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 본론
3. 결론 및 나의 생각
4. 참고 문헌
2. 본론
3. 결론 및 나의 생각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티어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회유형인 나의 문제점과 대처 방안을 함께 점검해 보았다. 어린 시절 억압적이고 권위적인 부모님 밑에서 성장하면서 자존감이 낮아졌다. 그래서 상대방에게 나의 감정을 논리 있게 말로 표현하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 어려웠던 것 같다. 어떤 상황에서든 회색형 인간이 되거나 상대방을 배려하는 태도를 보여 왔는데 이것이 내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관계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회유형 대화 방식은 이타적인게 아니라 스스로를 억압하고, 타인과 오해나 갈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으며 소극적인 태도로 보여 다른 사람들과 건강하고 진실한 관계 형성이 힘들다. 앞으로는 무조건 이타적인 태도가 아닌 가족과 지인에게 정확한 내 감정, 의견 전달하도록 노력해야겠다. 예를 들면 나 전달 대화법인 ‘나는~’ 시작하는 방법으로 주어 ‘나’를 써서 내 의견을 솔직하게 말할 생각이다. 또한 가족처럼 가까운 사이 일수록 갈등도 쉽게 생긴다. 갈등이 생겼을 땐 내가 감정적으로 대응하고 격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화장실을 가거나 물 마시는 방법 등으로 그 자리를 떠난다. 시간적 여유를 두고 감정을 가라앉히면서 상황을 직시하고 이성적으로 대화하면 건강한 가족 관계 유지, 성장에 도움 될 것이다.
Ⅳ 참고문헌
강문회 외(2018).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서울:신정
김보기 외(2020). 상담이론과 실제. 서울:하나의학사
정문자 (2003).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학지사
박은초(2005). 사티어의 성장 의사소통 이론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Ⅳ 참고문헌
강문회 외(2018).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서울:신정
김보기 외(2020). 상담이론과 실제. 서울:하나의학사
정문자 (2003).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학지사
박은초(2005). 사티어의 성장 의사소통 이론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