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본의 정치개요
2. 일본의 전후 정치사
2. 일본의 전후 정치사
본문내용
정됨, 92.12.10 하타와 오자와는 다케시타파를 이탈,竹下派의 분열, 1993.3. 가네마루 체포, 종합건설회사(ゼネコン) 불법헌금사건 발각.
→ 1993.6 미야자와 수상의 선거제도개혁법안 廢案 → 당내개혁추진파의 반역, 내각불신임안 가결
→ 1993.6 자민당 다케시타파 자민당 일부의원 탈당,
1993.6 오자와 이치로 등이 新黨사키가케(さきがけ) 결성, 다케무라 등이 新生黨 결성.
→ 1993.7 총선거에서 자민당 223(전체 511)의석 차지(前回 275), 야당으로 전락.
細川護熙(ほそかわ もりひろ)1993.8.9∼94.4.28
→ 1993.8 신생당(66의석), 일본신당+사키가케(52), 사회당(77), 공명당(52), 민사당(19) 등이 新黨에 대한 일본 국민들의 기대를 업고 호소가와를 수상으로 하는 비자민연립정권(260의석) 세움. = 38년간의 55년 체제 붕괴.
→ 1994.1 소선거구비례대표병립제 성립
羽田孜(はた つとむ)1994.4.28∼94.6.30
村山富市(むらやま とみいち)1994.6.30∼96.1.11
→ 1994.6 自社さ연립정권 성립, 무라야마(村山富市)수상 탄생 (자민+사회+사키가케), 1948년 이래 46년만의 사회당 정권.
→ 1994.9.3 일본사회당 임시당대회 [政敵을 잃어버림으로 인해 새로운 아이덴디티의 확립이 요구되고 ......] 사회당의 정책전환 : 일미안보체제의 견지, 자위대의 合憲, 히노마루, 기미가요 용인.
→ 1994.12 新進黨 결성 (신생 + 공명 + 민사 + 일본신당)
→ 보수정치의 확대, 無黨派증가 (95년 7월 참의원선거 투표율 44.5%)
→ 버블 붕괴 (불량채권 9조엔)
→ 1995.1.17 고베 지진, 5500명 사망.
橋本龍太郞(はしもと りゅうたろう)1996.1.11∼98.7.30
→ 1996.9.28 민주당 결성 (사회민주당과 사키가케 의원의 일부가 합류함, 국회의원 57명)
→ 1996.10.20 소선거구비례대표병립제에 의한 처음 선거, 자민당 239(前回223), 신진당 156,
민주당 52, 공산당 26(前回15) 당선됨.
→ 1996.11 하시모토(橋本隆太郞)수상이 행정개혁회의를 설치
→ 1996.12 총선결과를 둘러싼 오자와 책임문제가 거론되었고 탈당자 속출, 12월 상순 152명으로 줄어듦.
1996.12. 16 하타 쯔토무羽田孜)도 新進黨 離黨하고, 1996.12 太陽黨 결성
→ 1997.6 호소가와 신진당 탈당, 97.12.27 신진당 解黨宣言→ 6개 정당으로 분열(자유당, 신당평화, 개혁클럽, 신당우애, 여명클럽, 국민의 소리)→ 1998.1 오자와는 자유당(중의원42명) 당수.
→ 1998. 4 4개 야당(民主, 民政, 新黨友愛, 民主改革連合)이 연합, 新「民主黨」결성, 당수에 菅直人, 간사장에 羽田孜.
小淵惠三(おぶち けいぞう)1998.7.30∼2000.9.10(?)
1999.1 자유당과 연립, 1999.10 自自公연립정권으로 이행
2000.7 오키나와 서밋트(주요국수뇌회담)
2000.9 국회해산, 중의원선거(?)
→ 1993.6 미야자와 수상의 선거제도개혁법안 廢案 → 당내개혁추진파의 반역, 내각불신임안 가결
→ 1993.6 자민당 다케시타파 자민당 일부의원 탈당,
1993.6 오자와 이치로 등이 新黨사키가케(さきがけ) 결성, 다케무라 등이 新生黨 결성.
