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문헌고찰
-정의
-원인
-증상
-경과/합병증
-치료
-예방
Ⅱ. 대상자 간호사정 사례 보고서
Ⅲ.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정의
-원인
-증상
-경과/합병증
-치료
-예방
Ⅱ. 대상자 간호사정 사례 보고서
Ⅲ.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본문내용
반적으로 흔히 처방되어 사용되는 약물 중에 파킨슨 환자에 해로울 수 있는 약물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신경과 외의 다른 과에서 약을 처방 받는 경우 파킨슨 약을 복용중임을 밝혀야 하고, 다른 과 약 내용을 파킨슨 병을 치료하는 의사에게도 알려야 합니다.
중기 이후 단계의 파킨슨병 환자는 넘어지기 쉬우므로, 집 안이나 침실, 화장실 등 좁은 공간에서 종종걸음을 걷다가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 걸려 넘어지기 쉬운 물건들이나 넘어지면서 부딪혀 다칠 수 있는 가구 등은 환자가 주로 다니는 길목에서는 치우는 것이 좋습니다. 균형 장애가 있는 환자는 지팡이나 보행기 등의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넘어져 다쳐 골절상 등을 입어 수개월 이상 운동을 못하고 누워 있게 되면 그 동안 운동 기능이 더 떨어지므로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합니다.
<대상자 간호사정 사례 보고서>
1. 사례환자 기본정보
*이름/성별 : 김 O O / 남성 *나이 : 78 *학력 : 중졸
*입원일 : 2024.06.16. *질병 : 파킨슨병, 고혈압.
*신체의 전반적인 상태
기 형
없음
피부 상태
정상
보조 기구
지팡이
식 욕
보통
소화기 장애
없음
정서 상태
안정
대 변
1회 / 1일
순환기 장애
없음
의사 소통
원만함
소 변
5~6회 / 1일
호흡기 장애
없음
지남력
사람, 장소, 시간 모두 정상
수면 시간
6시간 / 1일
동공 크기
대칭
활동 상태
떨림
시력 장애
없음
의식 상태
명료
체중의 변화
없음
청력 장애
없음
2. 입원 및 치료 자료
*일반 혈액검사
검사종류
수치
정상 범위
WBC
7 K/uL
4-10K/uL
RBC
5 M/uL
4.5-6.3M/uL
Hb
14.8g/dL
14-18g/dL
Hct
39.3%
38-52%
MCV
87.3fL
77-91fL
MCH
30.3pg
26-32pg
MCHC
34.7g/dL
32-36g/dL
PLT
180K/uL
140-440K/uL
Pct
0.18%
0.15-0.35%
MPV
9.8fL
8-12.5fL
<간호과정 적용>
1. 주증상
: 떨림, 불안, 우울감, 근력 약화
2. 현병력
: 2년 전 파킨슨병 진단 받은 환자로 입원 하루 전 떨림과 근력 약화가 심해지고 걷다가 낙상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신경과 외래 진료 후 입원 치료 하기로 하며 입원함.
입원 당시 V/S : 140/80 72 37.0 20 확인함.
3. 간호진단
① 떨림 및 근력약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
사정
주관적 자료
“몸이 떨려서 못 움직이겠어요.” “넘어질까봐 걷는게 무서워요.”
객관적 자료
▶ 2년 전 파킨슨병 진단받음.
▶ 입원 하루 전 떨림 및 근력 약화로 인해 낙상함.
간호
진단
떨림 및 근력약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떨림이 줄고 근력이 향상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후 떨림과 근력 약화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한다.
간호 계획
① 치료제를 처방 받아 투약한다.
②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운동을 한다.
③ 균형 잡힌 식사를 한다.
이론적 근거
① : 파킨슨 치료제를 처방받아 투약함으로써 파킨슨병 증상을 완화한다.
② : 꾸준한 운동으로 근력을 강화한다.
③ : 균형잡힌 식사로 체력을 보충한다.
간호 수행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퍼킨정 및 파킨슨병 관련 약물을 투약하였다.
② 꾸준히 재활 및 물리치료를 진행하였다.
③ 단백질 위주로 균형 잡힌 식단을 받아 식사를 하였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파킨슨 치료제를 투약한 후 떨림 증상이 많이 호전되었고 근력도 강화되는 것을 느꼈다. 전에는 못했던 젓가락질도 스스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② 물리치료, 재활치료를 통해 근육을 강화하였으며 스스로 지팡이를 이용해 보행이 가능해졌다.
