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하지 않았다.
①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것
②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것
③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 250 )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것
④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헤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지 않도록 할것
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거푸집동바리등을 조립하는 경우, 동바리의 침하
를 방지하기 위한 사업주의 조치사항 3가지를 쓰시오.
① 깔목사용
② 콘크리트 타설
③ 말뚝박기
2019년 4회 14시 실기 작업형 기출문제
1. 말뚝의 항타공법 종류 2가지를 쓰시오. [4점]
[동영상]
원심력 철근콘크리트 말뚝을 시공현장
① 타격 = 타격관입 = 직접항타
② 진동(흔들어)
③ 압입(눌러)
④ 프리보링(미리 구멍 뚫어서 심기만)
⑤ 워터제트(물을 쏴서)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이동식비계 작업시 바퀴가 흔들린다. 이동식비계
에 뜻밖의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이름은? [4점]
[동영상]
이동식비계 작업시 바퀴가 흔들린다.
=> 아웃트리커 = 전도방지용 지지대
3. 동영상의 재해발생원인 2가지와 누전차단기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장소 1개소를 쓰시
오. [6점]
[동영상]
동근톱을 사용하고 작업 중인데, 면장갑을 끼고 있다.
보안경 및 방진마스크는 착용하지 않고 있다.
작업자가 다른 곳을 보다가 사고가 발생한다.
재해발생원인
① 분할날 등 반발 예방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손가락 절단위험이 있다
② 회전기계에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하므로 말릴 위험이 있다.
③ 분진작업시 보안경 및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 건강에 위험이 있다.
누전차단기 설치 작업장소
① 물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
②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
③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
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보통” 작업을 하는 지하실 작업조도 기준은?
[4점]
=> 150럭스 이상
참고)
1. 초정밀작업: 750럭스 이상
2. 정밀작업: 300럭스 이상
3. 보통작업: 150럭스 이상
4. 그 밖의 작업: 75럭스 이상
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동영상에 보이는 토공기계의 도괴(무너짐) 방지
방법 3가지를 쓰시오. [5점]
[동영상]
항타기, 항발기 작업
①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부나 가대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 깔판 )( 깔목 ) 등을 사용할 것
②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③ 각부나 가대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 말뚝 ) 또는 ( 쇄기 )등을 사용하여 각
부나 가대를 고정시킬 것
④ 궤도 또는 차로 이동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해서는 불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하여 레일 클램프 및 쇄기 등르로 고정시킬 것.
⑤ 버팀대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대는 ( 3 )개 이상으로 하고 그 하단
부분은 견고한 ( 버팀말뚝 또는 철골 )등으로 고정시킬 것
⑥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3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
⑦ 평형추를 사용하여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평형추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대에 견고
하게 부착시킬 것
6. 동영상은 아파트 단지 내에서 하구관로 매설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전경을 보여주고 있다.
동영상을 참고하여 재해발생 원인 및 방지조치 사항을 쓰시오. [6점]
[동영상]
현장 주변은 정리가 되어 있지 않고, 와이어가 돼지꼬리마냥 엉켜있다.
백호가 흄관을 1줄걸이로 인양하는데, 유도로프가 없으며, 훅해지장치도 없다.
인양된 흄관 바로 밑에 작업자가 2명이 있다.
신호수는 배치가 되어 있으나, 백호 운전자가 시야 확보가 되지 않는지 신호가 맞지 않는지 눈을 찡그린다.
신호수가 별다른 장비 없이 흄관을 손으로 당기다가 흄관이 작업자에게 떨어져 윰관과 흄관 사이에 다리가 끼인다.
