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 북한의 대외정책은 북한사회가 수령제 사회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외교목표 역시 국가목적으로부터 도출되고 국가목적은 <조선로동당 규약>에 근거한다고 할 수 있다.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이 사회주의 헌법으로 바뀜 (1998년 김정일정권으로 이양되면서 변경)
5. 핵 탄두를 실을 수 있는 ICBM(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개발
NPT(핵확산금지조약) Non-Proliferation Treaty 을 탈퇴함
6. 북한은 탈냉전 이후 1990년대 들어 그들의 외교정책방향을 과거 이념과 정치 위주에서 실리와 경제를 강조하는 현실주의와 실용주의 외교노선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이 사회주의 헌법으로 바뀜 (1998년 김정일정권으로 이양되면서 변경)
5. 핵 탄두를 실을 수 있는 ICBM(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개발
NPT(핵확산금지조약) Non-Proliferation Treaty 을 탈퇴함
6. 북한은 탈냉전 이후 1990년대 들어 그들의 외교정책방향을 과거 이념과 정치 위주에서 실리와 경제를 강조하는 현실주의와 실용주의 외교노선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본문내용
방상설위원회를 조직하여 북과 남의 지역정부들을 지도하며, 련방국가의 전반적인 사업을 관할하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③연방국가의 국호 및 대외정책 노선
”고려민주련방공화국“은 어떠한 정치군사적 동맹이나 쁠럭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로 되어야 한다.
방안구성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 연방형성의 원칙과 연방기구의 임무 및 기능, 10대 시정방침 등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
과도적 대책이라든지 당분간이라든지 이른바 통일의 중간과정의 단계적 조치를 상정해 온 어휘들을 완전 배제시킴으로써 ‘고려민주연방공화국’을 완성형 통일국가로 상정
연방제 실현을 위해서는 그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해 온
7,4 공동성명의 통일 3원칙에 의거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4. 1990년대 『1민족 1국가 2제도 2정부』 연방제
북한은 1991년 1월 김일성 신년사를 통해 기존의 통일완성형 연방제 주장에서 약간의 전술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1991년도 신년사에서 연방제 통일방안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북과 남에 서로 다른 두 제도가 존재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조국통일은 누가 누구를 먹거나 누구에게 먹히우지 않는 원칙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두 개 제도, 두 개 정부에 기초한 련방제 방식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북과 남의 서로 다른 제도를 하나의 제도로 만드는 문제는 앞으로 천천히 순탄하게 풀어나가도록 후대에게 맡겯 ㅗ되지만, 사상과 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하나의 민족으로서 하나의 통일국가를 세우는 일은 이제 더는 미루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고려민주련방공화국 창립방안에 대한 민족적 합의를 보다 쉽게이루기 위하여 잠정적으로는 련방공화국의 지역자치정부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며, 장차로는 중앙정부의 기능을 더욱 더 높여 나가는 방향에서 련방제 통일을 점차적으로 완성하는 문제도 협의할 용의가 있다.
북한은 1960년 8월 남북연방제를 처음으로 제가한 이래 2000년 6ㆍ15 남북정상회담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방제의 명칭과 내용에 많은 변화를 보여왔다.
<북한 통일방안의 평가>
북한의 통일방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북한의 통일국가상은 사회주의체제이며 이러한 통일을 위해서는 남한에서 민족민주자주정권의 수립이 선행되어야 하는 선민족해방 후 인민민주주의혁명론을 주장하고 있는 점이다.
②남한 혁명 및 조선혁명에서 북한의 ‘영도성’을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는 혁명기지노선 내지 혁명적 민주기지노선을 채택하고 있는 점이다.
③통일정책과 제안은 남한당국에 대해서 점차적으로 유연성을 띠어 간다는 점, 즉 민주기지노선 → 남조선혁명론 → 민족자주정권수립으로 기본전략이 변화하였다는 것이다. 남한에서 민중의 지지를 받는 민족부르조아적 성격의 민족자주정권의 수립을 연방통일국가수립의 최소한의 전제조건으로 삼고 있을 뿐이다.
