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Definition)
2. 원인(Etiology) 및 병태생리(Pathophysiology)
3. 임상양상(Clinical Manifestation)
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Ⅱ. 사례연구
1. 대상자입원정보
2. 간호사정
3. 진단검사
4. 투약
5. 처치
6. 간호진단
7. 간호과정
1. 정의(Definition)
2. 원인(Etiology) 및 병태생리(Pathophysiology)
3. 임상양상(Clinical Manifestation)
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Ⅱ. 사례연구
1. 대상자입원정보
2. 간호사정
3. 진단검사
4. 투약
5. 처치
6. 간호진단
7. 간호과정
본문내용
에 체중 kg당 0.5g 이하로 한다.
처방에 따라 5%DWKNa3주 1000ml를 정맥주입했다.
6. 시원한 환경을 조성해준다.
방의 온도는 20℃가 적절하다. 창문을 열거나 선풍기를 사용해 방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차가운 공기는 떨림을 유발하고 체온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선풍기는 멀리 틀어놓는 것이 좋다.
방의 온도를 20℃로 맞추어주고 바람이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높이를 조절했다.
7.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권장한다.
수분을 보충하는 것은 체액을 증가시켜 체온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루 물 섭취량은 (키+몸무게)÷100으로 대상자에게 맞추어 계산한다.
보호자에게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권장했다.
-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은 몸에 체액을 증가시켜 체온조절에 도움이 되므로 수분섭취를 많이 해주세요”
- “oo는 하루 물 섭취량을 하루 1.02L이에요.”
- “미지근한 물을 자주 나누어 마시게 해주세요”
8. 보호자에게 발열과 증상에 대해 교육하고 설명한다.
보호자는 열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발열을 질병의 한 증상이기보다는 징후라고 믿기 때문에 불안하고 걱정하기 때문에 불안을 줄여줄 수 있다.
보호자에게 고체온에 대해 설명했다.
- “고막체온이 38℃, 구강체온이 37.8℃, 액와체온이 37.2℃ 이상이면 발열이라고 정의하고“37.1 ~ 38.2℃는 미열이고 38.2~40℃까지는 고열로 구분하는데 38.5℃ 이상에서는 불쾌감, 탈수증, 오한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간호평가
1. 퇴원 시 대상자는 정상체온 범위를 유지했다.
2. 2일 이내에 대상자는 38.0도 이하로 떨어졌다. (달성)
3. 3일 이내에 발열증상(식은땀, 홍조 등)이 없어졌다. (달성)
진단번호(#)
#2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어제는 괜찮았는 데 오늘은 다리를 긁어요.”
1. 수족구병 진단 받음
2. 온몸에 수포와 발진이 번져있음이 관찰됨
간호진단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목표
(기대되는 결과)
장기목표
1. 퇴원 시까지 수포와 발진이 사라진다.
단기목표
1. 24시간 이내에 수포부위의 2차 감염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중재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1. 2차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확인한다.
1. 감염의 징후를 자주 확인하여 감염여부를 좀 더 효율적으로 사정가능하다.
- 2024. 09. 30.
11:20
13:30
15:30
감염의 징후 없음.
감염의 징후 없음.
감염의 징후 없음.
- 2024. 10. 01
11:30
13:30
15:30
감염의 징후 없음.
감염의 징후 없음.
감염의 징후 없음.
2. 보호자에게 환아가 발진이 있는 부위를 긁는 지의 여부를 잘 관찰하도록 교육하고, 처방된 약(리도멕스)을 잘 바르도록 한다.
보호자가 곁에 있으면서 관찰하므로 좀 더 효과적으로 관찰가능하다.
보호자에게 아동이 긁을지 않도록 교육하였고, 처방된 약을 잘 바르도록 하였다.
3. 보호자에게 발진이 있는 부위를 건드리거나 긁었을 때 생길 수 있는 2차 감염 가능성에 대해 교육한다.
손의 오염상태와 자극이 발진부위의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환아가 몸을 긁을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에 대해 교육하였다.
4. 보호자에게 감염의 징후에 대하여 교육한다.
발적, 부종, 통증, 열감 등의 증상이 있을 때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여 최대한 신속하게 감염의 징후를 파악하여 처치 가능하도록 돕는다.
발적, 부종, 통증, 열감 등의 증상이 감염의 징후임을 교육하였다.
