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봄 독후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침묵의 봄 독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침묵의 봄 소개

2. 사회현상과 연관되는 내용 설명하기

3. 기억에 남는 문장과 느낀점

4.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된 내용

5. 침묵의 봄 책 비판

6. 읽고 느낀점

7. 독후감

본문내용

금지되자 말라리아 발생이 다시 늘어 1968년과 1969년 사이 환자 수가 250만 명으로 폭증하고 말았다.
6. 읽고 느낀점
2020년 코로나 19가 전 세계를 뒤덮으면서 전 세계가 마비 상태가 되었다. 밖에 나가는 것 자체가 위험하니 대부분 집에 머물렀고, 그로 인하여 공장도 가동을 멈추고 차들도 이동을 멈추게 되면서 미세먼지 없는 깨끗한 공기를 볼 수 있었다. 물론 이런 깨끗한 공기를 볼 수 있는 건 좋지만, 그로 인하여 안 그래도 없는 일자리가 더 없어지고 있다. 인간과 환경이 함께 살기 위해선 어느 하나가 희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둘 다 함께 살아가는 게 제일 이상적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렇다고 무차별적인 환경오염을 만들어 내자는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다는 것을 얘기하고 싶다.
모든 일에 답은 없는 것 같다. 어떤 것이 맞고 틀렸는지 모르겠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사용 안 한다고 환경문제가 100% 해결될 것도 아니고 필요에 의하면 화학물질을 사용해야 할 때가 있을 텐데 그럴 땐 어떻게 할 것인지도 궁금하다. 이 책을 통하여 화학물질로 인하여 환경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은 깨달았지만, 그렇다고 화학물질을 아예 안 쓸 수도 없다는 것이기에 뫼비우스의 띠에 둘려있는 기분이 든다.
7. 독후감
이 책은 고전서라고 불릴 만큼 옛날에 출간됐던 책이기도 한데 당시 화학 산업은 각종 해충을 박멸하고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DDT(살충제)로 인해 찬양받았기 때문에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급부상한 화학 산업을 지적하는 과학자는 그 당시에 레이첼 카슨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그런 시기에 객관성을 가지고 살충제의 위험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해내고 이에 따라 살충제 사용을 억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낸 그 과학자의 사명감이 높이 평가받아야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 살충제의 다양한 악용사례를 접하고 살충제가 얼마나 위험한지 실감이 됐으며 이 책에서 제시한 방법대로 시간과 돈이 많이 들더라도 장기적인 이득을 위하여 이 책에서 자세히 예시를 든 자연방제 방식이 대중화됐으면 한다.
그리고 작가가 이 책을 내는 것 자체가 화학물질을 생태계에 그대로 흘려보내도록 허락한 정부에 대한 과감한 도전이었다고 한다. 레이첼 카슨은 살충제나 제초제에 의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거기서 더 나아가 이런 화학물질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인 대안들을 제시한다. 이 책이 최고의 책이 된 이유도 이런 현실적이고도 미래 지향적인 방안들을 제시해줬기 때문이 아닐까 짐작하였다. 이 책을 통해 정부는 정책을 변화시켰고 환경 운동이 시작되었다. 또한, 미국의 각 주들에 DDT 사용 금지령도 내려졌다. 이러한 부분에서자신의 지식을 이용하여 선한 영향력을 전파한 작가가 존경스러운 부분도 있었다.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을 계기로 4월 22일이 지구의 날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평소에는 환경에 무심하게 지낸다고 하더라도 4월 22일 하루만은 ‘침묵의 봄’을 기억하며 지구를 위한 행동을 실천해보는 게 어떨까.
  • 가격3,9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9.02
  • 저작시기202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605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