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구의 필요성
-문헌고찰
-간호과정
-간호진단
-참고문헌
-문헌고찰
-간호과정
-간호진단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둔부 양쪽에 번갈아 주사한다. 치료초기 이후에는 정제 또는 좌제로 바꾸어 투여해야 한다. 연령, 질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금기:
소화성궤양 환자, 혈액이상 환자, 간장애 환자, 신장애 환자, 심기능부전 환자, 기관지 천식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이약의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
부작용:
혈액 : 드물게 과립구감소, 헤모글로빈감소, 백혈구감소
피부: 가려움, 습진, 피부염, 혈관부종, 다형성 홍반 등
신장 : 드물게 급성 신부전
과민증 : 드물게 천식발작, 때때로 발진, 두드러기
■ 처방약물
간호진단
#1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3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4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
#1 진단명: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자료수집
주관적자료 :
부모가 “4일 전부터 아이가 자꾸 피부를 긁어요.”
“아이배랑 엉덩이에 모기에 물린 것처럼 붉은색 반점이 올라왔어요”라고 표현한다
“누가 간질이는 것처럼 계속 간지러워요”
객관적자료 :
.복부와 둔부에 붉은색 반점이 관찰됨
수포와 물집이 일부 터져있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목표
단기목표:
2일 이내에 소양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보호자는 피부의 자극을 줄이는 전환요법을 2가지이상 실시한다(tv보기,면장갑착용)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피부의 수포나 가피없이 치유 된다.
간호계획
①피부의 전반적인 상태와 소양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습기를 유발하는 환경적요소(상처의 수포, 병실습도)를 사정한다
③보호자의 전환요법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④손톱을 자주 깎고, 손씻기등 위생관리를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⑤아동에게 가려운 부위를 긁지 말고 토닥토닥 누르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①피부의 전반적인 상태와 소양증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②습기를 유발하는 환경적요소(상처의 수포, 병실습도)를 사정하였다
->보호자가 수시로 창문을 열어놓는 모습이 보였다
③보호자의 전환요법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하였다
->보호자가 아동에게 면장갑을 끼워준 모습이 보였다
④손톱을 자주 깎고, 손씻기등 위생관리를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보호자가 수시로 아동과 손씻는 모습과, 손톱을 잘라주는 모습이 보였다
⑤아동에게 가려운 부위를 긁지 말고 토닥토닥 누르도록 교육하였다
->아동이 복부를 토닥토닥 손으로 누르는 모습이 보였다
합리적
근거
①피부의 전반적인 상태의 사정을 통해 간호진단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고, 상처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②대상자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③면장갑 착용으로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수면시간에 무의식적인 자극을 피할 수 있다
④손톱을 짧게 자름으로써 이차적인 상처 발생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⑤소양감이 느껴지는 부위에 가해지는 자극을 줄여준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2일 이내에 “이제는 간지럽지 않아요” 라고 말하였다
보호자는 피부의 자극을 줄이는 전환요법(뽀로로 만화보기, 면장갑착용)을 실시하였다
(단기목표: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피부의 수포나 가피없이 치유 되었다.(장기목표 :달성)
#2 진단명: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자료수집
주관적자료 :
“아이가 10일 동안 입맛이 없다고 하고 밥을 안 먹었어요.”
“아이가 열이 난 이후로 조금만 먹었어요.” 부모가 표현하였다
“밥 먹고 싫어요. 입맛이 없어요.”
객관적자료 : 최근 체중 1 kg 감소, 입안건조 관찰됨, 식사시 밥을 2/3 남김 관찰됨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섭취량이 늘어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체중 감소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①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②대상자의 식욕부진의 원인을 사정한다.
③I/O를 사정한다.
④매일 아침 같은 시간에 몸무게를 측정한다.
⑤소량씩 자주 먹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⑥ 대상자의 기호식품을 중심으로 식이 제한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식이섭취를 격려한다.