③ 균형잡힌 식사를 통해 체력과 근력 강화에 도움을 주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해 간호 계획에 따른 수행을 통해 대상자가 떨림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하며 3일 째 되는 날 스스로 보행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꾸준한 치료 덕에 일주일 후 혼자 지팡이를 짚고 걸어서 퇴원을 하였다.
② 우울감과 관련된 식욕부진
사정
주관적 자료
“몸이 힘드니까 밥도 먹기 싫어요.”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객관적 자료
▶ 2년 전 파킨슨 진단 받음.
▶ 식사량 밥 1/2도 채 먹지 못한 것을 확인함.
간호
진단
우울감과 관련된 식욕부진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식욕부진 증상이 완화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식사량이 밥 1공기를 충족한다.
간호 계획
① 파킨슨 치료제를 처방 받아 투약한다.
② 페리올리멜엔4이주를 주사하여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해준다.
③ 평소 좋아하는 음식을 제공해주어 식욕을 촉진시킨다.
이론적 근거
① : 약물을 통해 파킨슨 증상이 완화된다.
② : 페리올리멜엔4이주를 투여받아 식욕부진으로 인해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해줄 수 있다.
③ : 평소 좋아하는 음식을 제공받으면 식욕이 오를 수 있다.
간호 수행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퍼킨정 등 파킨슨 치료제를 투약하였다.
② 페리올리멜엔4이주를 하루 1팩씩 처방받아 투약하였다.
③ 평소 대상자가 즐겨먹던 음식(김밥, 호박죽 등)을 제공하였다. 추가로 균형잡힌 식사를 하실 수 있도록 제공해드렸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파킨슨 치료제를 투약한 후 떨림 증상이 많이 호전되었고 근력도 강화되는 것을 느꼈다. 전에는 못했던 젓가락질도 스스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② 페리올리멜엔4이주를 투약하여 부족했던 영양분을 보충해주어 대상자의 기력이 보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③ 평소 좋아하던 음식을 제공받은 대상자는 식사량을 늘려갈 수 있었고 일주일정도 후 밥 1공기 분량을 먹을 수 있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한 간호 제공을 통해 대상자가 3일 후 파킨슨 증상이 호전되면서 우울감도 덜하고 식욕도 조금 올랐다고 한다. 또한 좋아하던 음식을 제공받은 후 일주일정도 후에는 밥 1공기 정도의 양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대상자의 간호에 있어 주사, 약물 뿐 아니라 대상자의 평소 습관, 즐기던 음식 등으로도 주호소를 호전시킬 수 있음을 배울 수 있던 기회가 되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성인간호학 현문사
네이버 대백과사전
대한간호협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중기 이후 단계의 파킨슨병 환자는 넘어지기 쉬우므로, 집 안이나 침실, 화장실 등 좁은 공간에서 종종걸음을 걷다가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 걸려 넘어지기 쉬운 물건들이나 넘어지면서 부딪혀 다칠 수 있는 가구 등은 환자가 주로 다니는 길목에서는 치우는 것이 좋습니다. 균형 장애가 있는 환자는 지팡이나 보행기 등의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넘어져 다쳐 골절상 등을 입어 수개월 이상 운동을 못하고 누워 있게 되면 그 동안 운동 기능이 더 떨어지므로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합니다.
<대상자 간호사정 사례 보고서>
1. 사례환자 기본정보
*이름/성별 : 김 O O / 남성 *나이 : 78 *학력 : 중졸
*입원일 : 2024.06.16. *질병 : 파킨슨병, 고혈압.
*신체의 전반적인 상태
기 형
없음
피부 상태
정상
보조 기구
지팡이
식 욕
보통
소화기 장애
없음
정서 상태
안정
대 변
1회 / 1일
순환기 장애
없음
의사 소통
원만함
소 변
5~6회 / 1일
호흡기 장애
없음
지남력
사람, 장소, 시간 모두 정상
수면 시간
6시간 / 1일
동공 크기
대칭
활동 상태
떨림
시력 장애
없음
의식 상태
명료
체중의 변화
없음
청력 장애
없음
2. 입원 및 치료 자료
*일반 혈액검사
검사종류
수치
정상 범위
WBC
7 K/uL
4-10K/uL
RBC
5 M/uL
4.5-6.3M/uL
Hb
14.8g/dL
14-18g/dL
Hct
39.3%
38-52%
MCV
87.3fL
77-91fL
MCH
30.3pg
26-32pg
MCHC
34.7g/dL
32-36g/dL
PLT
180K/uL
140-440K/uL
Pct
0.18%
0.15-0.35%
MPV
9.8fL
8-12.5fL
<간호과정 적용>
1. 주증상
: 떨림, 불안, 우울감, 근력 약화
2. 현병력
: 2년 전 파킨슨병 진단 받은 환자로 입원 하루 전 떨림과 근력 약화가 심해지고 걷다가 낙상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신경과 외래 진료 후 입원 치료 하기로 하며 입원함.
