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간호
Ⅲ.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 조사지(간호력)
1) 일반정보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진단검사
4) 임상검사
5) 약물
2.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간호
Ⅲ.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 조사지(간호력)
1) 일반정보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진단검사
4) 임상검사
5) 약물
2.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0
36.5
98
대상자에게 감염의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Assessment)
S : “입맛이 없는데 살이 더 빠질려나..”
“속이 울렁거려서 뭘 먹고 싶지도 않아요.”
O :
- nausea(+)
- 복통(+)
- 기운이 없고 누워있는 모습 관찰됨.
- 경구 복용약을 삼키는 것을 힘들어 하는 것이 관찰됨.
항암제(빈크리스틴파마케미주사, 독소루빈주사, 마테라주, 싸이크람주) 투여 중임.
진단검사 결과
검사
정상
12/13
12/14
T.Protein
6.7~8.3
6.2
5.2
Albumin
3.8~5.3
3.1
2.8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2 항암제 부작용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목표(Nursing goals)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음식 섭취를 통해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오심, 구토, 식욕부진으로 인한 불편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구강섭취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계획(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4시간마다 I/O를 모니터하고 양상을 확인한다.
2. total protein과 albumin 수치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식전, 식후에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5. 환자에게 비경구적 영양지지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하에 처방에 따라 비경구 영양섭취와 약물을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
6. 자극적인 음식과 카페인 함유 음료 섭취 제한을 설명한다.
7.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균형 잡힌 영양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식사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함으로써 현재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영양상태의 지표를 확인함으로써 영양상태 변화를 알 수 있다.
구강간호는 식욕촉진을 돕고 청결함을 유지시킨다.
구강으로 영양을 섭취할 수 없는 환자는 비경구로 영양을 보충해야 한다.
이러한 섭취는 식욕을 억제할 수 있으며 조기 포만감을 야기할 수 있다.
식사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대상자의 회복을촉진하고 스스로 식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4시간마다 I/O를 모니터하고 양상을 확인하였다.
Total protein과 Albumin 수치를 사정하였다.
검사
정상
12/13
12/14
12/15
T.Protein
6.7~8.3
6.2
5.7
5.8
Albumin
3.8~5.3
3.1
2.8
2.9
3. 식전, 식후에 구강간호를 제공하였다.
4. 환자에게 비경구적 영양 지지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였고 동의하에 처방에 따라 비경구 영양섭취와 약물을 투여하였다.
⇒ 경구나 비경구로 영양을 섭취하지 않으면 면역이 더 떨어질 수 있음을 설명하여 동의를 구한 후 올리클리노멜 IV로 섭취
5. 자극적인 음식과, 카페인 함유 음료 섭취 제한을 설명하였다.
6.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균형잡인 영양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식사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평가(Evaluation)
-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오심, 구토, 식욕부진으로 인한 불편을 느끼지 않았다.
-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구강섭취를 하였다.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였다.
2. 항암제 부작용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Assessment)
S : “너무 지루해.. 기운도 없고.”
“의욕도 없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집에 가고싶어요”
O :
- 기운이 없어보임
- 우울감을 많이 호소하시고, 침상에 누워만 계심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3 질병과 관련된 우울감
간호목표(Nursing goals)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우울한 감정 없이 안녕을 취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스스로 우울한 감정에 대해 표현한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TV나 책, 음악 등 취미생활을 즐기는 모습을 보인다.
간호계획(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교육적 계획>
보호자가 대상자의 옆에 있어주며, 상태가 호전될 것을 격려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기분전환을 위해 커튼을 열어놓거나, TV를 시청하도록 격려한다.
3. 본인이 존중, 이해, 관심의 대상 임을 알도록 지지해준다.
병실에서 가능한 취미생활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상자가 자신의 기분과 상태에 대하여 직접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표현함으로써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킨다.
기분전환을 통해 우울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대상자의 정서적 지지에 해당된다.
대상자가 직접 마음상태를 표현함으로써 불안감과 우울을 해소할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가 정서적 지지가 될 수 있도록 보호자를 교육시켰다.
2. 기분전환을 위해 커튼을 열어놓거나, TV를 시청하도록 격려하였다.
3. 대상자 자신이 존중, 이해, 관심의 대상임을 알도록 지지하였다.
4. 지금 자신의 기분과 상태에 대해 표현 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5. 병실에서 가능한 취미생활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평가(Evaluation)
-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우울한 감정을 나타내지 않았다.
2. 대상자는 스스로 “기운이 좀 난다”는 등의 표현을 하였다.
3. 대상자가 음악을 듣고 계신 모습을 보이며 즐기는 모습을 보였다.
3. 질병과 관련된 우울감
Ⅲ. 참고문헌
- 김금순 외 공저 (2017년),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 김금순 외 공저 (2017년),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 서울대학교 암연구센터 정보위원회
- http://www.kmle.co.kr/ (KMLE의학검색엔진)
- http://www.cancer.go.kr/ (국가암정보센터)
- http://www.gunganghaseyo.com/(대한건강정보 검색결과)
- 드러그 인포 http://www.druginfo.co.kr/ (약물참고)
- 전시자 외 (1998), 성인간호학2, p982~984 현문사 서울
- MEG GULANICK 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P332~335 현문사, 서울
36.5
98
대상자에게 감염의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Assessment)
S : “입맛이 없는데 살이 더 빠질려나..”