5. 보호자에게 감염의 징후가 보일 시 간호사에게 보고할 것을 교육한다.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여 즉각적인 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6. 간호행위 전, 후에 손을 씻는다.
처치 전, 후 손을 씻어 감염 위험성을 줄인다.
의료진이 처치를 할 때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손씻기를 철저히 하였다.
간호평가
1. 퇴원 시까지 수포와 발진이 사라진다.
2. 24시간 이내에 수포부위의 2차 감염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달성)
진단번호(#)
#3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밥은 안 먹고 우유만 먹어요.”
2. “애기가 음식을 평소보다 안 먹어요.”
1. I/O check
날짜
경구
수액
9/30
600
1500
10/1
700
1000
10/2
700
1000
간호진단
식욕부진과 관련한 영양부족위험성
목표
(기대되는 결과)
장기목표
1. 퇴원 시까지 섭취량이 증가한다.
단기목표
1. 3일 이내에 poor oral intake 이 사라진다.
간호중재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1. 환아의 영양 상태와 식습관을 사정한다.
1. 식습관은 개인의 기호, 문화와 종교, 경제요인, 가족의 식사양상, 영양지식에 영향을 받는다.
- 2024. 09. 30.
점심, 저녁 모두 우유만 섭취하였음.
- 2024. 10. 01
아침은 우유만 먹었고, 점심은 우유와 밥3수저를 먹었음.
-2024. 10. 02
아침은 우유와 밥5수저 먹었고, 점심은 우유만 먹었음.
2. 삼키기 쉬운 음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2,3. 정상적인 삼투압을 유지하려면 적절한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다. 육류, 생선, 조류, 콩, 달걀, 치즈에 단백질이 많다.
환아가 삼키기 쉬운 음식을 권하도록 교육하였다.
3. 고단백- 고열량 식이 섭취를 격려한다.
음식 섭취가 거의 없어 고단백- 고열량 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4.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4. I/O체크는 과잉의 수분이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되었는지 알 수 있다.
발적, 부종, 통증, 열감 등의 증상이 감염의 징후임을 교육하였다.
5.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5. 발열, 발한이 있는 경우는 과량의 체액 손실이 예상되어 탈수가 우려된다.
고열로 인한 탈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분섭취를 권장하였다.
6. 기호식품을 사정하고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6. 대상자의 기호식품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식욕을 증진시킨다.
기호식품으로 구강 섭취를 증가시키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1. 퇴원 시까지 섭취량이 증가한다.
2. 3일 이내에 poor oral intake 이 사라진다. (미달)
처방에 따라 5%DWKNa3주 1000ml를 정맥주입했다.
6. 시원한 환경을 조성해준다.
방의 온도는 20℃가 적절하다. 창문을 열거나 선풍기를 사용해 방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차가운 공기는 떨림을 유발하고 체온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선풍기는 멀리 틀어놓는 것이 좋다.
방의 온도를 20℃로 맞추어주고 바람이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높이를 조절했다.
7.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권장한다.
수분을 보충하는 것은 체액을 증가시켜 체온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루 물 섭취량은 (키+몸무게)÷100으로 대상자에게 맞추어 계산한다.
보호자에게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권장했다.
-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은 몸에 체액을 증가시켜 체온조절에 도움이 되므로 수분섭취를 많이 해주세요”
- “oo는 하루 물 섭취량을 하루 1.02L이에요.”
- “미지근한 물을 자주 나누어 마시게 해주세요”
8. 보호자에게 발열과 증상에 대해 교육하고 설명한다.
보호자는 열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발열을 질병의 한 증상이기보다는 징후라고 믿기 때문에 불안하고 걱정하기 때문에 불안을 줄여줄 수 있다.
보호자에게 고체온에 대해 설명했다.
- “고막체온이 38℃, 구강체온이 37.8℃, 액와체온이 37.2℃ 이상이면 발열이라고 정의하고“37.1 ~ 38.2℃는 미열이고 38.2~40℃까지는 고열로 구분하는데 38.5℃ 이상에서는 불쾌감, 탈수증, 오한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간호평가
1. 퇴원 시 대상자는 정상체온 범위를 유지했다.
2. 2일 이내에 대상자는 38.0도 이하로 떨어졌다. (달성)
3. 3일 이내에 발열증상(식은땀, 홍조 등)이 없어졌다. (달성)
진단번호(#)
#2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어제는 괜찮았는 데 오늘은 다리를 긁어요.”
