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감독관직
2.감독관직 창설문제
3.선거
4.감독관직의 몰락 : 파트로노모이(patronomoi)
<참고 문헌>
2.감독관직 창설문제
3.선거
4.감독관직의 몰락 : 파트로노모이(patronomoi)
<참고 문헌>
본문내용
회의 권한을 박탈하여 파트로노모이가 그 자리를 대신하도록 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장로회가 완전히 해체되었을까? 그 뒤 사료를 보면 그것은 분명히 아니다. 확실히 클레오메네스는 장로회와 감독관단을 모두 없애고 싶었지만, 폐지하지 못하고, 파트로노모이와 자리만 바꾸었을 것이다. 또 수석 파트로노모스의 이름을 따서 한 해의 이름을 붙였다. 비록 파우사니아스는 수석감독관의 이름을 따서 붙인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 말은 별로 믿을 수가 없다. 正파트로노모이와 함께 6명의 副파트로노모이가 있었다. 이들 부파트로노미이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대리 역할을 했던 듯 하고 대리시에는 정파트로노모이와 같은 권한을 가졌을 것이다. 이들에게는 그라마테우스라 불리는 서기와 휘페레타스라 불리는 관리가 배속되어 있었다. 휘페레타스는 아마 이들의 호위대를 지휘하고, 경찰국장으로서의 역할을 했을 것이다. 역시 확실치는 않지만, 파트로노모이의 임기는 일년 이상이었을 것이다.
<참고 문헌>
『스파르타』, 험프리 미첼 지음, 윤 진 옮김, 2000 신서원
『서양고대사 강의』 김진경외 지음 1996, 한울
『고대 그리스사』앤토니 앤드류스 지음, 김경현 옮김, 1991
<참고 문헌>
『스파르타』, 험프리 미첼 지음, 윤 진 옮김, 2000 신서원
『서양고대사 강의』 김진경외 지음 1996, 한울
『고대 그리스사』앤토니 앤드류스 지음, 김경현 옮김,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