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3
2. 본론 4-16
3. 결론 17
4. 참고문헌18
2. 본론 4-16
3. 결론 17
4. 참고문헌18
본문내용
판 출판에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대한간호협회의 기관지인 대한간호를 격월로 발행하여 주요 정책사업, 보건의료계 최신 동향 등을 회원에게 전함으로써 계속교육과 자질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4) 국제 한인간호 학술대회
국제 한인간호 학술대회는 미국, 서독 등 해외로 진출한 한인간호사들과 국내 간호사들이 간호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발표하고 교류함으로써 간호사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대회이다. 1978년 개최된 제1차 국제 한인간호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2년마다 열리고 있으며 1980년대의 학술대회는 협회 회원과 해외 회원 간의 학술교류가 주였으나, 1990년대부터는 해외 회원에게 우리나라 간호를 알리고 주제 강연과 대회진행을 지원하여 해외 회원의 학술적인 향상이 한국적 문화와 가치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끌고 있다
.
[제1회 재미한인간호협회 초청 합동 학술대회(1979)]
3. 한국간호의 최근 동향 (1990년 이후의 간호 ~ )
[간호학개론 2판, 포널스출판사 자료를 토대로 작성]
가. 대한간호협회 창립 90주년
우리나라 보건의료계 최초로 간호전문직 자율규제기구인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을 설립하였다. 또한 여성 정치 참여 확대에도 많은 관심을 가졌고, 1991년 대한간호정우회가 조직되었다. 2021년 6월 22일 ‘한국간호평가원’을 한국간호교육평가원‘으로 기관명을 변경하였다.
나. 전문간호사 제도의 확립 및 발전
1973년 의료법 제 56조에서 분야별 간호사로 보건, 마취, 가정, 정신간호사를 명시함으로써 시작되었고, 2003년 감염관리, 산업, 응급, 노인, 중환자 및 호스피스 분야 등 6개 분야가 추가로 지정되었다. 2006년 종양, 임상, 아동 분야가 추가 지정되어 총 13개의 전문간호 분야로 다시 확대되었다.
다. 간호교육 4년 학제 일원화 실현
이원화되어 있던 간호교육제도를 4년제로 일원화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2011년 간호교육 4년 일원화를 실현하였다.
라. 간호수가제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수가란 간호사가 제공한 간호행위의 제공 대가로 지불을 청구할 수 있는 금액이다. 또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보호자없는 병원, 즉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한 팀이 되어 환자를 돌봐주는 서비스를 이른다. 간호사가 입원 병상의 전문 간호서비스를 24시간 전담하고, 간호조무사는 간호사와 함께 보조 역할을 수행해 개인적으로 간병인을 두거나 보호자가 환자를 돌보지 않고도 입원생활을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서비스다. 본래 포괄간호서비스로 불리다가 2016년 4월부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마. 간호법 제정 및 간호정책과 설치추진
간호사의 전문성 강화, 간호사의 열악한 노동조건과 높은 이직 문제 해결, 간호인력 배치 기준마련,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요양기관과 지역사회 간호업무의 중요성 등을 해결하기 위해 간호단독법을 제정하기 위해 대한간호협회와 국회위원들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현행 의료법은 간호를 매우 협소하게 다루고 있어서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간호와 관련한 영역을 보다 체계적으로 법에서 규정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간호법 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3
결론
지금까지 한국의 성장기와 발전기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1960년부터 1979년의 성장기에는 간호사의 면허제도가 확립되고 간호교육제도가 정비되면서 한국간호가 성장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대한간호협회의 전문적인 단체활동, 윤리강령 제정 및 개정, 대한간호학회의 창설 등을 통하여 간호가 전문직으로서의 인식을 갖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1980년대 이후 발전기의 한국간호는 간호교육이 크게 발전하였고, 해외국가와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고, 간호교육 4년제 일원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하였던 시기이다. 그리고 드디어, 2011년 간호교육 4년제 일원화를 이루게 되었고, 간호사의 지위와 전문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처럼 한 단계씩 간호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 이어져서 현재의 전문직 간호사라는 이미지를 형성해올 수 있었다. 하지만, 향후 개선해야 할 문제가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근로조건의 향상 및 태움문화 개선, 간호사 1명당 환자 수 개선, 높은 이직률에 관한 문제이다.
현재, 간호사단독법(간호법)을 제정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약 46만 명에 달하는 간호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호사 업무에 대한 업무범위와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에는 보건사법, 조산사법, 의사법 등이 이미 제정되어 전문화를 추구하고 있고, 간호사의 경우 1948년에 간호법을 제정하였다고 한다.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 90개의 나라들도 간호법을 제정하고 있다. 하지만 OECD국가 중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간호법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나라는 한국뿐이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간호법 외에 추가 법률을 제정하여 전문화된 간호사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한다.
한국의 고령인구는 무서운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2050년도에는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세계 1위가 될 것이라고 UN에서 전망하였다. 따라서, 전문간호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더욱 높아질 것이고, 간호인력의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계속해서 발전해왔던 한국간호의 역사처럼 향후의 간호인력부족과 숙련된 간호사들의 이직을 막기 위한 노력이 가장 필요한 시점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4
참고문헌
1. 고명숙 외 8인(2015). 간호학개론 개정3판. 한국간호의 역사
2. 김분한, 김동옥, 박성석, 윤매옥, 홍주은 외 공저(2020). 간호학개론 2판. 236-273
3. 대한간호협회 사이트
4. 신미자, 이꽃메, 김지미, 안성희, 강윤숙, 강익화, 김문실, 문희자(2013). 간호의 역사. 260-355
5. 간호관련 블로그
https://blog.naver.com/gda04110/222165131744
https://blog.naver.com/mj8036/220776000617
https://blog.naver.com/mj8036/220776096692
https://blog.naver.com/1919jeje/222316617300
4) 국제 한인간호 학술대회
국제 한인간호 학술대회는 미국, 서독 등 해외로 진출한 한인간호사들과 국내 간호사들이 간호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발표하고 교류함으로써 간호사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대회이다. 1978년 개최된 제1차 국제 한인간호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2년마다 열리고 있으며 1980년대의 학술대회는 협회 회원과 해외 회원 간의 학술교류가 주였으나, 1990년대부터는 해외 회원에게 우리나라 간호를 알리고 주제 강연과 대회진행을 지원하여 해외 회원의 학술적인 향상이 한국적 문화와 가치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끌고 있다
.
