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드론 기술을 활용한 외벽 도장 작업
2. 와이어 로봇을 이용한 안전한 도장 작업
3. 프린팅 건축기술의 한계와 극복 방안
4. 시내버스 좌석 개선을 통한 편의성 증진
2. 와이어 로봇을 이용한 안전한 도장 작업
3. 프린팅 건축기술의 한계와 극복 방안
4. 시내버스 좌석 개선을 통한 편의성 증진
본문내용
열 성능이 저하
3) 문제2. 횡방향철근, 스터럽 철근 배근 불가
- 철근배근이 어려워 인장파괴에 취약
2. 급정거시 시내버스좌석의 구조적 문제 및 좌석의 적재공간 부족 문제
1) 현황
구형 시내버스 좌석
신형 시내버스 좌석
2) 문제1. 급정거시 낙상 위험성
- 좌석 바닥면이 평평하여 급정거 시 미끌림 발생
- 노년층 특히 위험
3) 문제2. 적재공간의 부재
- 버스좌석 내 별도의 적재공간이 없음
- 가방이나 장바구니를 직접 안고 타거나 바닥에 내려놓아야 하는 불편 발생
시내버스 짐칸 필요성1
시내버스 짐칸 필요성2
4) 문제3. 목받이의 부재 등 불편한 착좌감
- 목받이가 없어서 장시간 이용시에 목에 필요가 쌓임
- 의자가 거의 직각이고 딱딱한 소재라 불편함
5) 해결책 스케치
시내버스 좌석 불편함 제기
스케치1
스케치2
스케치3
3. 인력 중심 건물 외벽 도장 작업의 안전성 문제
1) 현황
아파트 및 기타 건축물의 도장공사 필요
2) 문제1. 위험성
외벽 도장 공사 위험성
도장 공사 위험성
- 신체가 아파트 옥상에 달린 두 개의 줄에 의존하여 위험
- 매년 아파트 도장 작업 중 사망자 발생
3) 문제2. 비용
도장공사비용 부담
- 인력 중심의 작업이라 비용이 많이 들어감
- 업체별 비용이 천차만별
4) 문제3. 도장면 마감 미흡
- 아파트 외벽 수명은 재도장 공사에 따라 달라짐
- 도장작업은 균열보수작업과 함께함.
- 인력중심의 작업에서 도장면이 간혹 미흡하기도 함.
5) 해결책 스케치
- 드론을 활용한 페인팅 로봇 제작
- 건물 외벽 모서리에 와이어를 달아 도장작업을 할 수 있는 와이어 로봇 제작
3) 문제2. 횡방향철근, 스터럽 철근 배근 불가
- 철근배근이 어려워 인장파괴에 취약
2. 급정거시 시내버스좌석의 구조적 문제 및 좌석의 적재공간 부족 문제
1) 현황
구형 시내버스 좌석
신형 시내버스 좌석
2) 문제1. 급정거시 낙상 위험성
- 좌석 바닥면이 평평하여 급정거 시 미끌림 발생
- 노년층 특히 위험
3) 문제2. 적재공간의 부재
- 버스좌석 내 별도의 적재공간이 없음
- 가방이나 장바구니를 직접 안고 타거나 바닥에 내려놓아야 하는 불편 발생
시내버스 짐칸 필요성1
시내버스 짐칸 필요성2
4) 문제3. 목받이의 부재 등 불편한 착좌감
- 목받이가 없어서 장시간 이용시에 목에 필요가 쌓임
- 의자가 거의 직각이고 딱딱한 소재라 불편함
5) 해결책 스케치
시내버스 좌석 불편함 제기
스케치1
스케치2
스케치3
3. 인력 중심 건물 외벽 도장 작업의 안전성 문제
1) 현황
아파트 및 기타 건축물의 도장공사 필요
2) 문제1. 위험성
외벽 도장 공사 위험성
도장 공사 위험성
- 신체가 아파트 옥상에 달린 두 개의 줄에 의존하여 위험
- 매년 아파트 도장 작업 중 사망자 발생
3) 문제2. 비용
도장공사비용 부담
- 인력 중심의 작업이라 비용이 많이 들어감
- 업체별 비용이 천차만별
4) 문제3. 도장면 마감 미흡
- 아파트 외벽 수명은 재도장 공사에 따라 달라짐
- 도장작업은 균열보수작업과 함께함.
- 인력중심의 작업에서 도장면이 간혹 미흡하기도 함.
5) 해결책 스케치
- 드론을 활용한 페인팅 로봇 제작
- 건물 외벽 모서리에 와이어를 달아 도장작업을 할 수 있는 와이어 로봇 제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