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개성의 성립과 변천 과정
2. 원촌이 담긴 이육사의 작품 활동과 그의 동지 윤세주
3. 종로구 명륜3가 : 최초의 교육기관 성균관
4. 향후 답사 하고 싶은 지역 -> 송파구 잠실동 : 삼전도의 굴욕 삼전도비
출처 및 참고 문헌
1. 개성의 성립과 변천 과정
2. 원촌이 담긴 이육사의 작품 활동과 그의 동지 윤세주
3. 종로구 명륜3가 : 최초의 교육기관 성균관
4. 향후 답사 하고 싶은 지역 -> 송파구 잠실동 : 삼전도의 굴욕 삼전도비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물로 여겨져 있고 석촌호수에 있지만 매우 인적이 드문 구석에 세워져 있다. 나 역시도 석촌호수를 자주 가는데 불구하고 삼전도비는 한 번도 보지 못했고 네이버 지도를 통해 위치를 보니 해당 장소가 지나가면서는 접하기 힘든 위치인걸 알 수 있었다. 치욕의 역사이긴 하지만 일본이 이순신 장군을 위대한 장군으로 보는 것처럼 당시 청나라의 이해관계를 알아보고 패배와 굴욕 또한 우리나라의 역사이니 삼전도비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1639년 병자호란 당시 조선이 패하고 강화 협정을 맺은 후 삼전도비가 세워졌다. 당시 치욕적인 비문을 작성하고자 하는 신하가 존재하지 않았는데 인조의 부탁으로 인해 이조판서 이경석이 글은 지었고 오준이 글씨를 썼다. 오준은 이 치욕을 참지 못해 오른손을 돌로 짓이겨 다시는 글을 쓰지 않았다고 한다. 삼전도비의 높이는 5.7m 무게는 32톤에 달하는 비석이 세워졌다. 해당 내용에는 조선이 항복한 사실, 조선에 출병시킨 이유, 항복 후에 청태종이 피해를 끼치지 않고 회군한 기록이 있다. 한쪽 면에는 한문, 다른 면에는 만주문과 몽골문으로 하나의 비석에 3개국의 문자가 새겨져 있다.
해당 내용은 어리석은 조선 왕은 청 황제에게 반항하였고 황제는 조선 왕을 타이르고 죄를 납득시켰다. 왕은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닫고 군신관계를 맺는걸을 맹세한다. 그리고 청 황제의 은혜를 잊지 않고 이 죄를 반성하기 위해 석비를 세움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해당 비석은 석촌호 주변에 세워졌으면 고종이 치욕적인 역사로 인해 매몰을 하였으나 일제 강점기에 다시 일본에 의해 세워지고, 1956년 문교부에 의해 땅 속에 묻혔다가 1963년 다시 세워지는 등 정부의 변덕이 있었다. 그러고 최근 2010년 최초의 위치였던 석촌호수 서호 언덕으로 옮겨졌다.
현 정부에 의해 삼전도비가 다시 땅속에 잠길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지만 해당 내용이 퍼지다 보면 주거지역 근처의 흉물은 다 없애는 대한민국 국민의 성향을 보면 해당 위치에는 없어질 가능성도 있어 보이기에 석촌호수에 산책을 갈 일이 있다면 함께 삼전도비 견학을 할 예정이다.
출처 및 참고 문헌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송찬섭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307쪽~335쪽, 364쪽~389쪽
성균관 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역사 , 약사, https://www.skku.edu/skku/about/s620/sub02_01.do,
두산백과 두피디아, 서울 삼전도비,
1639년 병자호란 당시 조선이 패하고 강화 협정을 맺은 후 삼전도비가 세워졌다. 당시 치욕적인 비문을 작성하고자 하는 신하가 존재하지 않았는데 인조의 부탁으로 인해 이조판서 이경석이 글은 지었고 오준이 글씨를 썼다. 오준은 이 치욕을 참지 못해 오른손을 돌로 짓이겨 다시는 글을 쓰지 않았다고 한다. 삼전도비의 높이는 5.7m 무게는 32톤에 달하는 비석이 세워졌다. 해당 내용에는 조선이 항복한 사실, 조선에 출병시킨 이유, 항복 후에 청태종이 피해를 끼치지 않고 회군한 기록이 있다. 한쪽 면에는 한문, 다른 면에는 만주문과 몽골문으로 하나의 비석에 3개국의 문자가 새겨져 있다.
해당 내용은 어리석은 조선 왕은 청 황제에게 반항하였고 황제는 조선 왕을 타이르고 죄를 납득시켰다. 왕은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닫고 군신관계를 맺는걸을 맹세한다. 그리고 청 황제의 은혜를 잊지 않고 이 죄를 반성하기 위해 석비를 세움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해당 비석은 석촌호 주변에 세워졌으면 고종이 치욕적인 역사로 인해 매몰을 하였으나 일제 강점기에 다시 일본에 의해 세워지고, 1956년 문교부에 의해 땅 속에 묻혔다가 1963년 다시 세워지는 등 정부의 변덕이 있었다. 그러고 최근 2010년 최초의 위치였던 석촌호수 서호 언덕으로 옮겨졌다.
현 정부에 의해 삼전도비가 다시 땅속에 잠길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지만 해당 내용이 퍼지다 보면 주거지역 근처의 흉물은 다 없애는 대한민국 국민의 성향을 보면 해당 위치에는 없어질 가능성도 있어 보이기에 석촌호수에 산책을 갈 일이 있다면 함께 삼전도비 견학을 할 예정이다.
출처 및 참고 문헌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송찬섭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307쪽~335쪽, 364쪽~389쪽
성균관 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역사 , 약사, https://www.skku.edu/skku/about/s620/sub02_01.do,
두산백과 두피디아, 서울 삼전도비,
추천자료
2021년 2학기 역사의현장을찾아서 기말시험 과제물(자신이 거주하는 지역 답사기 작성)
2021년 2학기 역사의현장을찾아서 기말시험 과제물(자신이 거주하는 지역 답사기 작성)
2022년 2학기 역사의현장을찾아서 기말시험 과제물(자신이 거주하는 주변 답사기 작성)
2022년 2학기 역사의현장을찾아서 기말시험 과제물(자신이 거주하는 주변 답사기 작성)
2022년 2학기 역사의현장을찾아서 기말시험 과제물(자신이 거주하는 주변 답사기 작성)
역사의현장을찾아서 기말 2023학년도 2학기) 역사의현장을찾아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체제...
(A+, 문화, 관광, 일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1-2,2-2) 교재를 참고하여 자신이 거주하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