사용한다.
⑤ ②번의 과정을 3M KCl 용액을 넣은 전극과 4B연필 전극 사이에서 3번 측정해준다. 각 실험 과정 후 흑연과 Ag/AgCl(s) wire는 증류수로 세척해서 재사용한다.
⑥ ②번의 과정을 포화 KCl 용액을 넣은 전극과 4B연필 전극 사이에서 3번 측정해준다. 각 실험 과정 후 흑연과 Ag/AgCl(s) wire는 증류수로 세척해서 재사용한다.
포화
0.1M KCl
1M KCl
3M KCl
1회
0.215V
0.115V
0.170V
0.206V
2회
0.215V
0.114V
0.171V
0.206V
3회
0.214V
0.113V
0.172V
0.207V
평균
0.2147V
0.114V
0.171V
0.2063V
3. 결과 및 해석포화
0.1M KCl
1M KCl
3M KCl
0.614V
0.490V
0.549V
0.577V
포화
0.1M KCl
1M KCl
3M KCl
39.93%
37.6%
37.8%
37.07%
4. 고찰 및 결론
이번 실험에서 락스에 은을 담가 염화은을 만드는 과정을 진행하였는데 락스에 은을 전체적으로 빠트려서 다시 이를 암모니아수로 씻어주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암모니아와 AgCl이 반응을 하게 되면 2NH3 + AgCl → [Ag(NH3)2]+ + Cl- 로 분리가 되어 다시 은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처음부터 실험을 다시 진행하였다. 락스의 주성분은 차아염소산 나트륨(NaClO)이며 다음과 같은 반응식으로 염화은이 형성된다. OCl-(aq) + H2O(l) + 2Ag(s) + Cl-(aq) → 2AgCl(s) + 2OH-(aq). 이번 실험에서 오차율이 발생한 이유는 각기 다른 KCl용액을 만들었을 때 넣어준 KCl의 양으로 인해서가 주된 이유인 것 같고 마이크로 피펫 팁의 기포를 제대로 빼주지 않아서 오차율이 생긴 것으로 예상된다.
5. 참고문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76143&cid=40942&categoryId=3225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66134&cid=67725&categoryId=6772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1485&cid=40942&categoryId=3225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1485&cid=40942&categoryId=3225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0511&cid=40942&categoryId=3225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03409&cid=50313&categoryId=5031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2755&cid=62802&categoryId=62802
https://dict.naver.com/search.nhn?dicQuery=%EC%A0%84%EA%B7%B9&query=%EC%A0%84%EA%B7%B9&target=dic&query_utf=&isOnlyViewEE=
⑤ 끝부분에 기포가 살짝 생길 경우 기포가 생긴 끝부분을 살짝 잘라도 된다.
⑥ 앞서 준비한 0.1M , 1M, 3M, 그리고 포화 KCl 용액을 피펫을 이용하여 micropipet tip에 가득 채워준다.
⑦ 그 후 parafilm으로 micropipet tip 윗부분을 감싸준다.
⑧ Parafilm으로 감싸진 부위를 Ag(s)wire로 뚫어 micropipet tip에 담겨있는 각각의 용액에 Ag(s)wire를 담가준다.
(2) Ag(s)lAgCl(s) 기준전극의 측정
① 연필의 앞 뒤 부분을 잘라서 흑연이 튀어나오도록 한다.
② 4B연필의 흑연부분과 Ag(s)wire를 연결회선으로 연결한 후 둘을 Ferri/Ferro 용액에 집어넣어 두 전극 사이의 직류전압을 multimeter로 측정해준다.
③ ②번의 과정을 0.1M KCl 용액을 넣은 전극과 4B연필 전극 사이에서 3번 측정해준다. 각 실험 과정 후 흑연과 Ag/AgCl(s) wire는 증류수로 세척해서 재사용한다.
④ ②번의 과정을 1M KCl 용액을 넣은 전극과 4B연필 전극 사이에서 3번 측정해준다. 각 실험 과정 후 흑연과 Ag/AgCl(s) wire는 증류수로 세척해서 재사용한다.
⑤ ②번의 과정을 3M KCl 용액을 넣은 전극과 4B연필 전극 사이에서 3번 측정해준다. 각 실험 과정 후 흑연과 Ag/AgCl(s) wire는 증류수로 세척해서 재사용한다.
⑥ ②번의 과정을 포화 KCl 용액을 넣은 전극과 4B연필 전극 사이에서 3번 측정해준다. 각 실험 과정 후 흑연과 Ag/AgCl(s) wire는 증류수로 세척해서 재사용한다.
포화
0.1M KCl
1M KCl
3M KCl
1회
0.215V
0.115V
0.170V
0.206V
2회
0.215V
0.114V
0.171V
0.206V
3회
0.214V
0.113V
0.172V
0.207V
평균
0.2147V
0.114V
0.171V
0.2063V
3. 결과 및 해석포화
0.1M KCl
1M KCl
3M KCl
0.614V
0.490V
0.549V
0.577V
포화
0.1M KCl
1M KCl
3M KCl
39.93%
37.6%
37.8%
37.07%
4. 고찰 및 결론
이번 실험에서 락스에 은을 담가 염화은을 만드는 과정을 진행하였는데 락스에 은을 전체적으로 빠트려서 다시 이를 암모니아수로 씻어주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암모니아와 AgCl이 반응을 하게 되면 2NH3 + AgCl → [Ag(NH3)2]+ + Cl- 로 분리가 되어 다시 은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처음부터 실험을 다시 진행하였다. 락스의 주성분은 차아염소산 나트륨(NaClO)이며 다음과 같은 반응식으로 염화은이 형성된다. OCl-(aq) + H2O(l) + 2Ag(s) + Cl-(aq) → 2AgCl(s) + 2OH-(aq). 이번 실험에서 오차율이 발생한 이유는 각기 다른 KCl용액을 만들었을 때 넣어준 KCl의 양으로 인해서가 주된 이유인 것 같고 마이크로 피펫 팁의 기포를 제대로 빼주지 않아서 오차율이 생긴 것으로 예상된다.
5. 참고문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76143&cid=40942&categoryId=3225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66134&cid=67725&categoryId=6772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1485&cid=40942&categoryId=3225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1485&cid=40942&categoryId=3225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0511&cid=40942&categoryId=3225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03409&cid=50313&categoryId=5031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2755&cid=62802&categoryId=62802
https://dict.naver.com/search.nhn?dicQuery=%EC%A0%84%EA%B7%B9&query=%EC%A0%84%EA%B7%B9&target=dic&query_utf=&isOnlyViewE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