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 강화되고 있는데, 술과 관련해서는 이러한 규제의 수위가 굉장히 낮은 것이 현실이다.
20세기 담배로 인한 사망자 수는 대략 1억 명, 폐암, 후두암 등 각종 암의 원인, 호흡기 질환, 심혈관질환, 당뇨 등의 주요 원인은 담배이다. 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고위험군에 흡연자가 포함되는 등 흡연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음주 역시 식도질환, 위, 간암, 간경변, 알코올성 치매, 심혈관질환 등을 일으키고 이 정도가 심해지면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을 가중해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흡연과 음주는 대부분 공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문제성 흡연자들은 대부분 문제성 음주자이다. 즉 비흡연자와 비교하면 흡연자가 알코올에 의존하는 비율이 20%가량 높았고 이러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폭음의 빈도가 늘어나고 이는 흡연의 가능성 역시 증가시킴을 볼 수 있다. 즉 만성질환의 직접적인 원인 중 가장 큰 비율이 흡연과 음주이고 이 둘은 상관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두 가지 건강 문제인 금연과 절주의 필요성을 겪는 계층이 사회적인 지위, 경제적 위치가 낮은 경우가 많다는 것이 더욱 큰 문제를 일으킨다.
이 두 가지 문제는 개인과 집단 간의 건강 불평등을 더욱 심화하고 기존의 유전적 확률이나 특성에 따른 차이가 아닌 사회적/ 경제적 차이에 의해 건강 격차로 나타나기에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다.
즉 금연과 절주에 관련하여 더욱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취약 계층을 위한 효과적인 서비스, 실효성 높은 정책의 발현 등이 사회적으로 이루어질 때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목표한 국민건강증진 목표와 건강 형평성 목표가 이루어질 것이다.
출처 및 참고 문헌
1) 강의 2강
2)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1~2030) 2023년 대표지표 분석보고서.
3) 국가알코올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 강명순. 2011. 빈곤과 알코올
4) 고위험 음주 및 위험음주의 질병발생위험도분석. 고숙자 & 정영호. 2018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19(1), 43-52.
[표1] 고령인구의 증가 추이,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 2015
[표2] 국가 간 건강 수준, 2023년 HP2030 대표지표 분석보고서
[표3] 금연 지표 현황,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1~2030) 2023년 대표지표 분석보고서
[표4] 절주 지표 현황,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1~2030) 2023년 대표지표 분석보고서
20세기 담배로 인한 사망자 수는 대략 1억 명, 폐암, 후두암 등 각종 암의 원인, 호흡기 질환, 심혈관질환, 당뇨 등의 주요 원인은 담배이다. 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고위험군에 흡연자가 포함되는 등 흡연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음주 역시 식도질환, 위, 간암, 간경변, 알코올성 치매, 심혈관질환 등을 일으키고 이 정도가 심해지면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을 가중해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흡연과 음주는 대부분 공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문제성 흡연자들은 대부분 문제성 음주자이다. 즉 비흡연자와 비교하면 흡연자가 알코올에 의존하는 비율이 20%가량 높았고 이러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폭음의 빈도가 늘어나고 이는 흡연의 가능성 역시 증가시킴을 볼 수 있다. 즉 만성질환의 직접적인 원인 중 가장 큰 비율이 흡연과 음주이고 이 둘은 상관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두 가지 건강 문제인 금연과 절주의 필요성을 겪는 계층이 사회적인 지위, 경제적 위치가 낮은 경우가 많다는 것이 더욱 큰 문제를 일으킨다.
이 두 가지 문제는 개인과 집단 간의 건강 불평등을 더욱 심화하고 기존의 유전적 확률이나 특성에 따른 차이가 아닌 사회적/ 경제적 차이에 의해 건강 격차로 나타나기에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다.
즉 금연과 절주에 관련하여 더욱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취약 계층을 위한 효과적인 서비스, 실효성 높은 정책의 발현 등이 사회적으로 이루어질 때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목표한 국민건강증진 목표와 건강 형평성 목표가 이루어질 것이다.
출처 및 참고 문헌
1) 강의 2강
2)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1~2030) 2023년 대표지표 분석보고서.
3) 국가알코올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 강명순. 2011. 빈곤과 알코올
4) 고위험 음주 및 위험음주의 질병발생위험도분석. 고숙자 & 정영호. 2018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19(1), 43-52.
[표1] 고령인구의 증가 추이,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 2015
[표2] 국가 간 건강 수준, 2023년 HP2030 대표지표 분석보고서
[표3] 금연 지표 현황,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1~2030) 2023년 대표지표 분석보고서
[표4] 절주 지표 현황,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1~2030) 2023년 대표지표 분석보고서
키워드
추천자료
건강증진론4A)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의 기본모형을 사업분야(과제), 목표, 비...
지역사회간호학] 1.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개념 2. 보건진료소 간호사업의 배경 및 운영...
[지역사회간호학]1.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일차보건의료의 개념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
2020 지역사회간호학)일차보건의료, 보건진료소 간호사업의 배경 및 운영현황 건강증진관련 ...
<방통대 2020>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생성배경,개념, 보건진료소 간호사업의 배경,...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 1.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개념 2. 보건진료소 간호사업...
지역사회간호학 2021]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와 일차보건의료의 사업특성 2. 우...
(방송통신대 지역사회영양학 기말과제물)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에서 영양 부문...
2022년 2학기 지역사회영양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