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 모공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째는 군대의 권능을 알지 못하면서 지휘에 간섭하면(군주가 군사에 간섭하면) 내부에 의혹만 일으키게 된다. 군대가 이미 혼란과 의혹에 휩싸이게 되면 곧 제후의 침략을 받는다. 이것은 군사를 어지럽게 하여 적군에게 승리를 안겨주는 행위일 뿐이다.
故知勝有五: 知可以戰, 與不可以戰者勝, 識衆寡之用
) 衆寡之用 : 자기편 군사의 형편(많고 적음)에 따라 펴는 전략과 전술.
者勝, 上下同欲
) 同欲 : 사병과 같이 먹고 자며, 똑같은 대우를 받는 것.
者勝, 以虞
) 虞 : 대비태세를 갖춤, 적에 대한 경계에 빈틈이 없음.
待不虞者勝, 將能而君不御
) 不御 : 견제하지 않음, 제어하지 않음, 간섭하지 않음.
者勝. 此五者, 知勝之道也.
따라서 승리를 예측하는 다섯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싸울만하다 아니겠다를 아는 사람은 이길 수 있다. 둘째는 군사의 많고 적음의 쓰임을 아는 사람(군사의 형편에 따라 작전을 펴는 사람)은 이길 수 있다. 셋째는 임금과 백성들의 뜻하는 바가 같으면 이길 수 있다. 넷째는 미리 대비함으로써 대비하지 않는 사람과 대결하여 이길 수 있다. 섯째는 장수가 유능하고 군주가 간섭하지 않으면 이길 수 있다. 이 다섯 가지는 곧 승리를 미리 아는 길이다.
故曰: 知彼知己, 百戰不殆
) 不殆 : 위태롭지 않게 된다.
; 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 不知彼不知己, 每戰必殆.
그러므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운다 하더라도 위태롭지 않다. 적을 알지 못 하고 나만을 알면 한 번은 이기고 한 번은 지게 된다. 그러나 적을 알지도 못 하고 나도 알지 못하면 싸울 때마다 반드시 지게 된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1.06.15
  • 저작시기20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7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