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성인간호학 결핵 문헌고찰정의 증상 진단검사 예방 치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성인간호학 결핵 문헌고찰정의 증상 진단검사 예방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본론
1. 정의
2. 증상
3. 진단검사
4. 예방
5. 치료

Ⅱ. 결론
1. 과제를 하며 느낀점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아~1세 미만에게 0.05㎖를, 1세 이상 대상자에게는 0.1㎖를 왼쪽 팔 상박외측 삼각근 중앙부위로부터 약간 아래쪽 피부에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 피부의 가장 얕은 표층 내에 용액을 주입하는 주사법)한다. 신생아는 견봉(acromion of scapula)으로부터 어른 손가락 2개 굵기 정도 아래 피부에 주사한다.
(2) BCG 백신 접종 이상반응
단순비대림프절염· 화농성림프절염· 코호씨 현상· 무통성 궤양· 켈로이드 반흔등 이상반응의 빈도는 10,000명당 1~5명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심각한 전신성 이상반응은 1,000,000명당 1명 미만으로, 정상적인 면역기능인 경우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세포매개면역 계통에 심한 이상이 있는 경우에 드물게 발병합니다. 면역기전이 정상인 접종아의 1% 미만에서 BCG 접종시 림프계를 따라 증식되는 과정에서 겨드랑이 및 목 등에 림프절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농성 림프절염은 신생아에게 흔하며 대개 수주에서 수개월사이에 발생합니다. 이는 BCG를 과다하게 주입 시, 림프절이 3cm이상 커지며 화농이 되어 터지는 것을 말합니다. BCG 접종에 따른 림프절염은 폐결핵과 무관하므로 엑스선검진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국소 반응을 경험한 소아가 면역 기능에 문제가 있다거나 결핵에 대한 예방효과가 더 떨어진다는 증거는 없으며, BCG 골염/골수염은 드물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켈로이드는 반흔이 피부 위로 돌출되어 피부색이 보라색을 띄고, 표면이 팽팽하고 반질반질해지며, 모세혈관 확장증을 보이는 경우로 주로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대상자에게 재접종 시 호발합니다.
(3) BCG 백신 접종 금지 대상자
선천성면역결핍증후군· HIV 감염· 백혈병· 림프종 및 저감마글로불린혈증 등 면역결핍상태에 있는 대상자, 스테로이드· 항암제 치료· 방사선 치료 등으로 면역억제 상태인 대상자, 미숙아· 심한 영양실조· 심한 전신 피부병이 있거나 입원을 요할 정도의 심한 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자의 경우 접종을 연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4) BCG 백신의 보관 및 관리
BCG 건조백신은 용해하지 않은 상태로 2~8℃에서 18개월 유효하며, 실온(15~18℃)에서는 1개월간 생균수의 50%가 감소하지만 역가는 남아있습니다. 2~8℃에서 보관 시에는 생균수의 손실을 크게 막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냉장상태로 보관 및 운송을 해야 합니다. BCG 백신은 빛에 매우 약하므로 직사광선에 5분, 간접광에 15분간 노출시키면 50%가 사멸합니다. 용해한 BCG 는 빛에 더욱 민감하므로 2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 후 남은 백신을 보관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5. 치료
결핵은 올바른 약복용으로 완치가 가능합니다. 먼저, 결핵치료약은 반드시 전문의사의 처방을 받아야하며. 정해진 분량의 약을 규칙적으로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증세가 일시적으로 호전되었다고 하여 약복용을 조기 중단하며 치료에 실패하거나 재발의 확률이 높아집니다. 초기 치료는 효과가 뛰어난 1차 약제를 복용하며 약 6개월간 시행하지만, 다제내성결핵(기존 약제에 대한 내성 가짐)의 치료기간은 2년에 이르며 비용부담도 커지고, 부작용이 많고 치료 성공률이 약 50~60%정도입니다. 그렇기에 결핵약을 1~2주 동안 복용하여 증상이 완화되거나 나타나지 않을 지라도 최소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여 결핵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1) 항결핵 약제의 부작용
결핵약(항결핵약제) 복용에 따른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은 간독성에 의한 부작용입니다. 이소니아지드(isoniazid, INH), 리팜핀(rifampicin, RMP), 피라진아미드(pyrazinamide, PZA)등을 복용하였을 경우 나타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피로, 붓기, 황달 등이 있습니다. <그림 4> 참고. 이외에도 발진, 관절통, 위통 등 복용하는 약제 및 환자에 따라 상이한 부작용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전문의와 즉시 상담해야 합니다.
2) 초기 치료의 실패
(1) 다제내성결핵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MDR TB)
결핵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항결핵 약제인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을 말합니다. 다제내성 결핵환자는 처음부터 다제내성균에 감염되어 발병한 경우와 초기 치료에 실패하여 결핵균이 약제에 내성을 갖게 된 경우로 나뉩니다. 다제내성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2차 약제는 1차 약제에 비해 부작용이 많고, 치료기간도 18개월에서 24개월까지 길어지기 때문에 치료가 무척 까다롭습니다. 다제내성 결핵환자 중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병변을 제거하는 수술을 통해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2) 광범위약제내성결핵 (Extensively Drug-resistant Tuberculosis, XDR TB)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은 물론 한 가지 이상의 퀴놀론계 약제와 3가지 주사제 중 1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갖는 결핵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약 5%가 광범위내성 결핵환자에 해당하는데, 효과가 확인된 항결핵 약제의 수가 매우 적고 치료 성공률도 높지 않아 가능한 모든 약의 사용과 수술 요법 등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Ⅱ. 결론
1. 과제를 하며 느낀점
성인간호학에서 배운 결핵에 대한 내용을 떠올릴 수 있었고, 예방접종으로 들어왔던 질병을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어 뜻깊은 시간이었고, 간호사 및 의료봉사자들을 통해 전파될 수 있기에 활동성 결핵 환자를 간호할 때는 마스크를 필수로 해야겠다.
2. 참고문헌
대한결핵협회. (2017). 결핵 알아보기. Retrieved November 21, 2024, from
https://www.knta.or.kr/tbInfo/tbKnow/whatIsTB.asp
질병관리본부. (2015). BCG 접종. Retrieved November 21, 2024, from
http://www.cdc.go.kr/CDC/mobile/CdcKrContentView.jsp?cid=61917&menuIds=HOME001-MNU1130-MNU1890-MNU1891-MNU1896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4.09.18
  • 저작시기202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617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