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췌장(이자)의 구조와 기능
2. 당뇨병의 정의
3. 당뇨병의 분류
4. 당뇨병의 원인
5. 당뇨병의 증상
6. 당뇨병의 위험인자 및 합병증
7. 당뇨병의 진단검사
8. 당뇨병의 치료 및 간호
Ⅲ. 본론
1. 대상자 간호정보조사지
2. 대상자 임상검사
3. 대상자 BST
4. 대상자 투약
5. 대상자 간호과정
Ⅳ. 결론
Ⅴ.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췌장(이자)의 구조와 기능
2. 당뇨병의 정의
3. 당뇨병의 분류
4. 당뇨병의 원인
5. 당뇨병의 증상
6. 당뇨병의 위험인자 및 합병증
7. 당뇨병의 진단검사
8. 당뇨병의 치료 및 간호
Ⅲ. 본론
1. 대상자 간호정보조사지
2. 대상자 임상검사
3. 대상자 BST
4. 대상자 투약
5. 대상자 간호과정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렉스터치 주 100UNLT/ML
24
< 교육적 중재 >
5.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 매일 누워있는 환자에게 병동 복도를 매일 한 바퀴라도 걸으라고 말씀 드렸다.
6. 대상자에게 당뇨식이와 올바른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 당뇨식이에 대해서 교육함.
7. 대상자에게 인슐린 자가 투여 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 장기목표 평가 >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혈당을 유지하지 못하였다. ( 미달성 )
아침
점심
저녁
기상 후
식후
식전
식후
식전
식후
11/06
(입원 시)
-
-
180
363
202
142
11/07
105
177
157
143
218
184
11/08
99
202
178
219
205
166
11/09
112
172
143
131
239
198
11/10
161
94
105
183
173
145
11/11
141
149
118
167
116
152
11/12
98
222
153
137
145
187
< 단기목표 평가 >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당뇨와 관련된 식이 조절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말할 수 있다. ( X )
→ 당뇨와 관련된 식이조절의 필요성은 인식하였지만, 말 하지 못하였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인슐린투여의 중요성과 인슐린 자가 투여 하는 방법을 말할 수 있다. ( 미달성 )
→ RN이 인슐린투여 교육을 하자 하지 말라며, 안한다고 성질을 내며 교육내용을 아예 듣지 않음.
#2. 식욕부진 및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Assessment)
S (주관적 자료)
“ 대변 아직 안 봤어요 ”
“ 아니 내가 오늘 대변을 안 봤는데 약 좀 사러 약국 좀 다녀올게. 근데 내가 내려가서 살 수 가없으니까 쫌 사다줘.”
“ 대변 좀 보게 해줘. ”
O (객관적 자료)
- 환자는 입원일부터 퇴원 시까지 대변을 잘 보지 못하였음.
- 변비약 복용 중
- 11/10 16:25 글리세린 관장 50cc 시행함.
- 침상에 있는 시간이 많음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2. 식욕부진 및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간호목표(Nursing goals)
<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인다.
< 단기목표 >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규칙적인 운동(산책)을 한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섬유소와 수분이 함유된 음식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 진단적 계획 >
1. 평소 음식섭취 양상이나 종류를 사정한다.
2. 배변 횟수와 양상을 사정한다.
3. 대상자의 안위에 대해서 사정한다.
< 치료적 계획 >
4. 처방에 따라 변비완화제를 투여한다.
5. 규칙적인 식사를 하도록 격려한다.
6.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 교육적 계획 >
7. 대상자에게 섬유소와 수분이 함유된 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8. 대상자에게 하루에 2번 병원을 산책하도록 교육한다.
1. 하루에 섭취하는 열량과 양상을 평가하여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2. 배변횟수와 양상을 확인하는 것은 앞으로의 계획과 중재를 세울 수 있도록 한다.
3. 심리적인인 우울은 연동운동의 저하로 인한 변비를 일으킨다.
4. 변완화제는 변을 묽게 해주고 연동운동을 증가시킨다.
5. 규칙적인 식사는 장의 연동운동을 증가시킨다.
6. 쾌적한 환경은 변비에 도움이 된다.
7. 고섬유질의 식이 (생과일, 생야채, 모든 곡류)는 장에서 부피를 형성함으로써 연동운동과 배변을 증가시킨다.
