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소성한계시험(KS F2304)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sub c = { w sub L -w} over I sub p
Ic 1 일 때는 SS자연함수비가 소성한계와 같거나 그보다 적을 때로서 비교적 안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Ic = 1 일 때는 자연함수비가 액성한계에 가까운 것으로 이같은 흙을 교란시키면 액상으로 되어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게 된다.
(5) 액성지수(Liquidity Index), IL
rm I sub L = { w - w sub p } over I sub p
(6) 활성도(Activity), A
rm A~=~ { { I}_{P} } over {2 mu 이하~ 점토함유율 }
활성도는 점토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므로 표준활성도로부터 점토광물을 추정할 수 있다.
소 성 지 수
Ip<0.75
0.75 1.25 흙의 활성도
비활성토
보통의 흙
활성토
(7) 압밀에 따른 점토의 강도 증가율
압밀의 진행에 따른 점토의 강도증가를 소성지수로부터 구할 수 있다(Skempton).
rm { {C }_{u } } over {P }~=~0.11+0.0037 { I}_{p }
(Skempton, 1948)
여기서, Cu : 점토의 비배수 전단강도
P : 압밀 유효응력
(8) 도로노반 재료의 선택
소성지수는 큰 강성도가 요구되는 도로의 노반재료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멘트나 역청으로 안정처리한 흙의 노반에 사용되는 골재의 적부판정 기준으로 소성지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노 반 종 류
허용 소성지수
상 층 노 반
하 층 노 반
시멘트나 역청안정처리토의 노반
Ip<4
Ip<6
Ip<6
결 론
6. 분석 및 고찰
액성한계 시험과 마찬가지로 시험에 참여하는 사람이 얼마만큼 객관적으로 시험을 일관성 있고 정확하게 했느냐가 결과에 많은 영향을 주는 시험이다. 그리고 또한 수분의 공급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시험이다.
앞서 얘기했듯이 소성한계란 흙덩어리를 손으로 밀어 직경 3mm의 국수모양으로 만들어 부슬부슬해질 때의 함수비를 얘기한다. 또한 반고체와 소성체와의 경계함수비를 얘기하는 것으로 반고체 상태에서의 취성에 가까운 파괴와 전단력이 작용하면 변형되지 않고 부스러지는 것을 기반으로 소성한계를 파악하고 있다.
액성한계 시험과 소성한계 시험을 나눠서 하고 처음으로 써본다는 시료를 가지고 시험을 하면서, 전조에서 인계인수를 받은 것과는 많이 다른 것 같았고, 개인적으로는 액성한계 시험에 참여를 해서 소성한계 시험에는 많이 소홀했는데, 기회가 된다면 소성한계 시험을 해보고 싶다. 그리고 새로운 시료로 시험을 한 4조의 데이터와 그 이전에 시험을 했던 조(고령토를 사용)와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도 새로운 시료를 사용한 보람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7. 참 고 문 헌
▶ 토질실험법(실내 및 현장 실험법과 그 결과의 이용법), 임병조·김영수 共譯, 형설출판사, 1999
▶ 토질시험, 이상덕, 도서출판 새론, p. 107∼111.
▶ 토질역학 (Principle od geotechnical engineering), Braja M. Das 저, 신은철 역
8. 별 지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1.06.24
  • 저작시기20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