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보건의료인 협력보고서 , 의료인간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 문제점 원인 협력방안 실제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의료인 협력보고서 , 의료인간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 문제점 원인 협력방안 실제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의료인 간에 협력이 필요한 상황
2) 의료인 간에 협력이 잘 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상황
3) 협력이 잘 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경우 원인을 분석하고 협력방안 제시
4) 실습 중 협력한 사례와 결과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습 중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난처한 적이 있는데 다른 선생님의 도움 일이 잘 풀렸고, 저도 다른 선생님을 도와드리면서 일이 잘 해결되었습니다.
수액에 공기가 들어간 거 같은 환자분은 간호사 선생님이 오셔서 확인해본 결과 2개의 수액이 동시에 들어가고 있는데 하나는 투명색, 하나는 흰색의 수액이여서 수액이 이상하게 들어가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선생님이 가신 후 병실을 가보니 학생간호사 선생님이 v/s 다 측정하고 병실을 나오셨습니다. 그래서 감사하다고 말씀드리며 함께 간호사 스테이션으로 돌아와서 간호사 선생님께 무사히 시간 내에 v/s 측정한 결과를 알려드릴 수 있었습니다. 다른 학생 간호사 선생님과 일을 협력하여서 한 결과 수액이 잘 들어가고 있긴 했지만 간호사 선생님께 보고하여 환자분 수액 상태를 확인하고, 동시에 다른 환자분 v/s 측정을 모두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마취과 의사와 정형외과의사간, 정형외과 의사와 간호사간의 의사소통이 명확하지 않아 의료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전과나 전동 시 의료진간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며 의무기록을 작성하여 진료의 연속성을 확보한다. 또한, 통합적인 환자 진료를 위해 진료과 간의 협의진료체계를 갖추어 의뢰 및 회신을 하도록 하고, 환자평가기록은 환자진료 담당하는 직원과 공유한다.
결과를 먼저 말하자면 환자분은 학생선생님 두문(본인, 학생선생님)의 설명에 만족하였다. 실습학생들에겐 가진 지식의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인 또한 완벽한 학생이 아니므로 실수를 하고, 잘 모르는 것이 발생했을 때 그 문제를 혼자서 해결하는 것이 아닌 다른 학생들, 선생님들에게 협력을 요청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자신의 능력 밖의 일을 협력해서 잘 해결 하는 일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잘못된 교육, 잘못된 지식으로 행해졌던 행동들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상황은 충분히 있기 때문에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고, 결론적으로 PCA 기기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드리게 되었으며, 환자분은 PCA 기기에 대한 설명을 이해했다고 말로 표현할 수 있었다. 실제로 시간이 흐른 후 환자분께서는 간호사 선생님께 “버튼을 많이 눌러서 그런지 살짝 어지러운 것 같아요” 라는 말을 콜벨을 누른 뒤 하였고 이를 보았을 때 환자분에게 행하였던 협력으로 교육하였던 내용들은 성공적 이었다고 판단된다. 이렇듯 협력을 통해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대처할 수 있었던 좋은 사례라고 생각한다.
수술예정은 수술실 들어가기 10분전에 활력징후 및 준비시간을 가지고 승강기가 도착하고 탑승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하지만 신규간호사 선생님께서는 뒤늦게 상황을 알자마자 다른 선생님께 말씀드렸고 선생님께서는 먼저 승강기 층수와 대략적인 도착 시간을 파악하시고 학생간호사가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시간을 줄이고 최단시간 이동 동선을 지시하시고 본인은 수술실에 연락을 해서 현 상황을 말씀드렸다. 수술실 역시 이전 수술환자가 끝나서 마침 준비가 다 되어있는 상태였고 환자가 간호사실로 도착하자마자 신규간호사님과 다른 간호사님이 동시다발적으로 BST와 혈압, 맥박을 확인하셨고 체온은 사전에 학생간호사에게 측정한 수치를 확인하셨고 바로 승강기에 탑승할 수 있었다. 만약에 학생간호사가 조금이라도 늦게 도착을 했다면 승강기를 놓치거나 탈 수 없는 상황에서 다시 시간이 지체될 수 있었지만 순간적인 판단력과 간호사3분의 협력으로 인해서 문제해결을 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각 병실 파트에서의 협력하는 상황은 자주 볼 수 있지만 타 부서와의 협력이 잘 죈 경우는 처음 접해보았고 원무과에서 기본적인 업무이외에도 간략하게나마 그 환자나 보호자의 특성을 대략적으로 알려줌으로써 간호사실에서도 간호사실에는 사전에 준비할 시간이 있었고 임상 실습 첫 날임을 감안한 병원 내 적응이 끝나지 못한 학생간호사의 능력까지 감안을 하셔서 침착하게 환자가 기다림의 생각을 하는 것보다 오히려 신속하게 병원 내 절차와 보호자에게는 주차관리 절차를 설명을 해서 환자의 입장에서는 신속한 대응으로 생각을 할 수 있었겠다라는 인식을 남겨주게 되었다.
먼저 일반 간호사가 수간호사님에게 급한 상황일지라도 간략한 대화로 의사전달이 되었고 수간호사 선생님역시 하는 업무를 하면서도 항상 시야나 귀를 열어두시면서 간호사실 전반적인 일에 대해 파악을 하시고계셨다. 환자가 심정지처럼 위급한 상황은 아니었지만 평소 위기대처 능력에 대해 많은 반복 숙달이 되어있어서 실제 상황에서도 다양하게, 신속하게 환자의 안정감을 찾을 수 있도록 조치를 해주었고 혹시 모를 환자의 불안감에 대해서도 바로 환자의 과거력 등 간호정보조사지를 시행하지 않고 충분한 휴식을 권유함으로 환자를 중심으로 모든 선생님들의 협력이 있었기에 어떤 상황에서도 침착성을 유지하고 수행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정호기, 양야기. (2018). 병원 간호사의 갈등과 갈등 해소 경험,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7 No.1, 13-24
박광옥.(2015). 임상실무에서 간호사가 겪은 의사와의 의사소통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Vol 21. No 1. 53-63
원윤희, 강지연. (2014). 중환자실 간호사들 간의 의사소통 경험,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6 No 3, 352-361
오상경. (2004). 병원조직내 집단간 갈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박사 학위논문
조용애, 김미경, 조명숙, 남은영. (2013). 간호사의 의료인 간 의사소통에 대한 조사연구, 임상간호연구(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9 No.1, 20-32.
김화영, 정연진, 강지연, 문현숙. (2016). 간호사의 SBAR 환자보고가 의사소통의 명확성과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 단일군 전후실험 설계. 근관절건강학회지 Vol 23. No 2. 105-113
이연복, 이혜경(2015). 병원간호사의 역할갈등 및 갈등관리 유형, 대한스트레스학회, 23(3), 147-158.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4.09.16
  • 저작시기202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61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