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2.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
3.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를 설명해주세요.
4.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를 설명해주세요.
5.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6. 참고문헌
1.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2.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
3.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를 설명해주세요.
4.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를 설명해주세요.
5.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로 추락시켰고 불교 편향적인 기술, 거기에 자주적인 내용이 있다는 평가와는 달리 사대적 내용도 적지 않았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제왕운기 역시 단군신화 및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서사시로 기록하였으며 혼란한 정세에서 유교적 이념과 국가 질서 회복을 역사를 통해 제시하려고 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역사 서술의 방식이 바뀌었는데 기존에는 사마천의 『사기』에서 비롯된 동아시아 전통의 역사기술인 ‘기전체’와 사마광의 『자치통감』의 ‘편년체’가 대표적이었다. 이후 주희가 정리한 『자치통감강목』에서 파생한 강목체로 쓰여진 역사 서술 방법으로 쓰인 사서들이 등장한다. 강목체는 역사 서술함에 있어 정통성을 구분하고 표폄(褒貶), 즉 칭찬하고 꾸짖음을 밝히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대표적으로 편년체로 기술된 『사략』과 현재는 전하지 않으나 이인복과 이색이 짚필한 『금경록』 등이 있다. 이는 성리학적 가치관을 기준으로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평가하는 사서이며, 이는 곧 불교를 대신할 새로운 사상으로 성리학이 대두되고 있음을 알리는 매우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다. 이후 성리학자들은 권문세족의 대지주에 맞서 중소 지주로 중앙관직에 진출하여 고려 조정을 개혁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런 노력들은 정도전, 남은, 윤소종 등을 비롯한 급진적 사대부가 이성계를 옹립하여 조선을 세우는 시대적 사상의 근거로 활약하였으며 21세기를 사는 현재에도 유교 사상이 남아있는 사상적 뿌리로 작용하게 되었다.
6. 참고문헌
한국사의이해. 송찬섭, 전덕재, 이익주, 정재훈, 염정섭, 김태웅, 최규진, 박태균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7년
또한 역사 서술의 방식이 바뀌었는데 기존에는 사마천의 『사기』에서 비롯된 동아시아 전통의 역사기술인 ‘기전체’와 사마광의 『자치통감』의 ‘편년체’가 대표적이었다. 이후 주희가 정리한 『자치통감강목』에서 파생한 강목체로 쓰여진 역사 서술 방법으로 쓰인 사서들이 등장한다. 강목체는 역사 서술함에 있어 정통성을 구분하고 표폄(褒貶), 즉 칭찬하고 꾸짖음을 밝히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대표적으로 편년체로 기술된 『사략』과 현재는 전하지 않으나 이인복과 이색이 짚필한 『금경록』 등이 있다. 이는 성리학적 가치관을 기준으로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평가하는 사서이며, 이는 곧 불교를 대신할 새로운 사상으로 성리학이 대두되고 있음을 알리는 매우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다. 이후 성리학자들은 권문세족의 대지주에 맞서 중소 지주로 중앙관직에 진출하여 고려 조정을 개혁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런 노력들은 정도전, 남은, 윤소종 등을 비롯한 급진적 사대부가 이성계를 옹립하여 조선을 세우는 시대적 사상의 근거로 활약하였으며 21세기를 사는 현재에도 유교 사상이 남아있는 사상적 뿌리로 작용하게 되었다.
6. 참고문헌
한국사의이해. 송찬섭, 전덕재, 이익주, 정재훈, 염정섭, 김태웅, 최규진, 박태균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7년
추천자료
[2023 한국사의이해] 1. 아래 문제 중 2개를 선택하고,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 ...
한국사의이해 공통 2023년 1학기 중간과제물) 1.아래 문제 중 2개를 선택하고, 교재를 참조하...
2023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1.아래 문제 중 2개를 선택하고,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 ...
2023년 방송통신대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1.아래 문제 중 2개를 선택하고, 교재를 참조하...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한국사의이해)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
(한국사의이해 1학년) 1.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 (서술한 ...
202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비교)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한국사의이해, 공통)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
한국사의이해]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 (서술한 문제당 6점,...
(한국사의이해, 문화교양공통, 1,2,3-1)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해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