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마약치료프로그램에서 methadone의 대체약물로 사용
부작용 : 변비, 오심과 구토, 진정, 호흡억제(사정필요), 가려움증, 배뇨장애
통증보조제
- 진통제와 병용 사용 시 통증완화 약물 (항우울제, 항경련제, 국소마취제)
- 진통제의 부작용, 불편감을 완화시키는 약물 (자극제, 완화제, 항구토제)
위약투여
윤리적문제 발생 가능
PCA
대상자 스스로 진통제의 양을 조절하여 통증을 관리
7. 자가조절진통(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정의: 대상자 스스로 진통제의 양을 조절하여 통증을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
경로: 정맥용 PCA가 가장 일반적이며 피하, 경막외 경로도 사용
1) 장점 및 부작용
장점
필요 시 투약(prn)이라는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최상의 진정과 극단적인 통증 사이의 심한 기복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술절개 후 급성통증, 외상성 손상 혹은 분만과 암성통증과 같은 만성통증을 조 절하는 데 효과적이다.
대상자가 진통을 스스로 조절하여 간호사를 부르거나 의존하지 않아도 됨, 대상자의 독립심 증가
진통제가 필요할 때 바로 투약할 수 있다.
대상자의 불안과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적은 용량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투여, 혈중 농도를 유지하여 지속적 통증 완화 가능하다.
과용을 방지할 수 있고 때때로 위약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부작용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호흡억제, 저혈압이 극히 드물게 발생
2) 자가조절진통펌프
구성 및 형태
휴대용 주입펌프기, chamber, 약물을 담은 주사기 또는 주머니
자가조절진통펌프의 라인이 일반 수액줄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
설계 및 설정
대상자가 과량투여하거나 남용하거나 도난하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설계
대상자가 진통제를 사용하고자 할 때 자가조절진통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버튼을 누르면 정해진 용량의 약물이 주입된다.
약물이 주입된 후 일정시간(6~15분)은 재분비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대상자가 버튼을 다시 누르더라도 약물이 추가적으로 주입되지는 않는다.
일정시간(4시간)동안 약물의 최대용량에 도달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음
일정 수준의 약물이 지속적으로 주입되도록 설정하고 추가 투여를 부가적으로 설정
4) 유의사항
대상자의 통증, 이해력과 자가조절진통장치의 사용에 대해 정기적으로 사정되어야 하며 진통제의 사용은 기록되어야 한다.
마약을 처음 투여받는 대상자는 용량을 늘리지 말고, 적은 용량을 짧은 간격으로 투여 →호흡억제나 과도한 진정을 예방
기관의 지침에 따라 사용된 마약의 용량과 잔여량을 기록해두어야 한다.
5) 대상자 교육
자가조절진통펌프의 작동방법을 시범 보이고 대상자가 과량투여에 대한 두려움 없이 안전하게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설명한다.
대상자가 동일한 용량의 약물을 투여받기 위해 버튼을 여러 번 누르는 것을 주저한다면 표준 용량의 약물(standard shot)이 투여되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통증사정도구의 사용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로 하여금 직접 해보도록 한다.
대상자가 통증완화와 기능회복을 위해 비약물성 통증관리방법을 배우고 사용하려는 의지가 있다면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해준다.
대상자가 보행하고자 한다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설명한다.
참고문헌
유양숙 외 9명,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손정태 외6명(2013),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양선희 외 9명(2014) 기본간호학 (하) 현문사
변영순 외(2015) 기본간호학 7판 엘스비어코리아
변영순 외 13명(2014) 기본간호학Ⅰ 계축문화사
김영혜 외(2014)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성인간호학1, 필통 간호사 팩심문제집 (2015), 에듀팩토리
부작용 : 변비, 오심과 구토, 진정, 호흡억제(사정필요), 가려움증, 배뇨장애
통증보조제
- 진통제와 병용 사용 시 통증완화 약물 (항우울제, 항경련제, 국소마취제)
- 진통제의 부작용, 불편감을 완화시키는 약물 (자극제, 완화제, 항구토제)
위약투여
윤리적문제 발생 가능
PCA
대상자 스스로 진통제의 양을 조절하여 통증을 관리
7. 자가조절진통(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정의: 대상자 스스로 진통제의 양을 조절하여 통증을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
경로: 정맥용 PCA가 가장 일반적이며 피하, 경막외 경로도 사용
1) 장점 및 부작용
장점
필요 시 투약(prn)이라는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최상의 진정과 극단적인 통증 사이의 심한 기복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술절개 후 급성통증, 외상성 손상 혹은 분만과 암성통증과 같은 만성통증을 조 절하는 데 효과적이다.
대상자가 진통을 스스로 조절하여 간호사를 부르거나 의존하지 않아도 됨, 대상자의 독립심 증가
진통제가 필요할 때 바로 투약할 수 있다.
대상자의 불안과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적은 용량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투여, 혈중 농도를 유지하여 지속적 통증 완화 가능하다.
과용을 방지할 수 있고 때때로 위약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부작용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호흡억제, 저혈압이 극히 드물게 발생
2) 자가조절진통펌프
구성 및 형태
휴대용 주입펌프기, chamber, 약물을 담은 주사기 또는 주머니
자가조절진통펌프의 라인이 일반 수액줄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
설계 및 설정
대상자가 과량투여하거나 남용하거나 도난하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설계
대상자가 진통제를 사용하고자 할 때 자가조절진통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버튼을 누르면 정해진 용량의 약물이 주입된다.
약물이 주입된 후 일정시간(6~15분)은 재분비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대상자가 버튼을 다시 누르더라도 약물이 추가적으로 주입되지는 않는다.
일정시간(4시간)동안 약물의 최대용량에 도달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음
일정 수준의 약물이 지속적으로 주입되도록 설정하고 추가 투여를 부가적으로 설정
4) 유의사항
대상자의 통증, 이해력과 자가조절진통장치의 사용에 대해 정기적으로 사정되어야 하며 진통제의 사용은 기록되어야 한다.
마약을 처음 투여받는 대상자는 용량을 늘리지 말고, 적은 용량을 짧은 간격으로 투여 →호흡억제나 과도한 진정을 예방
기관의 지침에 따라 사용된 마약의 용량과 잔여량을 기록해두어야 한다.
5) 대상자 교육
자가조절진통펌프의 작동방법을 시범 보이고 대상자가 과량투여에 대한 두려움 없이 안전하게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설명한다.
대상자가 동일한 용량의 약물을 투여받기 위해 버튼을 여러 번 누르는 것을 주저한다면 표준 용량의 약물(standard shot)이 투여되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통증사정도구의 사용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로 하여금 직접 해보도록 한다.
대상자가 통증완화와 기능회복을 위해 비약물성 통증관리방법을 배우고 사용하려는 의지가 있다면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해준다.
대상자가 보행하고자 한다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설명한다.
참고문헌
유양숙 외 9명,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손정태 외6명(2013),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양선희 외 9명(2014) 기본간호학 (하) 현문사
변영순 외(2015) 기본간호학 7판 엘스비어코리아
변영순 외 13명(2014) 기본간호학Ⅰ 계축문화사
김영혜 외(2014)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성인간호학1, 필통 간호사 팩심문제집 (2015), 에듀팩토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