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제주 4.3의 전개 과정과 역사적 의미, 콘텐츠 활용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 제주 4.3의 전개 과정과 역사적 의미, 콘텐츠 활용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제주 4.3의 발생 배경
(1) 제주도의 지리적 특수성
(2) 전쟁 후 귀환자 급증에 따른 제주도의 인구 팽창과 긴장 조짐
(3) 제주인민위원회와 미군정 관계의 악화
(4) 제주 4.3 직전 정치적 동향과 결성된 조직의 성격
(5) 미군정의 곡물 정책 및 모리배 문제가 초래한 식량난과 대립
2. 제주 4.3의 전개 과정
(1) 잇따른 사건과 고문치사
(2)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와 미군정의 대응
(3) 계엄령 이후, 제주 주민의 집단 희생
3. 제주 4.3의 역사적 의미
(1) 인권 수호의 중요성
(2) 공권력에 의한 시민 탄압 사례
(3) 헤게모니를 둘러싼 다양한 입장의 대립이 원인이 된 무고한 시민 피해사례
4. 제주 4.3의 콘텐츠 활용 방안
(1)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 관광 콘텐츠화 방안
(2) 역사 자원의 디지털콘텐츠화
(3) OSMU(One source multi use)가 가능한 문학 콘텐츠화
Ⅲ.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거 청나라 조계지를 연동하는 스토리텔링을 구현해 오픈플랫폼을 통해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시각적으로 공간을 재현하는 것을 뛰어넘어 공간에 존재했던 이야기를 가미함으로써, 콘텐츠에 입체감을 강화하는 것인데 「역사문화자원의 콘텐츠화 사례 연구-‘인천차이나타운 스토리텔링 사업’을 중심으로」, 송승석,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중국현대문학, 103호, 2022, 247~270쪽, 참고
이것을 제주 4.3과 관계된 유적지인 다랑쉬 마을, 빌레못굴, 무명천 할머니 삶터 「제주4.3을 묻는 너에게」, 허영선, 서해문집, 2014, 248~249쪽, 참고
등에도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OSMU(One source multi use)가 가능한 문학 콘텐츠화
1978년 현기영 작가는 ‘순이삼촌’이라는 작품 발표를 통해 1948년 이래로 30여 년간 금기시 되어온 제주 4.3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북촌리 학살 사건에서 시체 더미 밑에 깔렸다가 기적적으로 살게 된 순이 삼촌이 한평생 신경쇠약과 피해의식에 시달리다가 결국 목숨을 끊는 이야기이다. 출판 당시는 군부의 집권기였고, 소설은 군부의 범죄를 담고 있었기 때문에, 결국 이 소설은 금서 조치 되었고, 작가는 고문당한다. 하지만 이 책은 4.3 언급에 대한 금기를 깨고 4.3의 고통을 작품에 새겨 망각에서 일깨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순이삼촌\' 현기영의 탄식 \"이런 역사인식의 정권이라니!\"」, 황의봉, 오마이뉴스, 2024.04.02.https:
//www.ohmynews.com/NWS_Web/Series/series_premium_pg.aspx?CNTN_CD=A0003016226&
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이후 순이 삼촌은 연극,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로 재탄생하는데, 2022년에는 오페라 ‘순이삼촌’이 한국 문화 콘텐츠 비평협회로부터 ‘세상을 바꾼 콘텐츠’로 선정되었다. 문학작품의 장점은 여러 장르로 재탄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책을 즐기는 사람, 영화를 즐기는 사람, 연극을 즐기는 사람, 오페라를 즐기는 사람 등 사람마다 즐기는 장르가 다를 수 있는데, 문학작품은 어느 장르로든 변신이 가능하며, 그래서 파급력이 크다.
Ⅲ. 결론
이번에 제주 4.3에 대해 조사하며 느낀 것은 한국전쟁 다음으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4.3 사건에 대해 다루는 자료가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문학작품 등은 제주도 출신 작가를 통해서만 집필되는 편이고, 특히 신문 기사는 대부분 제주일보, 제민일보 등 제주지역 신문에 편중되어 있었다.
2000년 마침내 제주 4.3 특별법을 제정하여 정부 차원의 진상 규명을 시작했고, 2003년에는 제주4.3사건 진상조사 보고서작성 기획단을 설치해 ‘제주 4.3사건 진상 보고서’를 조건부로 채택하였지만, 4.3사건 전체에 대한 성격 규정이나 역사적 평가에 대한 부분은 빠져있다.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서문」, 고건, 2003, 제주4.3사건진상보고서 3쪽, 참고
그리고 마침내 2005년 노무현 대통령이 제주를 방문해 국가공권력의 잘못을 공식으로 사과하고,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했지만, 보수정권 대통령은 참석한 적이 없다. 또, 아직도 일반인에게는 제주 4.3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제주 4.3이 발생한 지 벌써 70년이 넘었고, 당시 사건 생존자도 얼마 남지 않았다.
이런 상황을 보았을 때 사건의 진상이 일반인에게도 잘 알려져야 하지만, ‘백비’에 이름이 새겨지는 것은 아직도 요원해 보인다. 광주 5.18민주화운동도 광주폭동, 광주사태, 등으로 불리다가 제 이름을 찾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고, 여기에는 역사적 사건의 진상을 확산시키는 다양한 콘텐츠의 역할이 컸다. 다양한 콘텐츠의 활용을 통해 제주 4.3에 대한 바른 인식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4·3’이라는 아픈 단어…제주 평화 기행을 가다-11살 생존자가 여든이 넘어서야 꺼내는 말」, 박찬은, 매일경제, 2018.04.25., https://www.mk.co.kr/news/culture/8286300
「濟州의 歷史와 文化」, 국립제주박물관, 통천문화사, 2001
「제주4.3사건 진상보고서」,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사명예회복위원회, 2003
「韓國現代史 1945~1975」, Frank Baldwin, 사계절. 1984
「미군정 행정명령 제1호」 1947.04.22., 「미군정 행정명령 제2호」 1947.05.16.
「漢城日報」, 1947.03.13.
「제주 4.3사건」,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1380&cid
=40942&categoryId=31778
대한민국 헌법 제27조 1항, 1988.02.25. 시행
「피해실태」, 제주 4.3 평화재단, 2023, https://jeju43peace.or.kr/kor/sub01_01_02.do
「주인을 핍박한 공권력의 폐해」, 김규원, 전주일보, 2022.04.03., https://www.jjilbo.com/
news/articleView.html?idxno=254588
「아픔의 역사에서 배우는 한국 ‘다크 투어리즘’」, 코리아넷 뉴스, https://www.kocis.go.kr
/koreanet/view.do?seq=1013332&RN=1
「역사문화자원의 콘텐츠화 사례 연구-‘인천차이나타운 스토리텔링 사업’을 중심으로」, 송승석,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중국현대문학, 103호, 2022
「제주4.3을 묻는 너에게」, 허영선, 서해문집, 2014
「\'순이삼촌\' 현기영의 탄식 \"이런 역사인식의 정권이라니!\"」, 황의봉, 오마이뉴스, 2024.04.02.
https://www.ohmynews.com/NWS_Web/Series/series_premium_pg.aspx?CNTN_CD=A0003016226&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키워드

  • 가격2,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4.07.25
  • 저작시기202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7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