④북한은 통일여건을 조성하는데 정치ㆍ군사적이고 일시적인 해결을 중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끝으로 이상의 특징을 갖는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을 중심으로 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검토해 볼 때 그것은 하나의 방안으로서 나름대로 논리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방안은 어느 의미에서 보면 남북한에 존재하는 상이한 상상과 제도를 그대로 인정하고 하나의 통일된 연방국가를 형성시킬 것을 주장함으로써, 북한의 연방공화국 통일 방안은 부분적으로 현실을 인정하고 동시에 이상을 실현시키려는 인위적 시도로서 그 본질의 의미를 이해할 수도 있다.
<주체사상>
주체사상 기본 원리 : 정치적 자주, 경제적 자립, 국방의 자위
7.4 남북 공동성명 3대원칙 :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
7차노동당 대회 핵 병진노선?
주한미군 철수, 평화협정 체결
③연방국가의 국호 및 대외정책 노선
”고려민주련방공화국“은 어떠한 정치군사적 동맹이나 쁠럭에도 가담하지 않는 중립국가로 되어야 한다.
방안구성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 연방형성의 원칙과 연방기구의 임무 및 기능, 10대 시정방침 등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
과도적 대책이라든지 당분간이라든지 이른바 통일의 중간과정의 단계적 조치를 상정해 온 어휘들을 완전 배제시킴으로써 ‘고려민주연방공화국’을 완성형 통일국가로 상정
연방제 실현을 위해서는 그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해 온
7,4 공동성명의 통일 3원칙에 의거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4. 1990년대 『1민족 1국가 2제도 2정부』 연방제
북한은 1991년 1월 김일성 신년사를 통해 기존의 통일완성형 연방제 주장에서 약간의 전술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1991년도 신년사에서 연방제 통일방안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북과 남에 서로 다른 두 제도가 존재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조국통일은 누가 누구를 먹거나 누구에게 먹히우지 않는 원칙에서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두 개 제도, 두 개 정부에 기초한 련방제 방식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북과 남의 서로 다른 제도를 하나의 제도로 만드는 문제는 앞으로 천천히 순탄하게 풀어나가도록 후대에게 맡겯 ㅗ되지만, 사상과 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하나의 민족으로서 하나의 통일국가를 세우는 일은 이제 더는 미루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고려민주련방공화국 창립방안에 대한 민족적 합의를 보다 쉽게이루기 위하여 잠정적으로는 련방공화국의 지역자치정부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며, 장차로는 중앙정부의 기능을 더욱 더 높여 나가는 방향에서 련방제 통일을 점차적으로 완성하는 문제도 협의할 용의가 있다.
북한은 1960년 8월 남북연방제를 처음으로 제가한 이래 2000년 6ㆍ15 남북정상회담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방제의 명칭과 내용에 많은 변화를 보여왔다.
<북한 통일방안의 평가>
북한의 통일방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북한의 통일국가상은 사회주의체제이며 이러한 통일을 위해서는 남한에서 민족민주자주정권의 수립이 선행되어야 하는 선민족해방 후 인민민주주의혁명론을 주장하고 있는 점이다.
②남한 혁명 및 조선혁명에서 북한의 ‘영도성’을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는 혁명기지노선 내지 혁명적 민주기지노선을 채택하고 있는 점이다.
③통일정책과 제안은 남한당국에 대해서 점차적으로 유연성을 띠어 간다는 점, 즉 민주기지노선 → 남조선혁명론 → 민족자주정권수립으로 기본전략이 변화하였다는 것이다. 남한에서 민중의 지지를 받는 민족부르조아적 성격의 민족자주정권의 수립을 연방통일국가수립의 최소한의 전제조건으로 삼고 있을 뿐이다.
④북한은 통일여건을 조성하는데 정치ㆍ군사적이고 일시적인 해결을 중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끝으로 이상의 특징을 갖는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을 중심으로 한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검토해 볼 때 그것은 하나의 방안으로서 나름대로 논리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방안은 어느 의미에서 보면 남북한에 존재하는 상이한 상상과 제도를 그대로 인정하고 하나의 통일된 연방국가를 형성시킬 것을 주장함으로써, 북한의 연방공화국 통일 방안은 부분적으로 현실을 인정하고 동시에 이상을 실현시키려는 인위적 시도로서 그 본질의 의미를 이해할 수도 있다.
<주체사상>
주체사상 기본 원리 : 정치적 자주, 경제적 자립, 국방의 자위
7.4 남북 공동성명 3대원칙 :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
7차노동당 대회 핵 병진노선?
주한미군 철수, 평화협정 체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