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개론 ] 공무도하가를 한국의 작품으로 보아야 하는가에 대해 작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한국문학개론 ] 공무도하가를 한국의 작품으로 보아야 하는가에 대해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곽리자고(霍里子高)와 여옥(麗玉)
(2) 공후(箜篌)에 대해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하다 여러 나라로 전파된 지터(Zither)류의 악기 중 하나다. 특히 와공후는 최초로 발생한 공후라고 알려져 있으며, 원래 우리 민족이 사용하다가 여러 나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악기라고 한다. 또한 <공무도하가>의 작자와 <공무도하가>의 악기인 ‘공후’가 모두 명확히 중국의 것이라는 기록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반증하는 자료도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명확한 증거가 나오지 않는 한 <공무도하가>는 한국의 작품이라 봐도 무방하다. 학생 시절 ‘단순히 암기만으로 외웠던 시가’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왜 이 작품이 한국의 것인지 다시 한번 상기하고, 또다시 한국의 것을 허망하게 빼앗기는 일이 없도록 <공무도하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조석연. (2008). ‘공무도하가’ 반주악기 공후()의 기원과 형태 연구--사료를 중심으로. 음악과 문화, 0(18), 211-234.
남재철. (2008). <公無渡河歌>의 籍. 한국시가연구, 24, 167-201.
민지훈 and 전한성. (2022). 「공무도하가」의 정동(情動) 읽기 교육 내용 연구 - 해체적 관점을 기반으로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6(1), 33-62.

키워드

  • 가격2,4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4.08.23
  • 저작시기202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9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