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입자의 비중시험(KS F2308)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668.6-170.0=498.6
(4)
{ Gt} over {Gt' } *(Wa'-Wf)g
가 : 499*0.999049=498.522
나 : 498.5*0.999022=498.012
다 : 498.6*0.998938=498.074
(5) T℃일 때의
Wa=②+Wf
가 618.525, 나 662.612, 다 668.074
(6) T℃일 때의 비중
가 :
{ 50} over {50+(681.525-712.5) }=2.628
나 :
{ 50} over {50+(662.612-693.7) }=2.643
다 :
{ 50} over {50+(668.074-699.2) }=2.649
(7) 보정계수 K : 21℃일 때, K=0.9989
21.5℃ 일 때, K=0.9988
(8)15℃일 때 비중 (T°C/15°C)=K*비중(T′°C/T°C)
가 2.628*0.9989=2.625
나 2.643*0.9988=2.640
다 2.649*0.9988=2.646
(9) 비중평균
Gs= { 2.625+2.640+2.646} over {3 }=2.637
결 론
6. 분석 및 고찰
이번실험을 통해 "흙입자의 비중"이 흙의 기본적인 성질인 간극비와 포화도를 구하는데 필요하며 기타 흙의 구성광물이나 견고한 정도를 판정하는데 이용된다는 것을 알았다.
처음에 하면 누구나 다 그럴 수도 있겠으나 이번 실험에서 실험에 대한 잘못된 지식으로 많은 오차가 생기리라 생각했는데 보통 흙입자의 비중(2.60~2.90)에서 벗어나지 않은 값이 나와 만족한다. 비중병에 시료와 물을 넣고 기포를 빼는 과정에서 기포 제거후 물을 부어 비중병 밖으로 물을 월류시키는 오류를 범했는데 조교형의 설명으로 잘못된 지식을 바로 잡은 것도 이번 실험에서 얻은 수확이랄 수 있겠다. 어떤 실험이던지 오차를 낼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흙입자의 비중시험에서는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차의 원인이 많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는데 비중병을 완전 건조시키고, 견출지를 붙힌 후에 무게를 달아야 함은 물론이고 비중병의 눈금을 읽는 방법도 잘 알아두어야 할 것이다.
토질실험이 실제 시공 현장에서도 많이 접할 수 있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는데 이번 4조가 한 실험은 시공 현장 흙의 다짐공사에 있어서 어느정도의 다짐을 실시해야 하는지를 측정해주는 실험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한 실험한 시료와 같은 지반의 다짐을 실시한다면 이러한 지반의 성토시 성토하중에 의해서 간극수가 배수되면서 침하가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다짐에 있어 함수비의 정도에 따라 다짐의 양 및 다짐기계의 종류, 다짐횟수등을 판단하여 적절하게 시공을 하여야 한다.
7. 참 고 문 헌
▶ 토질실험법(실내 및 현장 실험법과 그 결과의 이용법), 임병조·김영수 共譯, 형설출판사, 1994. p. 37∼44.
▶ 토질 실험, 이상덕, 새론 출판사, p. 70∼78.
▶ 황 근, 토목시공학 1985.
▶ 토질역학 (Principle od geotechnical engineering), Braja M. Das 저, 신은철 역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1.06.24
  • 저작시기20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