→ 1993.7 총선거에서 자민당 223(전체 511)의석 차지(前回 275), 야당으로 전락.
細川護熙(ほそかわ もりひろ)1993.8.9∼94.4.28
→ 1993.8 신생당(66의석), 일본신당+사키가케(52), 사회당(77), 공명당(52), 민사당(19) 등이 新黨에 대한 일본 국민들의 기대를 업고 호소가와를 수상으로 하는 비자민연립정권(260의석) 세움. = 38년간의 55년 체제 붕괴.
→ 1994.1 소선거구비례대표병립제 성립
羽田孜(はた つとむ)1994.4.28∼94.6.30
村山富市(むらやま とみいち)1994.6.30∼96.1.11
→ 1994.6 自社さ연립정권 성립, 무라야마(村山富市)수상 탄생 (자민+사회+사키가케), 1948년 이래 46년만의 사회당 정권.
→ 1994.9.3 일본사회당 임시당대회 [政敵을 잃어버림으로 인해 새로운 아이덴디티의 확립이 요구되고 ......] 사회당의 정책전환 : 일미안보체제의 견지, 자위대의 合憲, 히노마루, 기미가요 용인.
→ 1994.12 新進黨 결성 (신생 + 공명 + 민사 + 일본신당)
→ 보수정치의 확대, 無黨派증가 (95년 7월 참의원선거 투표율 44.5%)
→ 버블 붕괴 (불량채권 9조엔)
→ 1995.1.17 고베 지진, 5500명 사망.
橋本龍太郞(はしもと りゅうたろう)1996.1.11∼98.7.30
→ 1996.9.28 민주당 결성 (사회민주당과 사키가케 의원의 일부가 합류함, 국회의원 57명)
→ 1996.10.20 소선거구비례대표병립제에 의한 처음 선거, 자민당 239(前回223), 신진당 156,
민주당 52, 공산당 26(前回15) 당선됨.
→ 1996.11 하시모토(橋本隆太郞)수상이 행정개혁회의를 설치
→ 1996.12 총선결과를 둘러싼 오자와 책임문제가 거론되었고 탈당자 속출, 12월 상순 152명으로 줄어듦.
1996.12. 16 하타 쯔토무羽田孜)도 新進黨 離黨하고, 1996.12 太陽黨 결성
→ 1997.6 호소가와 신진당 탈당, 97.12.27 신진당 解黨宣言→ 6개 정당으로 분열(자유당, 신당평화, 개혁클럽, 신당우애, 여명클럽, 국민의 소리)→ 1998.1 오자와는 자유당(중의원42명) 당수.
→ 1998. 4 4개 야당(民主, 民政, 新黨友愛, 民主改革連合)이 연합, 新「民主黨」결성, 당수에 菅直人, 간사장에 羽田孜.
小淵惠三(おぶち けいぞう)1998.7.30∼2000.9.10(?)
1999.1 자유당과 연립, 1999.10 自自公연립정권으로 이행
2000.7 오키나와 서밋트(주요국수뇌회담)
2000.9 국회해산, 중의원선거(?)
추천자료
동아시아 IT산업의 동향을 통해 살펴본 21세기 국제정치경제질서 (한국․중국&#...
19세기 서구 근대 국제정치질서전파와 일본의 동아시아 질서 재편전략
일본의 극우파와 정치적 영향력에 대하여
일본의 패전후 정치와 사회, 영토문제
일본 민주주의와 정치
고령화 현상의 심화가 장차 일본 정치에 미칠 영향
일본의 국제적 정치 지위와 대외정책
서평_한상일, 한정은, 『일본, 만화로 제국을 그리다 조선병탄과 시선의 정치』.
[서평]일본 전후정치사를 읽고
동일본 대지진 이후 가속하된, 일본의 정치 리더십 부재
[한일 정치 비교] 한국과 일본 간의 정치체제 비교
[경제학]한국과 일본의 정치 & 경제 비교
잊지 말아야 할 일본의 역사왜곡과 현실 - 현대 사회에서의 일본의 대외 정치적 만행과 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