① (위험) 1줄걸이 => (해결) 2줄걸이
② (위험) 훅해지장치 미사용 => (해결) 훅해지장치 사용
③ (위험) 백호로 인양 => (해결) 양중기로 인양
④ (위험) 작업반경 내 작업자 있음 => (해결) 작업반경 내 작업자 출입금지
⑤ (위험) 유도로프 미사용 => (해결) 유도로프 사용
⑥ (위험) 신호체계 미흡 => (해결) 일정한 신호방법을 정하고 신호수의 신호에 따라 작업
7. 가스용기 운반시 문제점 2개 및 용접작업시 문제점 2가지를 쓰시오. [6점]
[동영상]
가스용기:
가스용기 운반을 하고 있는데, 캡을 씌우지 않는 것이 강조된다. 전도 방지조치는 없고, 작업자가 가스용기를 강하게 내려서 지면과 맞닿아 충격으로 폭발한다.
용접:
일반 가스용기를 운반하는 차량주변부 바닥에서 용접을 하고 있다.
용접용 보안면은 착용하고 있는데, 용접장갑은 보이지 않는다. 용접용 앞치마의 착용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가스용기의 운반시 문제점
① 이동시 캡을 씌우고 이동하여야 하나 캡을 씌우지 않고 이동
② 이동시 진동, 충격을 주지 않고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동시 진동, 충격이 가해짐
-용접작업시 문제점
① 가연성 가스 근처에서 용접
② 보호구(용접장갑 등)의 미착용
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크레인으로 작업시 준수 사항을 쓰시오. [5점]
[동영상]
강교량을 크레인으로 2줄걸이로 인양 중에 있다.
또한 신호수(관리감독관 같은 사람이 다른 곳에서 지켜보고 있음)가 배치가 되어있으며, 인
양물 아래부분으로 근로자들이 돌아다닌다.
① 인양할 하물을 바닥에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작업을 하지 아니할것
② 유류드럼이나 가스통 등 운반 도중에 떨어져 폭발하거나 누출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물
용기는 보관함(또는 보관고)에 담아 안전하게 매달아 운반할 것
③ 고정된 물체를 직접 분리제거하는 작업을 하지 아니할 것
④ 미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여 인양 중인 하물이 작업자의 머리 위로 통과하지 않도록
할 것
⑤ 인양할 하물이 보이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아니할 것(신호하는 사람
에 의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①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것
②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것
③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 250 )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것
④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헤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지 않도록 할것
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거푸집동바리등을 조립하는 경우, 동바리의 침하
를 방지하기 위한 사업주의 조치사항 3가지를 쓰시오.
① 깔목사용
② 콘크리트 타설
③ 말뚝박기
2019년 4회 14시 실기 작업형 기출문제
1. 말뚝의 항타공법 종류 2가지를 쓰시오. [4점]
[동영상]
원심력 철근콘크리트 말뚝을 시공현장
① 타격 = 타격관입 = 직접항타
② 진동(흔들어)
③ 압입(눌러)
④ 프리보링(미리 구멍 뚫어서 심기만)
⑤ 워터제트(물을 쏴서)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이동식비계 작업시 바퀴가 흔들린다. 이동식비계
에 뜻밖의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이름은? [4점]
[동영상]
이동식비계 작업시 바퀴가 흔들린다.
=> 아웃트리커 = 전도방지용 지지대
3. 동영상의 재해발생원인 2가지와 누전차단기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장소 1개소를 쓰시
오. [6점]
[동영상]
동근톱을 사용하고 작업 중인데, 면장갑을 끼고 있다.
보안경 및 방진마스크는 착용하지 않고 있다.
작업자가 다른 곳을 보다가 사고가 발생한다.
재해발생원인
① 분할날 등 반발 예방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손가락 절단위험이 있다
② 회전기계에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하므로 말릴 위험이 있다.
③ 분진작업시 보안경 및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 건강에 위험이 있다.
누전차단기 설치 작업장소
① 물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
②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
③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
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서, “보통” 작업을 하는 지하실 작업조도 기준은?
