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무신사 기업개요
2. 무신사 기업 지배구조 분석
3. 무신사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무신사 전략성공사례 분석
(1) 차별화전략
(2) 다각화전략
(3) 고객충성도 확보전략
5. 결론 및 느낀점
2. 무신사 기업 지배구조 분석
3. 무신사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무신사 전략성공사례 분석
(1) 차별화전략
(2) 다각화전략
(3) 고객충성도 확보전략
5.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체, 디자이너가 만든 제품을 판매하는 패션 판매 플랫폼 회사에서 사업을 다양하게 관련다각화 시켰다. 여성 전용 스토어인 우신사를 오픈했으며, 2017년에는 무신사 자체 브랜드인 무신사 스탠다드를 론칭했다. 2018년 6월 패션특화 공유오피스 무신사 스튜디오를 오픈했다. 2019년 8월 패션문화 편집공간 무신사 테라스를 열었다. 또한 같은 해에 신진 패션 브랜드와 디자이너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오디션 프로그램 `무신사 넥스트 제너레이션`을 시작하여 신진 디자이너를 꾸준히 육성할 계획이다.
이렇게 무신사 매출의 상승에 기여한 것은 무신사가 기존에 활발하지 않던 남성 쇼핑시장을 타겟으로한 플랫폼을 제작한 것도 있지만 무신사 스탠다드, 기존 브랜드 인수, 물류창고 확보, 여성 전용 스토어 우신사, 패션 공유오피스 무신사 스튜디오, 패션 편집 문화 공간 무신사 테라스, 패션 오디션 프로그램 무신사 넥스트 제너레이션 등 패션에 대한 다각화전략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런 다양한 노력으로 무신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의료 소비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3) 고객충성도 확보전략
무신사의 가장 큰 장점은 탄탄한 충성고객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신사는 초기에 홍대·강남·이태원 등 \'핫\'하다는 곳에서 촬영한 일반인 패션 피플의 스냅사진을 공유하는 패션 정보의 장이었다. 일반인 패션 피플의 스냅샷을 보고 궁금한 상품이 있으면 즉각 무신사 사이트 내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며 서로의 정보를 공유했었다. 무신사는 이때부터 커뮤니티 회원들 간의 친밀한 상호작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커뮤니티 회원들의 즐거움과 회원들 간의 관계를 촉진하기 위해 네트워킹 행사를 진행하였다. 그 예시로, 무신사 스토어가 아직 등장하지 않은 2008년에 회원들을 대상으로 축구게임 ‘위닝일레븐’ 대회를 열었다. 이렇게 진행된 행사는 무신사의 웹진 무신사 매거진을 통해 콘텐츠로 제작되어 확대되고 재생산되었다. 무신사는 위처럼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충성고객을 차츰 만들어갔다. 무신사라는플랫폼의신뢰도가커뮤니티를통해올라갔고, 이는 향후 커머스 플랫폼까지 자연스럽게 고객을 유입하여 그 고객들을 충성고객으로 만드는 지렛대가 되었다. 무신사는 활발한 네트워킹을 통하여 점차 회원들에게 친숙한 존재이자 함께 성장해온 브랜드로 자리매김하였고, 커뮤니티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회원들의 의견과 문의에 빠르게 대처하며 고객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무신사는 아직 안 써본 사람은 있지만, 한 번만 써본 사람은 없을 정도로 충성도가 높은 플랫폼이다. 특히오프라인구매엔소극적이지만패션트렌드에민감한 10대 후반부터 20대 중반 남성 고객들 사이에서 충성도가 높다. 일반적으로여성소비자가대다수인패션시장에서남성고객수가여성을추월하는경우는드물다. 하지만 무신사는 커뮤니티를 통해 유행 스타일을 제안하고, 남성이 선호하는 스트리트 캐주얼 브랜드와 기본 아이템에 특화된 전략을 통해 대한민국 20대 남성들에게 최고의 쇼핑몰로 성장하였다. 따라서 무신사는 MZ 남성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플랫폼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구축하였다. 경쟁사 기업 분석을 위해 여러 기업을 찾아보았지만 무신사에게 대적할 만한 기업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5. 결론 및 느낀점
경기침체로 패션업계가 어려운 와중에도 무신사는 꾸준한 매출 신장을 이루었으며, 이는 무신사의 성공적인 전략으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무신사는 자체 PB 상품인 ‘무신사 스탠다드’를 바탕으로 제작 및 유통 마진을 최대한 줄이며 수직적 다각화를 진행중에 있다. 또한, 솔드아웃, 무신사 테라스, 무신사 스튜디오를 통해 패션 비즈니스의 모든 프로세스를 갖추기 위한 사업 다각화를 진행하였다.
