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CI)의 개념
(2)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CI)의 중요성
○ 기술적 측면
○ 사회·윤리적 측면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CI)의 개념
(2)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CI)의 중요성
○ 기술적 측면
○ 사회·윤리적 측면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의 설명 없이 양말을 파는 상인과 출근 중인 증권사 직원을 각각 그려달라는 요청에 상인은 흑인으로, 증권사 직원은 백인으로 묘사했다고 한다. 인종, 성별에 관한 차별적 관점이 AI에게 학습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는 이미 매우 많다. AI가 갖춰야 할 윤리적 덕목 중에서 다양성과 포용성이 가장 강조된다. 과학기술커리어트렌드(2023.8.9.) [기획]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윤리와 다양성.
https://www.wbridge.or.kr/platform/careersport/info/selectTrendDetail.do?ntt_sn=465
우리 사회의 현실이 그대로 AI에 반영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HCI는 사회적 문제를 인지하는 감수성을 기술에 반영해야 한다.
3. 결론
오늘날 인간은 컴퓨터 없이 살아갈 수 없을 정도로 인간에게 컴퓨터는 단순한 도구나 조작의 대상을 넘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존재로 발전했다. 인간은 컴퓨터를 통해 현실 세계를 재현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인간의 뇌와 유사한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실 세계와 똑같은 세계가 아닌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가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은 새로운 개념의 관계 맺기로 현대 첨단기술과 함께 살아가는 인류에게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는 인간의 다양한 업무를 대신할 것으로 전망되며, 인간의 생계를 위협하기도, 혹은 인간에게 또 다른 풍요를 가져다줄 것이다. 창조적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컴퓨터의 관계 맺음과 상호작용을 방향성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리고 디지털 전환을 통해 확장된 세계의 중심에는 인간이 자리 잡고 있어야 한다. HCI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기술을 연결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작동해야 하며, 윤리와 다양성을 보존하는 도구로 자리잡아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과학기술커리어트렌드(2023.8.9.) [기획]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윤리와 다양성.
https://www.wbridge.or.kr/platform/careersport/info/selectTrendDetail.do?ntt_sn=465
방송통신위원회(2024.3.27.). 생성형 AI, 왜 윤리적으로 사용해야 하나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multi/visualNewsView.do?newsId=148927522&pWise=mailHL&pWiseMail=mailHL20
신동희(2012). 인간과 컴퓨터: 휴머니타스 테크놀로지, 커뮤니케이션북스
양지훈, 윤상혁(2023). ChatGPT를 넘어 생성형(Generative) AI 시대로 : 미디어·콘텐츠 생성형 AI 서비스 사례와 경쟁력 확보 방안. KCA Media Issue & Trend. Vol.55.
이문희, 이동하. (2007).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CI) 기술 정책 동향. 전자공학회지, 34(6), 20-29.
Ben Shneiderman(1992).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https://www.wbridge.or.kr/platform/careersport/info/selectTrendDetail.do?ntt_sn=465
우리 사회의 현실이 그대로 AI에 반영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HCI는 사회적 문제를 인지하는 감수성을 기술에 반영해야 한다.
3. 결론
오늘날 인간은 컴퓨터 없이 살아갈 수 없을 정도로 인간에게 컴퓨터는 단순한 도구나 조작의 대상을 넘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존재로 발전했다. 인간은 컴퓨터를 통해 현실 세계를 재현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인간의 뇌와 유사한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실 세계와 똑같은 세계가 아닌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가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은 새로운 개념의 관계 맺기로 현대 첨단기술과 함께 살아가는 인류에게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는 인간의 다양한 업무를 대신할 것으로 전망되며, 인간의 생계를 위협하기도, 혹은 인간에게 또 다른 풍요를 가져다줄 것이다. 창조적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컴퓨터의 관계 맺음과 상호작용을 방향성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리고 디지털 전환을 통해 확장된 세계의 중심에는 인간이 자리 잡고 있어야 한다. HCI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기술을 연결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작동해야 하며, 윤리와 다양성을 보존하는 도구로 자리잡아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과학기술커리어트렌드(2023.8.9.) [기획]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윤리와 다양성.
https://www.wbridge.or.kr/platform/careersport/info/selectTrendDetail.do?ntt_sn=465
방송통신위원회(2024.3.27.). 생성형 AI, 왜 윤리적으로 사용해야 하나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multi/visualNewsView.do?newsId=148927522&pWise=mailHL&pWiseMail=mailHL20
신동희(2012). 인간과 컴퓨터: 휴머니타스 테크놀로지, 커뮤니케이션북스
양지훈, 윤상혁(2023). ChatGPT를 넘어 생성형(Generative) AI 시대로 : 미디어·콘텐츠 생성형 AI 서비스 사례와 경쟁력 확보 방안. KCA Media Issue & Trend. Vol.55.
이문희, 이동하. (2007).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CI) 기술 정책 동향. 전자공학회지, 34(6), 20-29.
Ben Shneiderman(1992).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추천자료
저작도구의 개념, 저작도구의 기능, 저작도구의 운영 환경, 저작도구의 설계 원칙, 저작도구...
세계의역사1공통)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10건 이상의 언론 기사들을 참조하여 4차 산업혁명에...
<세계의역사2019>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10건 이상의 언론 기사들을 참조하여 4차 산업혁명에...
언어의 이해 B형 방송대 중간과제 AI와 컴퓨터언어학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
<인터넷과정보사회2020>신기술 및 그에 따른 새로운 세계관이 급속도로 등장하는 4차 산업 혁...
[유비쿼터스컴퓨팅개론 공통] 선택한 현재의 기술에 대해서 정리하여 설명, 선택한 현재의 기...
[정보통신망 공통] 인공지능과 기계학습(AI and Machine Learning)에 관하여 조사하고 해당 ...
인공지능(AI)의 진보와 미래(알파고에서 ChatGPT까지)
2023년 2학기 미디어혁신과뉴스스토리텔링 중간시험과제물 공통(ChatGPT)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 효율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