8. 변비완화를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은 장운동을 촉진 시켜서 정상적인 배변을 할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 진단적 중재 >
1. 음식섭취 양상을 사정하였다.
→ 입원 시부터 퇴원 시까지 당뇨식이를 하고있음. 하루에 간식 섭취하지않으며, 처방 된 당뇨식이에 따라서 알맞게 복용중임.
날짜
사정
11/09
배변 보러 화장실에 갔지만, 대변 보지 못하였다고 함.
11/10
배변 보지 못했다며, 관장 약좀 사다 달라고 간호사에게 부탁함. 배가 아프다고 호소하였고, 예민한 상태임.
11/11
배변 보았다고 함.
2. 배변횟수와 양상을 사정하였다.
3. 대상자의 안위에 대해서 사정하였다.
→ 대상자에게 “대변 못 보셔서 많이 힘드시죠? 혹시 변비 말고 더 불편하신 점 있으신가요?”사정한 결과 “몇일동안 대변을 못 봤더니, 배가 아프고 예민해지네요.”라고 호소하였다.
< 치료적 중재 >
4. 처방에 따라 변비 완화제를 투여하였다.
→ 듀파락, 마그밀정 투여
5. 규칙적인 식사를 하도록 격려하였다.
6.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 대상자가 불편해 할 수 있으니 커튼을 통해 프라이버시를 존중해 주었다.
< 교육적 중재 >
7. 대상자에게 섬유소와 수분이 함유된 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하지 못하였다.
→ 퇴원을 하셔서 교육하지 못함.
8. 대상자에게 하루에 2번 병원 산책을 산책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 대상자는 하루에 2번 정도 복도에 왔다갔다 하면서 걸어 다녔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평가>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인다. (달성)
→ 글리세린으로 관장하고, 변비완화제 복용 후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였다.
<단기목표 평가>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규칙적인 운동(산책)을 한다. (미달성)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섬유소와 수분이 함유된 음식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미달성)
Ⅳ. 결론
간호학생이 접근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대상자에게 많은 간호를 못해 준 것 같아 속상하고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대상자분의 사례를 바탕으로 당뇨병에 대해서 증상이 어떤 것인지, 어떻게 진단하는지, 치료 및 간호에 대해서 자세히 공부하며 알 수 있는 좋은 기계가 되어서 너무 좋았던 실습 이었던 것 같다.
Ⅴ. 참고문헌
고성희 외 (2002), 간호과정의 이해, 현문사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Ⅰ,Ⅱ (2006), 현문사
정현철 외 (2006),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윤종영 외 (2005), 최신 약리학, 현문사
당뇨병학, 김웅자 외, 대한당뇨병학회
건국대충주병원 1병동 집담자료집
당뇨병학, 현문사
24
< 교육적 중재 >
5.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 매일 누워있는 환자에게 병동 복도를 매일 한 바퀴라도 걸으라고 말씀 드렸다.
6. 대상자에게 당뇨식이와 올바른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 당뇨식이에 대해서 교육함.
7. 대상자에게 인슐린 자가 투여 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 장기목표 평가 >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혈당을 유지하지 못하였다. ( 미달성 )
아침
점심
저녁
기상 후
식후
식전
식후
식전
식후
11/06
(입원 시)
-
-
180
363
202
142
11/07
105
177
157
143
218
184
11/08
99
202
178
219
205
166
11/09
112
172
143
131
239
198
11/10
161
94
105
183
173
145
11/11
141
149
118
167
116
152
11/12
98
222
153
137
145
187
< 단기목표 평가 >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당뇨와 관련된 식이 조절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말할 수 있다. ( X )
→ 당뇨와 관련된 식이조절의 필요성은 인식하였지만, 말 하지 못하였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인슐린투여의 중요성과 인슐린 자가 투여 하는 방법을 말할 수 있다. ( 미달성 )
→ RN이 인슐린투여 교육을 하자 하지 말라며, 안한다고 성질을 내며 교육내용을 아예 듣지 않음.
#2. 식욕부진 및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Assessment)
S (주관적 자료)
“ 대변 아직 안 봤어요 ”
“ 아니 내가 오늘 대변을 안 봤는데 약 좀 사러 약국 좀 다녀올게. 근데 내가 내려가서 살 수 가없으니까 쫌 사다줘.”
