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배경지식
3. 가설설정
4. 실험
5. 결과
6. 고찰
2. 배경지식
3. 가설설정
4. 실험
5.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표피조직의 관찰
1.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
(1) 현미경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 및 사용법을 습득하고, 양파세포를 관찰하고 길이를 측정한다.
2.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현미경의 종류, 구조와 기능
생물체는 매우 미세한 구조로 육안만으로 구별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므로 그 자세한 짜임새를 알기 위해서는 확대를 위한 보조기구를 사용해야 한다. 현미경은 광학렌즈를 이용하여 물체의 구조를 확대시켜 그 해상력을 증대시켜 주는 기구로써 미세구조를 밝히는 데 가장 중요한 기구이다.
1-1. 현미경의 종류
가. 광원의 위치에 따른 분류
정립현미경(up-light microscope)
일반적인 모양의 현미경이다.
2. 도립현미경(down-light microscope, inverted microscope)
대물렌즈가 표본의 아래에 위치한다.
나. 기능에 따른 분류
1.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 = Optic microscope)
표본에 비추어진 빛이 대물렌즈에 의해 확대된 실상을 맺고, 이것을 대안렌즈에 의해서 재 확대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현미경이라고 할 때는 이것을 가리킨다.
2. 입체현미경(Stereoscopic microscope)
두 대물렌즈의 배율이 서로 다르며, 표본의 평면, 측면, 높이 등 입체적 관찰이 기능하여 고체성 물질의 세부 구조를 대략 관찰 할 수 있다.
3. 형광현미경(Fluorescent microscope)
파장이 짧은 자외선(400nm 이하)을 시료에 비추면 형광을 발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시료에 형광물질(형광색소)을 처리한 후 관찰하는 방법으로 병원에서 면역검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4. 위상차현미경(Phase contrast microscope)
배경의 빛은 차단되고 물체가 발하는 빛(발광)만을 뚜렷이 관찰 가능하다.
5. 편광현미경(Polarization microscope)
빛의 편광을 이용하여 분자구조가 상이한 분자들을 관찰 시 이용한다(ex.암석학).
6. 해부현미경(Dissecting microscope)
상의 실체(실물)를 보여주지만 고배율 관찰에는 한계가 있다.
7. 전자현미경(Electron microscope)
전자현미경에서는 광학현미경과는 달리 유리렌즈 대신에 자기렌즈(마그네틱 렌즈)를 이용하고, 광원은 가시광선 대신에 파장이 짧은 전자를 이용한다. 따라서 전자현미경에서는 컬러상을 관찰할 수 없고 흑백상을 관찰하게 된다. 전자의 흐름을 이용하기
1.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
(1) 현미경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 및 사용법을 습득하고, 양파세포를 관찰하고 길이를 측정한다.
2.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현미경의 종류, 구조와 기능
생물체는 매우 미세한 구조로 육안만으로 구별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므로 그 자세한 짜임새를 알기 위해서는 확대를 위한 보조기구를 사용해야 한다. 현미경은 광학렌즈를 이용하여 물체의 구조를 확대시켜 그 해상력을 증대시켜 주는 기구로써 미세구조를 밝히는 데 가장 중요한 기구이다.
1-1. 현미경의 종류
가. 광원의 위치에 따른 분류
정립현미경(up-light microscope)
일반적인 모양의 현미경이다.
2. 도립현미경(down-light microscope, inverted microscope)
대물렌즈가 표본의 아래에 위치한다.
나. 기능에 따른 분류
1.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 = Optic microscope)
표본에 비추어진 빛이 대물렌즈에 의해 확대된 실상을 맺고, 이것을 대안렌즈에 의해서 재 확대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현미경이라고 할 때는 이것을 가리킨다.
2. 입체현미경(Stereoscopic microscope)
두 대물렌즈의 배율이 서로 다르며, 표본의 평면, 측면, 높이 등 입체적 관찰이 기능하여 고체성 물질의 세부 구조를 대략 관찰 할 수 있다.
3. 형광현미경(Fluorescent microscope)
파장이 짧은 자외선(400nm 이하)을 시료에 비추면 형광을 발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시료에 형광물질(형광색소)을 처리한 후 관찰하는 방법으로 병원에서 면역검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4. 위상차현미경(Phase contrast microscope)
배경의 빛은 차단되고 물체가 발하는 빛(발광)만을 뚜렷이 관찰 가능하다.
5. 편광현미경(Polarization microscope)
빛의 편광을 이용하여 분자구조가 상이한 분자들을 관찰 시 이용한다(ex.암석학).
6. 해부현미경(Dissecting microscope)
상의 실체(실물)를 보여주지만 고배율 관찰에는 한계가 있다.
7. 전자현미경(Electron microscope)
전자현미경에서는 광학현미경과는 달리 유리렌즈 대신에 자기렌즈(마그네틱 렌즈)를 이용하고, 광원은 가시광선 대신에 파장이 짧은 전자를 이용한다. 따라서 전자현미경에서는 컬러상을 관찰할 수 없고 흑백상을 관찰하게 된다. 전자의 흐름을 이용하기
키워드
추천자료
[생물학 및 실험보고서 Experiment Report]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일반생물학 및 실험 1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 생물체 관찰의 기본 기구인 현미경 종류 및 구조를 익히고, 일...
생물학 실험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 동물세포 및 식물세포의 관찰
[일반생물학 및 실험보고서 Experiment Report] 현미경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
현미경microscope-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일반생물학 및 실험
실험 4주차_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의 길이 측정 결과 Repor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