무신사는 차별화된 다각화 전략을 바탕으로 ‘온라인 패션 플랫폼’과 ‘스트리트 패션 편집숍’이라는 두 가지 교차점에 서있다.이런 점에서 W컨셉, 지그재그, 스타일쉐어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뿐만 아니라 원더플레이스와 같은 오프라인 편집숍 모두 경쟁 업체라고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무신사의 무리한 몸집 불리기라는 비판도 있지만, 글로벌 투자사들의 러브콜이 이어진 것은 무신사가 단순한 온라인 쇼핑몰이 아니라 ‘아시아 패션 플랫폼’ 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앞으로의 무신사는 축적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장 강력한 무기인 플랫폼 비즈니스를 펼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어떤 비즈니스로 확대하고 혁신해 나갈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이렇게 무신사 매출의 상승에 기여한 것은 무신사가 기존에 활발하지 않던 남성 쇼핑시장을 타겟으로한 플랫폼을 제작한 것도 있지만 무신사 스탠다드, 기존 브랜드 인수, 물류창고 확보, 여성 전용 스토어 우신사, 패션 공유오피스 무신사 스튜디오, 패션 편집 문화 공간 무신사 테라스, 패션 오디션 프로그램 무신사 넥스트 제너레이션 등 패션에 대한 다각화전략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런 다양한 노력으로 무신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의료 소비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3) 고객충성도 확보전략
무신사의 가장 큰 장점은 탄탄한 충성고객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신사는 초기에 홍대·강남·이태원 등 \'핫\'하다는 곳에서 촬영한 일반인 패션 피플의 스냅사진을 공유하는 패션 정보의 장이었다. 일반인 패션 피플의 스냅샷을 보고 궁금한 상품이 있으면 즉각 무신사 사이트 내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며 서로의 정보를 공유했었다. 무신사는 이때부터 커뮤니티 회원들 간의 친밀한 상호작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커뮤니티 회원들의 즐거움과 회원들 간의 관계를 촉진하기 위해 네트워킹 행사를 진행하였다. 그 예시로, 무신사 스토어가 아직 등장하지 않은 2008년에 회원들을 대상으로 축구게임 ‘위닝일레븐’ 대회를 열었다. 이렇게 진행된 행사는 무신사의 웹진 무신사 매거진을 통해 콘텐츠로 제작되어 확대되고 재생산되었다. 무신사는 위처럼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충성고객을 차츰 만들어갔다. 무신사라는플랫폼의신뢰도가커뮤니티를통해올라갔고, 이는 향후 커머스 플랫폼까지 자연스럽게 고객을 유입하여 그 고객들을 충성고객으로 만드는 지렛대가 되었다. 무신사는 활발한 네트워킹을 통하여 점차 회원들에게 친숙한 존재이자 함께 성장해온 브랜드로 자리매김하였고, 커뮤니티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회원들의 의견과 문의에 빠르게 대처하며 고객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무신사는 아직 안 써본 사람은 있지만, 한 번만 써본 사람은 없을 정도로 충성도가 높은 플랫폼이다. 특히오프라인구매엔소극적이지만패션트렌드에민감한 10대 후반부터 20대 중반 남성 고객들 사이에서 충성도가 높다. 일반적으로여성소비자가대다수인패션시장에서남성고객수가여성을추월하는경우는드물다. 하지만 무신사는 커뮤니티를 통해 유행 스타일을 제안하고, 남성이 선호하는 스트리트 캐주얼 브랜드와 기본 아이템에 특화된 전략을 통해 대한민국 20대 남성들에게 최고의 쇼핑몰로 성장하였다. 따라서 무신사는 MZ 남성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플랫폼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구축하였다. 경쟁사 기업 분석을 위해 여러 기업을 찾아보았지만 무신사에게 대적할 만한 기업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5. 결론 및 느낀점
경기침체로 패션업계가 어려운 와중에도 무신사는 꾸준한 매출 신장을 이루었으며, 이는 무신사의 성공적인 전략으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무신사는 자체 PB 상품인 ‘무신사 스탠다드’를 바탕으로 제작 및 유통 마진을 최대한 줄이며 수직적 다각화를 진행중에 있다. 또한, 솔드아웃, 무신사 테라스, 무신사 스튜디오를 통해 패션 비즈니스의 모든 프로세스를 갖추기 위한 사업 다각화를 진행하였다.
무신사는 차별화된 다각화 전략을 바탕으로 ‘온라인 패션 플랫폼’과 ‘스트리트 패션 편집숍’이라는 두 가지 교차점에 서있다.이런 점에서 W컨셉, 지그재그, 스타일쉐어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뿐만 아니라 원더플레이스와 같은 오프라인 편집숍 모두 경쟁 업체라고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무신사의 무리한 몸집 불리기라는 비판도 있지만, 글로벌 투자사들의 러브콜이 이어진 것은 무신사가 단순한 온라인 쇼핑몰이 아니라 ‘아시아 패션 플랫폼’ 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앞으로의 무신사는 축적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장 강력한 무기인 플랫폼 비즈니스를 펼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어떤 비즈니스로 확대하고 혁신해 나갈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추천자료
지름 7cm 무게 30g 초코파이(광고분석)
마케팅 성공 사례분석-초코파이
Amazon 아마존닷컴 기업분석과 SWOT분석& 아마존 마케팅 4P전략분석과 마케팅 성공요인과...
[ ebay 이베이 기업전략 사례연구 ] 이베이 ebay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ebay 이베이 경영전...
대한항공 기업분석과 주요경영전략 * 대한항공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 * 대한항공 미래...
디즈니랜드 기업현황과 SWOT분석/ 디즈니랜드 마케팅사례연구/ 디즈니랜드 글로벌전략 성공,...
[A+] ORION 오리온 기업현황과 SWOT분석/ 오리온 마케팅전략 사례분석/ 오리온 경영전략사례...
KT&G 기업현황과 SWOT분석/ KT&G 주요 경영전략과 마케팅/ KT&G 문제점,개선방안...
아마존 amazon 마케팅 4P전략과 아마존 SWOT,STP분석 및 아마존 성공요인과 느낀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