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일본 정호 외교에서도 주체성을 잃지 않았다. 권주체라는 중간 직함을 사용하거나 외교기관을 따로 설치하는 등 완곡한 방식으로 대등한 입장을 견지했다.
당시 고려의 이런 외교정책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다원화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초기에는 송과 친선관계를 유지하면서 중원중심의 소중화 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후기로 갈수록 몽골 세력이 대두하자 고려는 이를 적절히 활용하여 송과 거란 사이에서 실리를 취하는 방식으로 외교를 펼쳐나갔다.
이처럼 10~12세기 고려의 외교는 다원적 국제질서 속에서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한 \'외왕내제\'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주변 강국과의 실리외교를 펼치며 자주성을 확보했던 것이다.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120~126쪽. 참고
⑸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고려 후기에는 역사서 편찬과 사학 연구가 매우 활발해졌다. 특히 정치적 혼란과 외세의 침입 등 국가의 위기 상황 속에서 역사에 대한 인식과 서술 경향이 달라졌다.
먼저 고려의 공식 연대기인 \'고려사\'가 완성되었다.\'고려사\'는 기전체 형식으로 고려의 역사를 상세히 기록했다.
한편, 불교계에서는 \'고려사\' 편찬을 계기로 \'고려상정과록\'이라는 사서를 편찬했다. 이 책은 역대 주요 화상과 고승들의 행적을 수록한 것으로, 당시 사회 전반에 걸친 불교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또한 이자현, 이곡, 이승휴 등 신진 사림들이 새로운 역사관을 내세웠다. 그들은 성리학적 합리주의와 민족의식에 기초하여 \'고려역사\'를 편찬했다. 이 책은 고려 역대 왕들의 업적을 있는 그대로 평가하여 기록했다.
특히 몽골 침략기를 단순한 정복사로만 서술하지 않고, 민족의 저항과 투쟁사로 기록하였다. 민족의 자주성과 나라 사랑의 마음을 역사 서술에 잘 반영한 것이다.
이외에도 이승휴의 \'제왕운기\', 정도전의 \'고려묘지명\', 최유청의 \'고려우병습가\' 등 다양한 사서와 문헌이 편찬되었다. 이를 통해 당시 사회와 정치, 문화 등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특히 고려 후기 지식인들은 성리학적 이념과 도학사상에 기반하여 민족의식과 주체의식을 역사인식에 반영했다. 그들은 국난 속에서도 민족정신을 역사 서술에 바탕으로 삼아 새로운 역사관을 제시했던 것이다.
참고문헌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137-139쪽. 참고
당시 고려의 이런 외교정책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다원화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초기에는 송과 친선관계를 유지하면서 중원중심의 소중화 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후기로 갈수록 몽골 세력이 대두하자 고려는 이를 적절히 활용하여 송과 거란 사이에서 실리를 취하는 방식으로 외교를 펼쳐나갔다.
이처럼 10~12세기 고려의 외교는 다원적 국제질서 속에서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한 \'외왕내제\'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주변 강국과의 실리외교를 펼치며 자주성을 확보했던 것이다.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120~126쪽. 참고
⑸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고려 후기에는 역사서 편찬과 사학 연구가 매우 활발해졌다. 특히 정치적 혼란과 외세의 침입 등 국가의 위기 상황 속에서 역사에 대한 인식과 서술 경향이 달라졌다.
먼저 고려의 공식 연대기인 \'고려사\'가 완성되었다.\'고려사\'는 기전체 형식으로 고려의 역사를 상세히 기록했다.
한편, 불교계에서는 \'고려사\' 편찬을 계기로 \'고려상정과록\'이라는 사서를 편찬했다. 이 책은 역대 주요 화상과 고승들의 행적을 수록한 것으로, 당시 사회 전반에 걸친 불교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또한 이자현, 이곡, 이승휴 등 신진 사림들이 새로운 역사관을 내세웠다. 그들은 성리학적 합리주의와 민족의식에 기초하여 \'고려역사\'를 편찬했다. 이 책은 고려 역대 왕들의 업적을 있는 그대로 평가하여 기록했다.
특히 몽골 침략기를 단순한 정복사로만 서술하지 않고, 민족의 저항과 투쟁사로 기록하였다. 민족의 자주성과 나라 사랑의 마음을 역사 서술에 잘 반영한 것이다.
이외에도 이승휴의 \'제왕운기\', 정도전의 \'고려묘지명\', 최유청의 \'고려우병습가\' 등 다양한 사서와 문헌이 편찬되었다. 이를 통해 당시 사회와 정치, 문화 등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특히 고려 후기 지식인들은 성리학적 이념과 도학사상에 기반하여 민족의식과 주체의식을 역사인식에 반영했다. 그들은 국난 속에서도 민족정신을 역사 서술에 바탕으로 삼아 새로운 역사관을 제시했던 것이다.
참고문헌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137-139쪽. 참고
추천자료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한국사의이해)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
한국사의이해 2024년 1학기 중간과제물 -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한국사의이해, 공통)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
한국사의이해 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⑵ 삼국사회의 ...
202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국...
[한국사의이해] 2024년 중간과제물, 1)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 설명 2) ...
202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국...
202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국...
한국사의이해]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 (서술한 문제당 6점,...
한국사의이해 2024년 1학기 중간과제물,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