[4점]
=> 150럭스 이상
참고)
1. 초정밀작업: 750럭스 이상
2. 정밀작업: 300럭스 이상
3. 보통작업: 150럭스 이상
4. 그 밖의 작업: 75럭스 이상
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동영상에 보이는 토공기계의 도괴(무너짐) 방지
방법 3가지를 쓰시오. [5점]
[동영상]
항타기, 항발기 작업
①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부나 가대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 깔판 )( 깔목 ) 등을 사용할 것
②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③ 각부나 가대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 말뚝 ) 또는 ( 쇄기 )등을 사용하여 각
부나 가대를 고정시킬 것
④ 궤도 또는 차로 이동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해서는 불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하여 레일 클램프 및 쇄기 등르로 고정시킬 것.
⑤ 버팀대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대는 ( 3 )개 이상으로 하고 그 하단
부분은 견고한 ( 버팀말뚝 또는 철골 )등으로 고정시킬 것
⑥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3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
⑦ 평형추를 사용하여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평형추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대에 견고
하게 부착시킬 것
6. 동영상은 아파트 단지 내에서 하구관로 매설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전경을 보여주고 있다.
동영상을 참고하여 재해발생 원인 및 방지조치 사항을 쓰시오. [6점]
[동영상]
현장 주변은 정리가 되어 있지 않고, 와이어가 돼지꼬리마냥 엉켜있다.
백호가 흄관을 1줄걸이로 인양하는데, 유도로프가 없으며, 훅해지장치도 없다.
인양된 흄관 바로 밑에 작업자가 2명이 있다.
신호수는 배치가 되어 있으나, 백호 운전자가 시야 확보가 되지 않는지 신호가 맞지 않는지 눈을 찡그린다.
신호수가 별다른 장비 없이 흄관을 손으로 당기다가 흄관이 작업자에게 떨어져 윰관과 흄관 사이에 다리가 끼인다.
① (위험) 1줄걸이 => (해결) 2줄걸이
② (위험) 훅해지장치 미사용 => (해결) 훅해지장치 사용
③ (위험) 백호로 인양 => (해결) 양중기로 인양
④ (위험) 작업반경 내 작업자 있음 => (해결) 작업반경 내 작업자 출입금지
⑤ (위험) 유도로프 미사용 => (해결) 유도로프 사용
⑥ (위험) 신호체계 미흡 => (해결) 일정한 신호방법을 정하고 신호수의 신호에 따라 작업
7. 가스용기 운반시 문제점 2개 및 용접작업시 문제점 2가지를 쓰시오. [6점]
[동영상]
가스용기:
가스용기 운반을 하고 있는데, 캡을 씌우지 않는 것이 강조된다. 전도 방지조치는 없고, 작업자가 가스용기를 강하게 내려서 지면과 맞닿아 충격으로 폭발한다.
용접:
일반 가스용기를 운반하는 차량주변부 바닥에서 용접을 하고 있다.
용접용 보안면은 착용하고 있는데, 용접장갑은 보이지 않는다. 용접용 앞치마의 착용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가스용기의 운반시 문제점
① 이동시 캡을 씌우고 이동하여야 하나 캡을 씌우지 않고 이동
② 이동시 진동, 충격을 주지 않고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동시 진동, 충격이 가해짐
-용접작업시 문제점
① 가연성 가스 근처에서 용접
② 보호구(용접장갑 등)의 미착용
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크레인으로 작업시 준수 사항을 쓰시오. [5점]
[동영상]
강교량을 크레인으로 2줄걸이로 인양 중에 있다.
또한 신호수(관리감독관 같은 사람이 다른 곳에서 지켜보고 있음)가 배치가 되어있으며, 인
양물 아래부분으로 근로자들이 돌아다닌다.
① 인양할 하물을 바닥에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작업을 하지 아니할것
② 유류드럼이나 가스통 등 운반 도중에 떨어져 폭발하거나 누출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물
용기는 보관함(또는 보관고)에 담아 안전하게 매달아 운반할 것
③ 고정된 물체를 직접 분리제거하는 작업을 하지 아니할 것
④ 미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여 인양 중인 하물이 작업자의 머리 위로 통과하지 않도록
할 것
⑤ 인양할 하물이 보이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아니할 것(신호하는 사람
에 의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