“속이 울렁거려서 뭘 먹고 싶지도 않아요.”
O :
- nausea(+)
- 복통(+)
- 기운이 없고 누워있는 모습 관찰됨.
- 경구 복용약을 삼키는 것을 힘들어 하는 것이 관찰됨.
항암제(빈크리스틴파마케미주사, 독소루빈주사, 마테라주, 싸이크람주) 투여 중임.
진단검사 결과
검사
정상
12/13
12/14
T.Protein
6.7~8.3
6.2
5.2
Albumin
3.8~5.3
3.1
2.8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2 항암제 부작용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목표(Nursing goals)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음식 섭취를 통해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오심, 구토, 식욕부진으로 인한 불편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구강섭취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계획(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4시간마다 I/O를 모니터하고 양상을 확인한다.
2. total protein과 albumin 수치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식전, 식후에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5. 환자에게 비경구적 영양지지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하에 처방에 따라 비경구 영양섭취와 약물을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
6. 자극적인 음식과 카페인 함유 음료 섭취 제한을 설명한다.
7.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균형 잡힌 영양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식사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함으로써 현재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영양상태의 지표를 확인함으로써 영양상태 변화를 알 수 있다.
구강간호는 식욕촉진을 돕고 청결함을 유지시킨다.
구강으로 영양을 섭취할 수 없는 환자는 비경구로 영양을 보충해야 한다.
이러한 섭취는 식욕을 억제할 수 있으며 조기 포만감을 야기할 수 있다.
식사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대상자의 회복을촉진하고 스스로 식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4시간마다 I/O를 모니터하고 양상을 확인하였다.
Total protein과 Albumin 수치를 사정하였다.
검사
정상
12/13
12/14
12/15
T.Protein
6.7~8.3
6.2
5.7
5.8
Albumin
3.8~5.3
3.1
2.8
2.9
3. 식전, 식후에 구강간호를 제공하였다.
4. 환자에게 비경구적 영양 지지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였고 동의하에 처방에 따라 비경구 영양섭취와 약물을 투여하였다.
⇒ 경구나 비경구로 영양을 섭취하지 않으면 면역이 더 떨어질 수 있음을 설명하여 동의를 구한 후 올리클리노멜 IV로 섭취
5. 자극적인 음식과, 카페인 함유 음료 섭취 제한을 설명하였다.
6.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균형잡인 영양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식사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평가(Evaluation)
-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오심, 구토, 식욕부진으로 인한 불편을 느끼지 않았다.
-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구강섭취를 하였다.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였다.
2. 항암제 부작용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Assessment)
S : “너무 지루해.. 기운도 없고.”
“의욕도 없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집에 가고싶어요”
O :
- 기운이 없어보임
- 우울감을 많이 호소하시고, 침상에 누워만 계심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3 질병과 관련된 우울감
간호목표(Nursing goals)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우울한 감정 없이 안녕을 취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스스로 우울한 감정에 대해 표현한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TV나 책, 음악 등 취미생활을 즐기는 모습을 보인다.
간호계획(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교육적 계획>
보호자가 대상자의 옆에 있어주며, 상태가 호전될 것을 격려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기분전환을 위해 커튼을 열어놓거나, TV를 시청하도록 격려한다.
3. 본인이 존중, 이해, 관심의 대상 임을 알도록 지지해준다.
병실에서 가능한 취미생활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상자가 자신의 기분과 상태에 대하여 직접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표현함으로써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킨다.
기분전환을 통해 우울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대상자의 정서적 지지에 해당된다.
대상자가 직접 마음상태를 표현함으로써 불안감과 우울을 해소할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가 정서적 지지가 될 수 있도록 보호자를 교육시켰다.
2. 기분전환을 위해 커튼을 열어놓거나, TV를 시청하도록 격려하였다.
3. 대상자 자신이 존중, 이해, 관심의 대상임을 알도록 지지하였다.
4. 지금 자신의 기분과 상태에 대해 표현 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5. 병실에서 가능한 취미생활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평가(Evaluation)
-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우울한 감정을 나타내지 않았다.
2. 대상자는 스스로 “기운이 좀 난다”는 등의 표현을 하였다.
3. 대상자가 음악을 듣고 계신 모습을 보이며 즐기는 모습을 보였다.
3. 질병과 관련된 우울감
Ⅲ. 참고문헌
- 김금순 외 공저 (2017년),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 김금순 외 공저 (2017년),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 서울대학교 암연구센터 정보위원회
- http://www.kmle.co.kr/ (KMLE의학검색엔진)
- http://www.cancer.go.kr/ (국가암정보센터)
- http://www.gunganghaseyo.com/(대한건강정보 검색결과)
- 드러그 인포 http://www.druginfo.co.kr/ (약물참고)
- 전시자 외 (1998), 성인간호학2, p982~984 현문사 서울
- MEG GULANICK 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P332~335 현문사, 서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