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라오스 댐 붕괴사고
2. 공적개발원조(ODA)의 정의와 미래
3.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 현황
1) 아시아
2) 중동과 CIS(독립국가 연합)
3) 아프리카
4) 중남미
5) 예산 현황
4.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견해 – 명과 암
1) 긍정적인 부분
2) 부정적인 부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라오스 댐 붕괴사고
2. 공적개발원조(ODA)의 정의와 미래
3.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 현황
1) 아시아
2) 중동과 CIS(독립국가 연합)
3) 아프리카
4) 중남미
5) 예산 현황
4.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견해 – 명과 암
1) 긍정적인 부분
2) 부정적인 부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라도 국민의 세금인데 제대로 된 관리를 하지 않는다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 부정적인 부분은 공적개발원조 중 건설 사업에서 라오스 댐 사고처럼 큰 인명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면 국격은 하락하고 해당 나라에서 하는 다른 사업에도 문제가 생길 것이라는 점이다. DAC ODA korea https://www.odakorea.go.kr/kor/info/country 참조.
에 의하면 우리나라가 지난 5년 동안 라오스에 지원한 금액은 우리나라가 ODA를 제공한 수원국 중 7위에 해당한다. 라오스보다 더 많은 돈을 투자한 국가가 6개국이나 더 있다는 것이다. 이 나라들에도 다수의 건설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법은 없다. 앞서 말했듯이 기업에 대한 정부의 관리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SBS에서 방영한 <그것이 알고싶다> 1144회를 기반으로 하여 공적개발원조의 현황과 공적원조개발의 명과 암에 대해서 분석해보았다. 지금의 우리나라는 해방 후 많은 국가의 원조를 통해 성장한 나라이다. 해방 직후 6·25 전쟁 과정에서도 수많은 국가들의 도움을 받았다. 6·25 전쟁 당시에 지원을 해준 국가 중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를 받는 국가는 필리핀,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인도, 캄보디아, 이집트,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베트남, 파라과이 등이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20510116700043 참조.
단순히 선진국으로서 공적개발원조를 해주는 것을 넘어, 과거에 도움을 받았던 것을 갚기 위해 인도적인 지원을 해주는 점도 있다는 것이다. 공적개발원조의 의도는 좋으나, 5년 전 발생한 라오스 댐 사고처럼 해당 기업의 관리부실 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면 안 해주는 것보다 못한 사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에 필자는 공적개발원조 중 특히 건설 사업과 관련하여 국가차원에서 주기적으로 감리단을 파견하여 최소한의 관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사고가 해당 기업의 문제로 판단될 경우 한동안 공적개발원조와 관련된 사업을 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투데이코리아(https://www.todaykorea.co.kr/news).
국가기록원(https://theme.archives.go.kr).
매일경제(https://www.mk.co.kr/news).
건설워커(https://www.worker.co.kr).
SBS <그것이 알고싶다> 1144회(https://programs.sbs.co.kr).
e-나라지표(https://www.index.go.kr).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s://www.korea.kr/news).
ODA korea(https://www.odakorea.go.kr).
연합뉴스(https://www.yna.co.kr).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네이버 금융(https://finance.naver.com).
한겨레(https://www.hani.co.kr).
세 번째 부정적인 부분은 공적개발원조 중 건설 사업에서 라오스 댐 사고처럼 큰 인명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면 국격은 하락하고 해당 나라에서 하는 다른 사업에도 문제가 생길 것이라는 점이다. DAC ODA korea https://www.odakorea.go.kr/kor/info/country 참조.
에 의하면 우리나라가 지난 5년 동안 라오스에 지원한 금액은 우리나라가 ODA를 제공한 수원국 중 7위에 해당한다. 라오스보다 더 많은 돈을 투자한 국가가 6개국이나 더 있다는 것이다. 이 나라들에도 다수의 건설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법은 없다. 앞서 말했듯이 기업에 대한 정부의 관리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SBS에서 방영한 <그것이 알고싶다> 1144회를 기반으로 하여 공적개발원조의 현황과 공적원조개발의 명과 암에 대해서 분석해보았다. 지금의 우리나라는 해방 후 많은 국가의 원조를 통해 성장한 나라이다. 해방 직후 6·25 전쟁 과정에서도 수많은 국가들의 도움을 받았다. 6·25 전쟁 당시에 지원을 해준 국가 중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를 받는 국가는 필리핀,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인도, 캄보디아, 이집트,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베트남, 파라과이 등이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20510116700043 참조.
단순히 선진국으로서 공적개발원조를 해주는 것을 넘어, 과거에 도움을 받았던 것을 갚기 위해 인도적인 지원을 해주는 점도 있다는 것이다. 공적개발원조의 의도는 좋으나, 5년 전 발생한 라오스 댐 사고처럼 해당 기업의 관리부실 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면 안 해주는 것보다 못한 사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에 필자는 공적개발원조 중 특히 건설 사업과 관련하여 국가차원에서 주기적으로 감리단을 파견하여 최소한의 관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사고가 해당 기업의 문제로 판단될 경우 한동안 공적개발원조와 관련된 사업을 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투데이코리아(https://www.todaykorea.co.kr/news).
국가기록원(https://theme.archives.go.kr).
매일경제(https://www.mk.co.kr/news).
건설워커(https://www.worker.co.kr).
SBS <그것이 알고싶다> 1144회(https://programs.sbs.co.kr).
e-나라지표(https://www.index.go.kr).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s://www.korea.kr/news).
ODA korea(https://www.odakorea.go.kr).
연합뉴스(https://www.yna.co.kr).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네이버 금융(https://finance.naver.com).
한겨레(https://www.hani.co.kr).
추천자료
NGO에 관한 연구
정부와 국제NGO 관계
몽골의 경제 발전과 과제
ODA(공적개발원조, 정부개발원조)의 개념과 ODA(공적개발원조, 정부개발원조)의 현황, 문제...
[ODA]ODA(공적개발원조)의 개념(정의, 역사, 배경, 유형, 효과, 필요성 등), 우리나라 ODA(공...
[시민단체(NGO, 비정부기구)]시민단체(NGO, 비정부기구)의 중요성, 시민단체(NGO, 비정부기구...
자원봉사의 필요성과 지역(대구)의 자원봉사 현황 및 특징, 종류
[국제물류학] 국제협력의 이해 요약노트 1장~5장 {빈곤의 의미와 분야별 빈곤 현황, 국제개발...
국제경영학 수업 프론티어마켓(나이지리아) 레포트입니다. 이론과 풍부한 예시자료로 A+를 받...
공통교양=자원봉사론=1 본인이 관심있는 외국의 자원봉사 활동 사례를 선정하여 1) 선정이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