1. 수족구병 진단 받음
2. 온몸에 수포와 발진이 번져있음이 관찰됨
간호진단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목표
(기대되는 결과)
장기목표
1. 퇴원 시까지 수포와 발진이 사라진다.
단기목표
1. 24시간 이내에 수포부위의 2차 감염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중재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1. 2차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확인한다.
1. 감염의 징후를 자주 확인하여 감염여부를 좀 더 효율적으로 사정가능하다.
- 2024. 09. 30.
11:20
13:30
15:30
감염의 징후 없음.
감염의 징후 없음.
감염의 징후 없음.
- 2024. 10. 01
11:30
13:30
15:30
감염의 징후 없음.
감염의 징후 없음.
감염의 징후 없음.
2. 보호자에게 환아가 발진이 있는 부위를 긁는 지의 여부를 잘 관찰하도록 교육하고, 처방된 약(리도멕스)을 잘 바르도록 한다.
보호자가 곁에 있으면서 관찰하므로 좀 더 효과적으로 관찰가능하다.
보호자에게 아동이 긁을지 않도록 교육하였고, 처방된 약을 잘 바르도록 하였다.
3. 보호자에게 발진이 있는 부위를 건드리거나 긁었을 때 생길 수 있는 2차 감염 가능성에 대해 교육한다.
손의 오염상태와 자극이 발진부위의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환아가 몸을 긁을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에 대해 교육하였다.
4. 보호자에게 감염의 징후에 대하여 교육한다.
발적, 부종, 통증, 열감 등의 증상이 있을 때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여 최대한 신속하게 감염의 징후를 파악하여 처치 가능하도록 돕는다.
발적, 부종, 통증, 열감 등의 증상이 감염의 징후임을 교육하였다.
5. 보호자에게 감염의 징후가 보일 시 간호사에게 보고할 것을 교육한다.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여 즉각적인 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6. 간호행위 전, 후에 손을 씻는다.
처치 전, 후 손을 씻어 감염 위험성을 줄인다.
의료진이 처치를 할 때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손씻기를 철저히 하였다.
간호평가
1. 퇴원 시까지 수포와 발진이 사라진다.
2. 24시간 이내에 수포부위의 2차 감염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달성)
진단번호(#)
#3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밥은 안 먹고 우유만 먹어요.”
2. “애기가 음식을 평소보다 안 먹어요.”
1. I/O check
날짜
경구
수액
9/30
600
1500
10/1
700
1000
10/2
700
1000
간호진단
식욕부진과 관련한 영양부족위험성
목표
(기대되는 결과)
장기목표
1. 퇴원 시까지 섭취량이 증가한다.
단기목표
1. 3일 이내에 poor oral intake 이 사라진다.
간호중재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1. 환아의 영양 상태와 식습관을 사정한다.
1. 식습관은 개인의 기호, 문화와 종교, 경제요인, 가족의 식사양상, 영양지식에 영향을 받는다.
- 2024. 09. 30.
점심, 저녁 모두 우유만 섭취하였음.
- 2024. 10. 01
아침은 우유만 먹었고, 점심은 우유와 밥3수저를 먹었음.
-2024. 10. 02
아침은 우유와 밥5수저 먹었고, 점심은 우유만 먹었음.
2. 삼키기 쉬운 음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2,3. 정상적인 삼투압을 유지하려면 적절한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다. 육류, 생선, 조류, 콩, 달걀, 치즈에 단백질이 많다.
환아가 삼키기 쉬운 음식을 권하도록 교육하였다.
3. 고단백- 고열량 식이 섭취를 격려한다.
음식 섭취가 거의 없어 고단백- 고열량 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4.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4. I/O체크는 과잉의 수분이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되었는지 알 수 있다.
발적, 부종, 통증, 열감 등의 증상이 감염의 징후임을 교육하였다.
5.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5. 발열, 발한이 있는 경우는 과량의 체액 손실이 예상되어 탈수가 우려된다.
고열로 인한 탈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분섭취를 권장하였다.
6. 기호식품을 사정하고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6. 대상자의 기호식품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식욕을 증진시킨다.
기호식품으로 구강 섭취를 증가시키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1. 퇴원 시까지 섭취량이 증가한다.
2. 3일 이내에 poor oral intake 이 사라진다. (미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