[제1회 재미한인간호협회 초청 합동 학술대회(1979)]
3. 한국간호의 최근 동향 (1990년 이후의 간호 ~ )
[간호학개론 2판, 포널스출판사 자료를 토대로 작성]
가. 대한간호협회 창립 90주년
우리나라 보건의료계 최초로 간호전문직 자율규제기구인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을 설립하였다. 또한 여성 정치 참여 확대에도 많은 관심을 가졌고, 1991년 대한간호정우회가 조직되었다. 2021년 6월 22일 ‘한국간호평가원’을 한국간호교육평가원‘으로 기관명을 변경하였다.
나. 전문간호사 제도의 확립 및 발전
1973년 의료법 제 56조에서 분야별 간호사로 보건, 마취, 가정, 정신간호사를 명시함으로써 시작되었고, 2003년 감염관리, 산업, 응급, 노인, 중환자 및 호스피스 분야 등 6개 분야가 추가로 지정되었다. 2006년 종양, 임상, 아동 분야가 추가 지정되어 총 13개의 전문간호 분야로 다시 확대되었다.
다. 간호교육 4년 학제 일원화 실현
이원화되어 있던 간호교육제도를 4년제로 일원화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2011년 간호교육 4년 일원화를 실현하였다.
라. 간호수가제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수가란 간호사가 제공한 간호행위의 제공 대가로 지불을 청구할 수 있는 금액이다. 또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보호자없는 병원, 즉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한 팀이 되어 환자를 돌봐주는 서비스를 이른다. 간호사가 입원 병상의 전문 간호서비스를 24시간 전담하고, 간호조무사는 간호사와 함께 보조 역할을 수행해 개인적으로 간병인을 두거나 보호자가 환자를 돌보지 않고도 입원생활을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서비스다. 본래 포괄간호서비스로 불리다가 2016년 4월부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마. 간호법 제정 및 간호정책과 설치추진
간호사의 전문성 강화, 간호사의 열악한 노동조건과 높은 이직 문제 해결, 간호인력 배치 기준마련,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요양기관과 지역사회 간호업무의 중요성 등을 해결하기 위해 간호단독법을 제정하기 위해 대한간호협회와 국회위원들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현행 의료법은 간호를 매우 협소하게 다루고 있어서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간호와 관련한 영역을 보다 체계적으로 법에서 규정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간호법 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3
결론
지금까지 한국의 성장기와 발전기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1960년부터 1979년의 성장기에는 간호사의 면허제도가 확립되고 간호교육제도가 정비되면서 한국간호가 성장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대한간호협회의 전문적인 단체활동, 윤리강령 제정 및 개정, 대한간호학회의 창설 등을 통하여 간호가 전문직으로서의 인식을 갖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1980년대 이후 발전기의 한국간호는 간호교육이 크게 발전하였고, 해외국가와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고, 간호교육 4년제 일원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하였던 시기이다. 그리고 드디어, 2011년 간호교육 4년제 일원화를 이루게 되었고, 간호사의 지위와 전문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처럼 한 단계씩 간호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 이어져서 현재의 전문직 간호사라는 이미지를 형성해올 수 있었다. 하지만, 향후 개선해야 할 문제가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근로조건의 향상 및 태움문화 개선, 간호사 1명당 환자 수 개선, 높은 이직률에 관한 문제이다.
현재, 간호사단독법(간호법)을 제정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약 46만 명에 달하는 간호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호사 업무에 대한 업무범위와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에는 보건사법, 조산사법, 의사법 등이 이미 제정되어 전문화를 추구하고 있고, 간호사의 경우 1948년에 간호법을 제정하였다고 한다.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 90개의 나라들도 간호법을 제정하고 있다. 하지만 OECD국가 중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간호법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나라는 한국뿐이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간호법 외에 추가 법률을 제정하여 전문화된 간호사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한다.
한국의 고령인구는 무서운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2050년도에는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세계 1위가 될 것이라고 UN에서 전망하였다. 따라서, 전문간호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더욱 높아질 것이고, 간호인력의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계속해서 발전해왔던 한국간호의 역사처럼 향후의 간호인력부족과 숙련된 간호사들의 이직을 막기 위한 노력이 가장 필요한 시점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4
참고문헌
1. 고명숙 외 8인(2015). 간호학개론 개정3판. 한국간호의 역사
2. 김분한, 김동옥, 박성석, 윤매옥, 홍주은 외 공저(2020). 간호학개론 2판. 236-273
3. 대한간호협회 사이트
4. 신미자, 이꽃메, 김지미, 안성희, 강윤숙, 강익화, 김문실, 문희자(2013). 간호의 역사. 260-355
5. 간호관련 블로그
https://blog.naver.com/gda04110/222165131744
https://blog.naver.com/mj8036/220776000617
https://blog.naver.com/mj8036/220776096692
https://blog.naver.com/1919jeje/2223166173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