간호수행
①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하였다->보호자가 골고루 먹이는 모습이 보였다
②대상자의 식욕부진의 원인을 사정하였다->좋아하는 바나나를 먹는 모습 보임
③I/O를 사정하였다
④매일 아침 같은 시간에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5/1
18.4kg
5/2
18.5kg
5/3
18.7kg
⑤소량씩 자주 먹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수시로 좋아하는 간식을 먹고 있음
⑥대상자의 기호식품을 중심으로 식이 제한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식이섭취를 격려하였다-> 뽀로로 음료와 간식을 보호자가 수시로 먹여주는 모습이 보였다
합리적
근거
①대상자의 입원 전 식사량과 습관을 사정하고, 현재 식사량과 비교하기 위함이다.
②식욕부진의 원인을 찾아 원인을 제거하면 식욕이 올라 갈 것이기 때문이다.
③섭취량과 배설량을 알기 위함이다.
④신체계측 사정은 대상자의 칼로리와 영양 요구파악을 위해 필요하다
⑤소량씩 자주 먹음으로 인해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⑥ 대상자의 기호에 맞는 음식을 함께 섭취한다면 음식섭취량이 늘어날 것이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 섭취량이 늘어났다
->(5/1)입원당시 식사량 2/3남김, (5/4)식사량 1/3 남김
(단기목표: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체중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5/1)체중 18.4kg -> 19.8kg (장기목표: 달성)
Ⅲ. 결론
2학년때 수두를 배웠고, 평소에 드물지 않게 접했던 병명이기에 쉽게 다가갈 수 있을것이라 생각 했지만, 질병은 어느 하나 가벼이 여길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조카가 아토피가 있어서 시도때도 없이 피가나게 긁어 혼나곤 했었는데, 그 기억이 드문드문 나서 왠지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가려움으로 인한 괴로움을 아주 잘 알고 있어 대상자의 심정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아동간호학을 공부하면서 수두라는 질병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 참고문헌
- 아동간호학 총론-김영혜 외, 현문사
P234~235 P 540, P541 P420~424
- 북샘터 아동간호학 해설집
- 네이버 지식백과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 약물참조 : www.kimsonline.co.kr
금기:
소화성궤양 환자, 혈액이상 환자, 간장애 환자, 신장애 환자, 심기능부전 환자, 기관지 천식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이약의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
부작용:
혈액 : 드물게 과립구감소, 헤모글로빈감소, 백혈구감소
피부: 가려움, 습진, 피부염, 혈관부종, 다형성 홍반 등
신장 : 드물게 급성 신부전
과민증 : 드물게 천식발작, 때때로 발진, 두드러기
■ 처방약물
간호진단
#1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3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4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
#1 진단명: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자료수집
주관적자료 :
부모가 “4일 전부터 아이가 자꾸 피부를 긁어요.”
“아이배랑 엉덩이에 모기에 물린 것처럼 붉은색 반점이 올라왔어요”라고 표현한다
“누가 간질이는 것처럼 계속 간지러워요”
객관적자료 :
.복부와 둔부에 붉은색 반점이 관찰됨
수포와 물집이 일부 터져있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목표
단기목표:
2일 이내에 소양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보호자는 피부의 자극을 줄이는 전환요법을 2가지이상 실시한다(tv보기,면장갑착용)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피부의 수포나 가피없이 치유 된다.
간호계획
①피부의 전반적인 상태와 소양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습기를 유발하는 환경적요소(상처의 수포, 병실습도)를 사정한다
③보호자의 전환요법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④손톱을 자주 깎고, 손씻기등 위생관리를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⑤아동에게 가려운 부위를 긁지 말고 토닥토닥 누르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①피부의 전반적인 상태와 소양증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②습기를 유발하는 환경적요소(상처의 수포, 병실습도)를 사정하였다
->보호자가 수시로 창문을 열어놓는 모습이 보였다
③보호자의 전환요법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하였다
->보호자가 아동에게 면장갑을 끼워준 모습이 보였다
④손톱을 자주 깎고, 손씻기등 위생관리를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보호자가 수시로 아동과 손씻는 모습과, 손톱을 잘라주는 모습이 보였다
⑤아동에게 가려운 부위를 긁지 말고 토닥토닥 누르도록 교육하였다
->아동이 복부를 토닥토닥 손으로 누르는 모습이 보였다
합리적
근거
①피부의 전반적인 상태의 사정을 통해 간호진단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고, 상처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②대상자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③면장갑 착용으로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수면시간에 무의식적인 자극을 피할 수 있다
④손톱을 짧게 자름으로써 이차적인 상처 발생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⑤소양감이 느껴지는 부위에 가해지는 자극을 줄여준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2일 이내에 “이제는 간지럽지 않아요” 라고 말하였다
보호자는 피부의 자극을 줄이는 전환요법(뽀로로 만화보기, 면장갑착용)을 실시하였다
(단기목표: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피부의 수포나 가피없이 치유 되었다.(장기목표 :달성)
#2 진단명: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자료수집
주관적자료 :
“아이가 10일 동안 입맛이 없다고 하고 밥을 안 먹었어요.”