입원 당시 V/S : 140/80 72 37.0 20 확인함.
3. 간호진단
① 떨림 및 근력약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
사정
주관적 자료
“몸이 떨려서 못 움직이겠어요.” “넘어질까봐 걷는게 무서워요.”
객관적 자료
▶ 2년 전 파킨슨병 진단받음.
▶ 입원 하루 전 떨림 및 근력 약화로 인해 낙상함.
간호
진단
떨림 및 근력약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떨림이 줄고 근력이 향상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후 떨림과 근력 약화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한다.
간호 계획
① 치료제를 처방 받아 투약한다.
②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운동을 한다.
③ 균형 잡힌 식사를 한다.
이론적 근거
① : 파킨슨 치료제를 처방받아 투약함으로써 파킨슨병 증상을 완화한다.
② : 꾸준한 운동으로 근력을 강화한다.
③ : 균형잡힌 식사로 체력을 보충한다.
간호 수행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퍼킨정 및 파킨슨병 관련 약물을 투약하였다.
② 꾸준히 재활 및 물리치료를 진행하였다.
③ 단백질 위주로 균형 잡힌 식단을 받아 식사를 하였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파킨슨 치료제를 투약한 후 떨림 증상이 많이 호전되었고 근력도 강화되는 것을 느꼈다. 전에는 못했던 젓가락질도 스스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② 물리치료, 재활치료를 통해 근육을 강화하였으며 스스로 지팡이를 이용해 보행이 가능해졌다.
③ 균형잡힌 식사를 통해 체력과 근력 강화에 도움을 주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해 간호 계획에 따른 수행을 통해 대상자가 떨림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하며 3일 째 되는 날 스스로 보행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꾸준한 치료 덕에 일주일 후 혼자 지팡이를 짚고 걸어서 퇴원을 하였다.
② 우울감과 관련된 식욕부진
사정
주관적 자료
“몸이 힘드니까 밥도 먹기 싫어요.”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객관적 자료
▶ 2년 전 파킨슨 진단 받음.
▶ 식사량 밥 1/2도 채 먹지 못한 것을 확인함.
간호
진단
우울감과 관련된 식욕부진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식욕부진 증상이 완화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식사량이 밥 1공기를 충족한다.
간호 계획
① 파킨슨 치료제를 처방 받아 투약한다.
② 페리올리멜엔4이주를 주사하여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해준다.
③ 평소 좋아하는 음식을 제공해주어 식욕을 촉진시킨다.
이론적 근거
① : 약물을 통해 파킨슨 증상이 완화된다.
② : 페리올리멜엔4이주를 투여받아 식욕부진으로 인해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해줄 수 있다.
③ : 평소 좋아하는 음식을 제공받으면 식욕이 오를 수 있다.
간호 수행
① 의사의 처방에 따라 퍼킨정 등 파킨슨 치료제를 투약하였다.
② 페리올리멜엔4이주를 하루 1팩씩 처방받아 투약하였다.
③ 평소 대상자가 즐겨먹던 음식(김밥, 호박죽 등)을 제공하였다. 추가로 균형잡힌 식사를 하실 수 있도록 제공해드렸다.
평가
및
재 계획
① 파킨슨 치료제를 투약한 후 떨림 증상이 많이 호전되었고 근력도 강화되는 것을 느꼈다. 전에는 못했던 젓가락질도 스스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② 페리올리멜엔4이주를 투약하여 부족했던 영양분을 보충해주어 대상자의 기력이 보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③ 평소 좋아하던 음식을 제공받은 대상자는 식사량을 늘려갈 수 있었고 일주일정도 후 밥 1공기 분량을 먹을 수 있었다.
★ 이번 진단에 대한 간호 제공을 통해 대상자가 3일 후 파킨슨 증상이 호전되면서 우울감도 덜하고 식욕도 조금 올랐다고 한다. 또한 좋아하던 음식을 제공받은 후 일주일정도 후에는 밥 1공기 정도의 양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대상자의 간호에 있어 주사, 약물 뿐 아니라 대상자의 평소 습관, 즐기던 음식 등으로도 주호소를 호전시킬 수 있음을 배울 수 있던 기회가 되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성인간호학 현문사
네이버 대백과사전
대한간호협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