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론일 것이라 생각 든다. 누구나 우리 아이가 능동적이고 자신의 생각을 자신 있게 표현하고 자신을 사랑하는 아이로 크길 바랄 테니깐 말이다.
*세 가지 이론에 대한 장단점
이론
장점
단점
성숙주의
-발달은 유전적 요인에 따라 성숙한다.
-영유아의 행동특성을 표준화함.
-영유아마다 개인차는 있지만 발달의 순서는 동일하다.
-교사에게 성장단계를 안내하고 도움을 줌.
-환경적은 측면은 고려하지 않음.
-표준목록의 틀에 맞추어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은 고정된 발달이라는 점.
-영유아들을 이해하는 전체 틀로 활용되어서는 안 됨.
행동주의
-영유아의 발달과정은 주변 환경과 더불어 반복적 경험에 의해 성장한다.
-치료기법의 효과성을 중시하고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개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중요시 된다.
-인간의 내적요인(욕구, 동기, 갈등 등)들을 배제하고 인간행동이라는 표면적인 것만으로 인간 전체를 이해하려고 함.
-자율적인 인간의 성격, 심리상태, 느낌, 계획이나 목적, 의도를 부정함.
구성주의
-지식습득과정에서 수동적인 역할의 관점을 벗어나게 함.
-행동들을 단계라는 개념으로 조직화함.
-인지발달의 다양한 측면에서 유용한 길잡이가 됨.
-문화의 영양을 적절하게 고려하지 못함.
-일반화의 한계를 가짐.
-행동주의자들은 학습의 효과가 없이 스스로 인지구조를 발달시킨다는 이론에 반대함.
-성인기에도 인지발달이 계속됨을 간과함.
3. 결론
발달에 관해 예측 가능한 보편성과 개인차를 인정하면서도 영유아의 요구를 보는 시각에 차이가 있다. 발달이론은 보육과정의 자료로 볼 수 있으나, 발달이론에 기초하여 영유아의 모든 것을 제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는 거 같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성숙이론에서는 영유아의 발달단계는 느리고 빠르게 발달이지 발달은 언젠가는 도달하게 되어 있으니 불안하고 조급하게 선행학습 시키지 말고, 행동주의이론처럼 바람직하기 않은 행동을 강화와 보상으로 소거해주며,
구성주의이론처럼 아이의 성향과 기질에 따라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해결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해 준다면 보육의 질과 아이의 건강한 발달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 참고문헌※ 이대균 외,‘보육과정’,양서원, 2020
※ 최옥채 외,‘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08
※ https://blog.naver.com/yameshow/222291555007 네이버 블로그
*세 가지 이론에 대한 장단점
이론
장점
단점
성숙주의
-발달은 유전적 요인에 따라 성숙한다.
-영유아의 행동특성을 표준화함.
-영유아마다 개인차는 있지만 발달의 순서는 동일하다.
-교사에게 성장단계를 안내하고 도움을 줌.
-환경적은 측면은 고려하지 않음.
-표준목록의 틀에 맞추어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은 고정된 발달이라는 점.
-영유아들을 이해하는 전체 틀로 활용되어서는 안 됨.
행동주의
-영유아의 발달과정은 주변 환경과 더불어 반복적 경험에 의해 성장한다.
-치료기법의 효과성을 중시하고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개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중요시 된다.
-인간의 내적요인(욕구, 동기, 갈등 등)들을 배제하고 인간행동이라는 표면적인 것만으로 인간 전체를 이해하려고 함.
-자율적인 인간의 성격, 심리상태, 느낌, 계획이나 목적, 의도를 부정함.
구성주의
-지식습득과정에서 수동적인 역할의 관점을 벗어나게 함.
-행동들을 단계라는 개념으로 조직화함.
-인지발달의 다양한 측면에서 유용한 길잡이가 됨.
-문화의 영양을 적절하게 고려하지 못함.
-일반화의 한계를 가짐.
-행동주의자들은 학습의 효과가 없이 스스로 인지구조를 발달시킨다는 이론에 반대함.
-성인기에도 인지발달이 계속됨을 간과함.
3. 결론
발달에 관해 예측 가능한 보편성과 개인차를 인정하면서도 영유아의 요구를 보는 시각에 차이가 있다. 발달이론은 보육과정의 자료로 볼 수 있으나, 발달이론에 기초하여 영유아의 모든 것을 제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는 거 같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성숙이론에서는 영유아의 발달단계는 느리고 빠르게 발달이지 발달은 언젠가는 도달하게 되어 있으니 불안하고 조급하게 선행학습 시키지 말고, 행동주의이론처럼 바람직하기 않은 행동을 강화와 보상으로 소거해주며,
구성주의이론처럼 아이의 성향과 기질에 따라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해결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해 준다면 보육의 질과 아이의 건강한 발달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 참고문헌※ 이대균 외,‘보육과정’,양서원, 2020
※ 최옥채 외,‘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08
※ https://blog.naver.com/yameshow/222291555007 네이버 블로그
추천자료
보육과정의 세가지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심리 철학적 요소, 운영요소, ...
보육과정의 세가지 (성숙주의,행동주의,구성주의)접근법의 심리 철학적 요소 운영요소 교육요...
★보육과정의 두 가지(성숙주의, 행동주의)접근법 비교분석 및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보육목표★
발달이론의 이해 중 보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성숙주의 이론, 행동주의 이론, 구성주의 이론...
보육과정을 구성하는 발달심리학적 기초는 크게 성숙주의, 행동주의, 정신분석이론, 구성주의...
[A+] 성숙주의와 행동주의에 따른 보육교사의 역할 비교 및 내가 생각하는 보육교사의 역할
[보육과정] 보육과정의 심리적 기초에 대하여 논하시오
보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세 가지(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이론을 장, 단점...
보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세 가지(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이론을 장, 단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