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 및 예방을 위한 기업의 발전 방향
2.2 Bradley Model이란?
2.3 영국의 로벤스 보고서에 대한 요약 및 도입의 필요성
2.4 화재 폭발 사고 사례 및 예방 대책
3.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2.1.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 및 예방을 위한 기업의 발전 방향
2.2 Bradley Model이란?
2.3 영국의 로벤스 보고서에 대한 요약 및 도입의 필요성
2.4 화재 폭발 사고 사례 및 예방 대책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있다.
2.4 화재 폭발 사고 사례 및 예방 대책
2022년 4월 29일 오후 1시 32분, 이천시 모가면 소고리 640-1 한익스프레스 남이천물류센터의 지하 2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인해 38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입는 등 큰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4월 30일 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물류창고를 심사 및 확인한 결과,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고 수차례 개선을 요구했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된 우레탄 폼 등으로 인해 가연성 증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화재가 크게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78명의 인원이 동시에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상황 전파 등 대응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상의 근로자 또한 다수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상황은 과거 2008년 이천 냉동창고 화재와 유사한 모습임에도 불구하고, 12년이 지난 최근까지 개선이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움과 분노를 일으켰던 사례이다.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안전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현재 상황만을 해결하려고 하는 게 아닌, 더 나아가 미래의 상황까지 예측해서 관리를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본 사고의 경우 지속적으로 개선 요구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괜찮겠지 하는 생각으로 넘어갔다가 발생한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개선 요구사항이 발생했을 때 바로바로 해결이 되도록 사전에 주기적으로 관리를 하고, 문제가 되는 상황 등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국가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 시기의 논란만을 넘기기 위해 법안을 마련하는 것이 아닌 정말로 산업 안전을 위한 법안을 마련하고, 대책을 정리해서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3. 결론
현재 국가에서는 산업재해에 대한 문제를 인지하고 다양한 법안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산업재해 수는 줄어들지 않은 상황이고, 특히 소규모의 기업에서 지속적인 산업재해가 발생하거나, 안일하게 생각했을 때 큰 재해로 연결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대처하기 보단 그 상황만을 넘기기 위해 법안을 지키는 것이 아닌 정말로 나, 우리, 그리고 모두가 안전하게 산업직에서 근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더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e-나라지표 홈페이지
https://www.index.go.kr/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https://www.comwel.or.kr/comwel/comp/comp1.jsp
허진, (2021). 리더십이 기업의 안전문화에 미치는 중요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5747029
김영식, (2019). 건설업과 제조업의 안전문화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송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5153461
전형배, (2022). 로벤스 보고서의 함의 ― 자율 규제를 중심으로 ―, 한국노동법학회, 82, p. 157~194.
https://www.riss.kr/link?id=A108155353
연합뉴스, 최종호 기자, 2020.04.29., 이천 물류창고 화재로 38명 사망…지하 2층서 폭발(종합2보)
https://www.yna.co.kr/view/AKR20200429200300061?input=1195m
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2020.04.03., “물류창고 화재참사 예견됐나…\"화재위험성 6차례 개선요구\"”
https://www.yna.co.kr/view/AKR20200430040800061?input=1195m
2.4 화재 폭발 사고 사례 및 예방 대책
2022년 4월 29일 오후 1시 32분, 이천시 모가면 소고리 640-1 한익스프레스 남이천물류센터의 지하 2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인해 38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입는 등 큰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4월 30일 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물류창고를 심사 및 확인한 결과,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고 수차례 개선을 요구했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된 우레탄 폼 등으로 인해 가연성 증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화재가 크게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78명의 인원이 동시에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상황 전파 등 대응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상의 근로자 또한 다수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상황은 과거 2008년 이천 냉동창고 화재와 유사한 모습임에도 불구하고, 12년이 지난 최근까지 개선이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움과 분노를 일으켰던 사례이다.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안전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현재 상황만을 해결하려고 하는 게 아닌, 더 나아가 미래의 상황까지 예측해서 관리를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본 사고의 경우 지속적으로 개선 요구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괜찮겠지 하는 생각으로 넘어갔다가 발생한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개선 요구사항이 발생했을 때 바로바로 해결이 되도록 사전에 주기적으로 관리를 하고, 문제가 되는 상황 등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국가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 시기의 논란만을 넘기기 위해 법안을 마련하는 것이 아닌 정말로 산업 안전을 위한 법안을 마련하고, 대책을 정리해서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3. 결론
현재 국가에서는 산업재해에 대한 문제를 인지하고 다양한 법안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산업재해 수는 줄어들지 않은 상황이고, 특히 소규모의 기업에서 지속적인 산업재해가 발생하거나, 안일하게 생각했을 때 큰 재해로 연결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대처하기 보단 그 상황만을 넘기기 위해 법안을 지키는 것이 아닌 정말로 나, 우리, 그리고 모두가 안전하게 산업직에서 근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더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e-나라지표 홈페이지
https://www.index.go.kr/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https://www.comwel.or.kr/comwel/comp/comp1.jsp
허진, (2021). 리더십이 기업의 안전문화에 미치는 중요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5747029
김영식, (2019). 건설업과 제조업의 안전문화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송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5153461
전형배, (2022). 로벤스 보고서의 함의 ― 자율 규제를 중심으로 ―, 한국노동법학회, 82, p. 157~194.
https://www.riss.kr/link?id=A108155353
연합뉴스, 최종호 기자, 2020.04.29., 이천 물류창고 화재로 38명 사망…지하 2층서 폭발(종합2보)
https://www.yna.co.kr/view/AKR20200429200300061?input=1195m
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2020.04.03., “물류창고 화재참사 예견됐나…\"화재위험성 6차례 개선요구\"”
https://www.yna.co.kr/view/AKR20200430040800061?input=1195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