“ 대변 좀 보게 해줘. ”
O (객관적 자료)
- 환자는 입원일부터 퇴원 시까지 대변을 잘 보지 못하였음.
- 변비약 복용 중
- 11/10 16:25 글리세린 관장 50cc 시행함.
- 침상에 있는 시간이 많음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2. 식욕부진 및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간호목표(Nursing goals)
<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인다.
< 단기목표 >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규칙적인 운동(산책)을 한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섬유소와 수분이 함유된 음식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 진단적 계획 >
1. 평소 음식섭취 양상이나 종류를 사정한다.
2. 배변 횟수와 양상을 사정한다.
3. 대상자의 안위에 대해서 사정한다.
< 치료적 계획 >
4. 처방에 따라 변비완화제를 투여한다.
5. 규칙적인 식사를 하도록 격려한다.
6.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 교육적 계획 >
7. 대상자에게 섬유소와 수분이 함유된 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8. 대상자에게 하루에 2번 병원을 산책하도록 교육한다.
1. 하루에 섭취하는 열량과 양상을 평가하여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2. 배변횟수와 양상을 확인하는 것은 앞으로의 계획과 중재를 세울 수 있도록 한다.
3. 심리적인인 우울은 연동운동의 저하로 인한 변비를 일으킨다.
4. 변완화제는 변을 묽게 해주고 연동운동을 증가시킨다.
5. 규칙적인 식사는 장의 연동운동을 증가시킨다.
6. 쾌적한 환경은 변비에 도움이 된다.
7. 고섬유질의 식이 (생과일, 생야채, 모든 곡류)는 장에서 부피를 형성함으로써 연동운동과 배변을 증가시킨다.
8. 변비완화를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은 장운동을 촉진 시켜서 정상적인 배변을 할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 진단적 중재 >
1. 음식섭취 양상을 사정하였다.
→ 입원 시부터 퇴원 시까지 당뇨식이를 하고있음. 하루에 간식 섭취하지않으며, 처방 된 당뇨식이에 따라서 알맞게 복용중임.
날짜
사정
11/09
배변 보러 화장실에 갔지만, 대변 보지 못하였다고 함.
11/10
배변 보지 못했다며, 관장 약좀 사다 달라고 간호사에게 부탁함. 배가 아프다고 호소하였고, 예민한 상태임.
11/11
배변 보았다고 함.
2. 배변횟수와 양상을 사정하였다.
3. 대상자의 안위에 대해서 사정하였다.
→ 대상자에게 “대변 못 보셔서 많이 힘드시죠? 혹시 변비 말고 더 불편하신 점 있으신가요?”사정한 결과 “몇일동안 대변을 못 봤더니, 배가 아프고 예민해지네요.”라고 호소하였다.
< 치료적 중재 >
4. 처방에 따라 변비 완화제를 투여하였다.
→ 듀파락, 마그밀정 투여
5. 규칙적인 식사를 하도록 격려하였다.
6.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 대상자가 불편해 할 수 있으니 커튼을 통해 프라이버시를 존중해 주었다.
< 교육적 중재 >
7. 대상자에게 섬유소와 수분이 함유된 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하지 못하였다.
→ 퇴원을 하셔서 교육하지 못함.
8. 대상자에게 하루에 2번 병원 산책을 산책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 대상자는 하루에 2번 정도 복도에 왔다갔다 하면서 걸어 다녔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평가>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인다. (달성)
→ 글리세린으로 관장하고, 변비완화제 복용 후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였다.
<단기목표 평가>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규칙적인 운동(산책)을 한다. (미달성)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섬유소와 수분이 함유된 음식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미달성)
Ⅳ. 결론
간호학생이 접근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대상자에게 많은 간호를 못해 준 것 같아 속상하고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대상자분의 사례를 바탕으로 당뇨병에 대해서 증상이 어떤 것인지, 어떻게 진단하는지, 치료 및 간호에 대해서 자세히 공부하며 알 수 있는 좋은 기계가 되어서 너무 좋았던 실습 이었던 것 같다.
Ⅴ. 참고문헌
고성희 외 (2002), 간호과정의 이해, 현문사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Ⅰ,Ⅱ (2006), 현문사
정현철 외 (2006),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윤종영 외 (2005), 최신 약리학, 현문사
당뇨병학, 김웅자 외, 대한당뇨병학회
건국대충주병원 1병동 집담자료집
당뇨병학,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