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프로그램 건강신념모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프로그램 건강신념모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건강신념모형

Ⅱ. 본론
1. 건강신념모형
1) 궁극적 목표
2) 특징
3) 기본전제
4) 주요개념
2. 건강신념모형의 적용
1) 구성요소별 적용방법
2) 적용연구
3) 적용 및 예시
3. 건강신념모형의 평가
1) 장단점
2) 제한점
3) 주요명제
4. 회의록
Ⅲ. 결론
1.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생의 가능성이나 심각성을 감소시키게 되면 그 조치나 행동이 이점이 되는 것으로 인지한다.
⇒ 활용예시
- 어떤 긍정적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지 설명
- 혈관계 질환 예방 식생활을 하였을 때 나타나는 건강상의 이로운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
④ 지각된 장애(perceived barrier)
질병예방이나 건강과 관련하여 특정행위를 하고자 할 때 그 행위와 관련하여 비용부담이 되거나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장애가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활용예시
- 행동변화에 어려운 점을 파악하여 도움 제공
- 직장에서 회식 시 혈관계 질환 예방 식생활 실천이 어려움을 공감하고 대처법을 제시
* 이익이 장애요인에 비해 더 크다고 인식될 때, 건강행동의 실천 가능성은 높아진다.
⑤ 지각된 위협(perceived threat)
지각된 심각성과 민감성이 커지면 위협으로 인지되는 것을 말한다.
⑥ 행동의 계기
대중매체 정보, 교육, 전문가의 조언, 캠페인 등에 의하여 특정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cue to action)가 마련되며, 이는 질병의 위협인지에 영향을 미친다.
⇒ 활용예시
- 인식전환을 위한 캠폐인이나 행동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제도 마련
- 직장에서 건강한 회식 갬폐인을 전개
⑦ 기타
개인의 성, 연령, 인종과 같은 인구학적 요인, 성격, 사회적 지위, 동료의 압박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 질병에 대한 지식, 과거 질병경험 등의 구조적 요인들은 특정질병에 대한 민감성, 심각성, 위협, 이익 또는 장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2. 건강신념모형의 적용
1) 구성요소별 적용방법
구성요성
적용방법
인지된 감수성
위험집단과 위험수준을 파악한다.
개인의 특성이나 행동에 근거하여 위험상황을 개인화한다.
인지된 감수성을 개인의 실제위험과 일치시킨다.
인지된 심각성
위험상황의 결과를 구체화한다.
인지된 유익성
취해야 하는 행동을 규정한다: 어떻게, 어디서, 언제; 예상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명확하게 제시한다.
인지된 장애요인
인지된 장애요인들을 파악한 후 안심을 시키거나, 잘못된 정보를 교정해주거나, 보상을 제공하거나,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감소시킨다.
행동의 계기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인식을 증가시킨다.
상기시키는 체계를 활용한다.
2) 건강신념모형 적용연구
Hochbaum(1952) 첫 연구시도: 흉부X선 촬영(결핵)을 받기로 결정하는데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가?
이후: HTN, Uterine Cancer, Infantile paralysis, 치과질환, 유행성독감 등을 미리 알아보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최근: 환자가 증상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의사의 처방을 얼마나 잘 따르냐
3) 적용 및 예시
보건교육 대상 집단의 요구도 진단: 특정 질병에 대한 위협감, 보건행동의 효과에 대한 믿음, 건강행동의 효과와 부정적 측면에 대한 조사
독감예방 중재프로그램 예시
집단
중재전략
1
neytral card: 독감예방접종이 시행되고 있다는 정보제공
2
personal card: 환자의 이름 + 독감예방접종 시행에 대한 정보
3
health belief model card:
대상자들이 독감에 걸릴 가능성에 대한 정보, 이들이 독감에 걸렸을 때의 심각성에 대한 정보, 독감백신의 효과, 독감예방접종의 부작용이 없다는 설명
4
no post card
3. 건강신념모형의 평가
1) 건강신념모형 장단점
① 장점
여러 촉매들이 행동을 자극할 때 다양한 변수에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쉽게 수용되어질 수 있다.
환자의 인지를 변화시킴으로써 행위 변화에 효과적이다.
예방적 건강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것으로 많이 활용되므로 독감 예방 접종, 치과진료이용 등을 설명하는데 상당한 설명력을 가진다.
② 단점
아동 환자 집단에는 유용하지 않다.
건강간호에 영향을 끼치는 장벽을 줄이기 위한 건강 전문가들의 인식변화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2) 건강신념 모형 제한점
지각된 위협 형성에 있어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심각성과의 관련성이 명확하지 않다.
개념들 간의 관련성 검증 필요하다.
형태의 정서적 요인 고려하지 않았다(예: Writte의 두려움).
건강증진 중재, 즉 변화를 위한 중재에 대한 측면에 대해서는 설명이 부족하다.
가장 확실한 전략은 신념의 변화이지만 신념을 직접 변화시키려는 노력은 성공할 가능성이 적고 환경이나 조직의 변화 같은 다른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질병의 위협을 가정하므로 건장증진 측면보다는 질병예방을 강조하고 있다.
3) 주요 명제
특정 질병에 대한 민감성과 심각성은 위협으로 인지된다.
특정 질병에 대한 위협이 높을수록 특정 건강행위를 할 가능성은 높다.
특정 행위에 대한 이점이 장애보다 클 때 특정 건강행위를 할 가능성은 높다.
Ⅲ. 결론
1. 참고문헌
안양희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2015) 현문사. 2015년. 서울
이정열 외 6명(2012). 역학과 건강증진. 수문사
박인혜 외 9명(2011). 보건교육학. 정문각
건강신념모형.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JvUIKBPqNjkJ:unit.mokwon.ac.kr/board/loadFile.ht%3FfileNm%3D2011%252F201104211227014048351675596034.hwp+&cd=1&hl=ko&ct=clnk&gl=kr
건강증진의 이론적 모형.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7OwkdLvpNGMJ:nurse.sehan.ac.kr/%3Fmodule%3Dfile%26act%3DprocFileDownload%26file_srl%3D5642%26sid%3D5626686c892af257f1f7b76df6cb4a93%26module_srl%3D174+&cd=1&hl=ko&ct=clnk&gl=kr
[네이버 지식백과] 건강 행동 이론 [theories of health protective behaviors]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94232&cid=41991&categoryId=41991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4.05.30
  • 저작시기201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2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