“아이가 열이 난 이후로 조금만 먹었어요.” 부모가 표현하였다
“밥 먹고 싫어요. 입맛이 없어요.”
객관적자료 : 최근 체중 1 kg 감소, 입안건조 관찰됨, 식사시 밥을 2/3 남김 관찰됨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섭취량이 늘어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체중 감소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①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②대상자의 식욕부진의 원인을 사정한다.
③I/O를 사정한다.
④매일 아침 같은 시간에 몸무게를 측정한다.
⑤소량씩 자주 먹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⑥ 대상자의 기호식품을 중심으로 식이 제한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식이섭취를 격려한다.
간호수행
①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하였다->보호자가 골고루 먹이는 모습이 보였다
②대상자의 식욕부진의 원인을 사정하였다->좋아하는 바나나를 먹는 모습 보임
③I/O를 사정하였다
④매일 아침 같은 시간에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5/1
18.4kg
5/2
18.5kg
5/3
18.7kg
⑤소량씩 자주 먹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수시로 좋아하는 간식을 먹고 있음
⑥대상자의 기호식품을 중심으로 식이 제한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식이섭취를 격려하였다-> 뽀로로 음료와 간식을 보호자가 수시로 먹여주는 모습이 보였다
합리적
근거
①대상자의 입원 전 식사량과 습관을 사정하고, 현재 식사량과 비교하기 위함이다.
②식욕부진의 원인을 찾아 원인을 제거하면 식욕이 올라 갈 것이기 때문이다.
③섭취량과 배설량을 알기 위함이다.
④신체계측 사정은 대상자의 칼로리와 영양 요구파악을 위해 필요하다
⑤소량씩 자주 먹음으로 인해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⑥ 대상자의 기호에 맞는 음식을 함께 섭취한다면 음식섭취량이 늘어날 것이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 섭취량이 늘어났다
->(5/1)입원당시 식사량 2/3남김, (5/4)식사량 1/3 남김
(단기목표: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체중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5/1)체중 18.4kg -> 19.8kg (장기목표: 달성)
Ⅲ. 결론
2학년때 수두를 배웠고, 평소에 드물지 않게 접했던 병명이기에 쉽게 다가갈 수 있을것이라 생각 했지만, 질병은 어느 하나 가벼이 여길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조카가 아토피가 있어서 시도때도 없이 피가나게 긁어 혼나곤 했었는데, 그 기억이 드문드문 나서 왠지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가려움으로 인한 괴로움을 아주 잘 알고 있어 대상자의 심정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아동간호학을 공부하면서 수두라는 질병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 참고문헌
- 아동간호학 총론-김영혜 외, 현문사
P234~235 P 540, P541 P420~424
- 북샘터 아동간호학 해설집
- 네이버 지식백과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 약물참조 : www.kimsonline.co.kr
추천자료
아동간호실습case-두개골유합증 과 수두증 입니다.
[아동간호학][Purpura][자반증]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폐렴 케이스 스터디(PNEUMONIA case study)
성인 수두증 케이스 A+ 받았습니다. 간호진단 5개
아동간호실습 급성기관지염 + 인두염 케이스 발표 자료
아동간호학 뇌수종 조별 사례보고서 (case study)
신경외과 간호과정 A+(학술제 발표자료, 간호진단, 과정 2가지 상세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