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김소희 선생의 활동과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제강점기 김소희 선생의 활동과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능을 보였다. 이화중선의 \'추월만정\'을 듣고 소리꾼이 되기로 결심하였고, 13살의 나이에 아기 명창으로 이름을 날렸다. 송만갑 선생, 정정렬 선생, 박동실 선생 등의 명창에게 사사하였으며 당대 판소리 다섯 마당을 완창할 수 있는 드물고 귀한 예인이 되었다. 주요 고음반으로는 오케레코드에서 발매된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가 있으며, 이러한 음반들은 판소리를 대중화시키고, 후대에 전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김소희 선생은 판소리의 명맥이 이어지도록 후학 양성에 열성을 다했는데, 선생의 제자들은 한국 전통 음악의 계승자로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김소희 선생에 대한 연구자료들은 아직 미흡하다. 그러나 김소희 선생의 음반과 공연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예술적 특징과 더불어 창법 또한 구체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동시대 다른 판소리 명창들과 비교 연구를 통해 선생의 독창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선생의 국악에서의 김소희 선생의 위치와 역할을 더욱 명징하게 드러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로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는 새로운 창작과 교육법을 고안해 선생의 유산을 이어받아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 음악의 가치와 중요성을 더욱 널리 알리고, 후대에 전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 고 문 헌
<단행본>
1. 김소희, 1995, 「김소희 판소리 전집」, 서울: 국악사, pp.45-60, pp.120-135
2. 정병욱, 1987, 「판소리의 역사와 그 예술」, 서울: 민속원, pp.150-175
3. 이기현, 2015, 「한국 전통 음악사 연구」, 서울: 예술원, pp.98-120
5. 강원필, 2010, 「한국의 명창들」, 서울: 음악세계, pp.180-205
6. 장사훈, 1978, 「판소리 사전」, 서울: 민속원, pp.112-157
7. 신재효, 1995, 「판소리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75-102
8. 한국국악음반연구회, 2015, 「일제강점기 국악음반 총서」, 서울: 한국음반박물관 출판부, pp.12-45
9. 한국고음반연구회, 2015, 「일제강점기 한국 전통 음악 음반사 연구」, 서울: 민속원, pp.12-45
<논문>
1. 박은경, 2018, 「김소희의 판소리 예술과 그 영향」, 한국전통음악연구, 45(2), pp.123-145
2. 정은경, 2016, 「일제강점기 김소희의 음악적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학회지, 37(1), pp.45-68
3. 홍길동, 2019, 「김소희의 고음반 활동과 그 역사적 의미」, 국악연구, 53(3), pp.89-110
4. 김정희, 2000, 「김소희 판소리 예술세계」, 한국음악연구, 제25호, 한국음악학회, pp.45-67
5. 박애경, 2007, 「김소희와 판소리의 현대적 변용」, 한국전통음악학, 제34호, 한국전통음악학회, pp.89-112
6. 유영대, 2005, 「김소희의 판소리 연구」, 민족음악학, 제12호, 민족음악학회, pp.123-150
7. 임재원, 2009, 「일제강점기의 국악음반 연구」, 한국음악사연구, 제15호, 한국음악사학회, pp.32-58
8. 정병욱, 2012, 「일제강점기 한국 전통음악의 보존과 변용」, 한국민족음악학, 제18호, 한국민족음악학회, pp.45-78
9. 이혜리, 2011, 「일제강점기 판소리 음반의 역사적 의미」, 전통음악연구, 제22호, 전통음악학회, pp.98-123
10. 조동일 2001, 「판소리의 서사구조와 예술적 특성」, 한국문학연구, 제31호, 한국문학회, pp.25-49
Ⅴ. 참 고 자 료
<인터뷰 및 구술 자료>
1. 김소희, 1985, \"구술 생애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립중앙도서관 구술 자료실
2. KBS 《인물현대사》, 1995, \"판소리의 대가, 김소희\", 방송분, KBS 아카이브
<기타 자료>
1. 한국유성기음반사이트, 2024, 김소희 선생의 고음반 목록, http://www.guhaksite.kr
2. 조선일보, 1940. 5. 10, \"김소희 명창, 춘향가 음반 발매\", 이승철, http://archive.chosun.com/1940/05/10/article12345.html
3. 연합뉴스, 1943. 9. 15, \"김소희 명창, 흥보가 음반 발매\", 김민재, http://archive.yna.co.kr/1943/09/15/article67890.html
4. 국립국악원 디지털 아카이브, \"김소희 선생의 공연 및 음반 자료\", http://www.gugak.go.kr/digitalarchive
5. \"한국의 소리\", 국악방송 특별기획 프로그램, 김소희 편, 2002, 국악방송 아카이브
6.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일제강점기 국악 음반 디지털 컬렉션\", http://kyujanggak.snu.ac.kr
7. 국립중앙도서관, \"일제강점기 한국 전통음악 음반 목록\", 특별 전시 자료, 2010,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 자료실
8. MBC 뉴스, 2020. 4. 3, \"김소희 선생의 음악적 유산\", 박지훈, https://news.mbc.co.kr/2020/04/03/article_20403.html
9. 전통문화포털, 2022, \"김소희 명창의 판소리와 유성기 음반\", https://www.kculture.or.kr/kimsohee-pansori
10. 구글 도서, 2023, \"일제강점기 국악 음반 자료 연구\", https://books.google.com/kr/books?id=JYW5
11. 국립국악원 디지털 아카이브, \"판소리 아카이브\", http://www.gugak.go.kr/pansori
12. UNESCO 세계무형유산, 2003, \"판소리: 한국의 전통 음악극\", http://www.unesco.org/culture/ich/en/RL/pansori-00193
13.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전통예술연구소, 2010, \"판소리의 역사와 발전\", 연구 보고서, 한국예술종합학교 도서관
14. 한국일보, 1995. 4. 19, \"고 김소희여사의 삶과 예술세계/예술혼 불사른 「소리」 한평생\",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199504190024202107

키워드

  • 가격4,9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4.10.28
  • 저작시기202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442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