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SNS의 활성화가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바일 SNS의 활성화가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이용자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배경
-문헌고찰
-연구문제 및 가설
-용어설명

Ⅱ. 본론
-조사 대상자 및
자료수집방법
-조사결과

Ⅲ. 결론

본문내용

회였으며, 평균을 기준으로 상호작용 횟수가 높게 측정된 사람은 18명이였는데, 이들의 오프라인 관계의 심리적 유대감 및 만족도에 대한 점수가 온라인보다 상대적으로 평균5.3점 낮게 측정되었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 관계에서 심리적 유대감 및 만족도에 대한 문항은 총 36점만점에 온라인은 27.3점 오프라인은 29.7점으로 2.4점 차로, 오프라인이 근소한 차이로 앞섰다.
20대와 10대가 SNS을 통해 서로 주고받은 상호작용 횟수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상호작용 횟수가 높을수록 온라인 관계의 심리적 유대감 및 만족감은 오프라인 관계와의 차이가 평균치에 비해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다.
Ⅲ. 결론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SNS을 통한 온라인 관계가 오프라인 관계형성 및 유지에 미칠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고, 그래서 실제로 개인에게 느끼는 유대감 및 만족도를 측정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SNS의 사용이 관계 형성 및 유지에 느끼는 개인적 만족감, 정서적 유대감이 오프라인상의 관계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온라인상과 오프라인상의 관계의 유대감 및 만족도의 정도의 차이를 인식하고 SNS를 통한 관계형성에 분별력을 지니리라 기대한다.
참고문헌
-[YTN뉴스]2012.01.03 \"SNS가 대인관계 더 활성화 시킨다\"
-[News1]2013.08.21 “무분별한 연결과 정보 과부하로 SNS 피로감 심화”
-최명수,신은경(2003)청소년의 자아구조와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4),1-17
-[스마트폰을 통한 트위터 이용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4.05.15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10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