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관상동맥 심장병(협심증. 심근경색)이란 어떤 병일까?
A.관상동맥 심장병 (협심증, 심근경색)의 경로
B.전형적 증상
C. 고지혈증
2>심근경색증
1. 심근경색증이란...
2. 종류
3. 심근경색증의 원인
4. 심근경색증의 증세
5. 심근경색의 진단
6. 심근경색증의 예후
7. 심근경색증의 치료
3>만성울혈성심부전증-우심부전증
1. 원인
2. 진단
4>만성울혈성심부전증-좌심부전증
1. 원인
2. 증세
A.관상동맥 심장병 (협심증, 심근경색)의 경로
B.전형적 증상
C. 고지혈증
2>심근경색증
1. 심근경색증이란...
2. 종류
3. 심근경색증의 원인
4. 심근경색증의 증세
5. 심근경색의 진단
6. 심근경색증의 예후
7. 심근경색증의 치료
3>만성울혈성심부전증-우심부전증
1. 원인
2. 진단
4>만성울혈성심부전증-좌심부전증
1. 원인
2. 증세
본문내용
사용하는 수도 있다.
심장성 천식이라는 말은 환자가 숨을 쉴 때 씩씩 하는 소리가 나며, 또한 기관지천식과 비슷하기 때무에 발작성 호흡 곤란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호흡은 규칙적인 수가 많고 또한 모르핀 주사를 맞으면 극적으로 소실되고 다음 날에는 언제 아무일도 없었던것같이 멀쩡한 것이 특징이지만, 때로는 급성 폐수종을 병발하여 사망하는 수가 있다.
d.급성폐수종
- 심장성 천식의 발작과 때를 같이 해서 오는 수가 많으나, 한번도 호흡 곤란을 느낀 일이 없는 환자에 있어서 발생하는 수가 있다.
e.유발요인
- 심장천식을 오게 하는 원인 질환, 즉 관상동맥 질환, 특히 폐색, 대동맥, 판막 질환, 승모판 협착, 고혈압 등이 있을 때 임신이나 분만에 의해서 심한 신체적 운동을 하거나, 성교시 심장급박증이 발생할 때 또는 호흡기의 감염등으로 유발된다.
f.임상 증세
- 심한 호흡 곤란, 기좌 호흡, 해소, 심한 불안을 특징으로 한다.
호흡은 숨쉴 때 걸그렁거리기 때문에 대단히 소란스럽고 객담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심하면 입은 물론이고 코에서까지 물 같음 분비물이 흐르며, 이 객담에는 거품이 많고 혈액이 섞여 핑크색인 수가 많다.
발작은 수분, 수시간 내에 자연히 소실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모르핀 주사를 맞거나 의자에 일어나 앉거나, 또는 팔다리에 압박대를 사용하거나 사혈로 극적으로 소실되는 수가 많다. 대개 일시적인 발작 후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보통이지만 처음 또는다음 발작시에 사망하는 일도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g.체인스토크스 호흡
- 체인스토크스 호흡은 심부전에 특유한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뇌질환이 있을 때 일어난다. 고혈압이나 뇌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좌심부전이 있는 환자에게 아편제제나 대량의 진정제를 투여하였을 때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특징은 아주 호흡이 없거나 들릴락말락한 호흡이 점차 깊어 지고 거칠어지다가 다시 약해셔서 아주 모를 정도로 약해지거나 또는 10 - 30초 가량의 무호흡 상태가 되는 것이 되풀이 된다.
h.해수와 객담
- 좌심부전에서 해수와 객담은 가장 먼저, 가장 현저하게 또는 유일한 증세로 나타나는 수가 있다.
해수는 심장천식이나 폐수종에서는 반드시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
해수는 객담이 수반되는 것이 보통이며, 심장천식, 폐수종에서는 혈액의 혼합으로 핑크색이 되는 일이 많고, 승모판협착에 의한 심부전의 객담은 심부전 세포로 인하여 갈색으로 보이는 수가 많다.
i.객혈과 혈성담
- 승모판협착, 폐수종에서 볼 수 있고, 기타 폐경색이 발생하여도 혈성담이 나온다.
j.치아노오제
- 없는 것이 보통이나 급성 폐수종, 기관지폐염, 폐전색, 만성 폐질환이 있으면 나타난다. 이런 질병이 없이 치아노오제가 있으면 선천성 심질환이 아닌가 생각하여야 한다.
3. 진단
좌심부전의 원인이 되는 질병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 폐울혈 증세가 있으면 진단이 가능하다. X선 촬영으로 심장의 확대와 폐문리의 증강이 있으면 도움이 되고 심장초음파로 직접 좌심의 기능을 측정할수 있다.
심장성 천식이라는 말은 환자가 숨을 쉴 때 씩씩 하는 소리가 나며, 또한 기관지천식과 비슷하기 때무에 발작성 호흡 곤란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호흡은 규칙적인 수가 많고 또한 모르핀 주사를 맞으면 극적으로 소실되고 다음 날에는 언제 아무일도 없었던것같이 멀쩡한 것이 특징이지만, 때로는 급성 폐수종을 병발하여 사망하는 수가 있다.
d.급성폐수종
- 심장성 천식의 발작과 때를 같이 해서 오는 수가 많으나, 한번도 호흡 곤란을 느낀 일이 없는 환자에 있어서 발생하는 수가 있다.
e.유발요인
- 심장천식을 오게 하는 원인 질환, 즉 관상동맥 질환, 특히 폐색, 대동맥, 판막 질환, 승모판 협착, 고혈압 등이 있을 때 임신이나 분만에 의해서 심한 신체적 운동을 하거나, 성교시 심장급박증이 발생할 때 또는 호흡기의 감염등으로 유발된다.
f.임상 증세
- 심한 호흡 곤란, 기좌 호흡, 해소, 심한 불안을 특징으로 한다.
호흡은 숨쉴 때 걸그렁거리기 때문에 대단히 소란스럽고 객담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심하면 입은 물론이고 코에서까지 물 같음 분비물이 흐르며, 이 객담에는 거품이 많고 혈액이 섞여 핑크색인 수가 많다.
발작은 수분, 수시간 내에 자연히 소실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모르핀 주사를 맞거나 의자에 일어나 앉거나, 또는 팔다리에 압박대를 사용하거나 사혈로 극적으로 소실되는 수가 많다. 대개 일시적인 발작 후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보통이지만 처음 또는다음 발작시에 사망하는 일도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g.체인스토크스 호흡
- 체인스토크스 호흡은 심부전에 특유한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뇌질환이 있을 때 일어난다. 고혈압이나 뇌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좌심부전이 있는 환자에게 아편제제나 대량의 진정제를 투여하였을 때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특징은 아주 호흡이 없거나 들릴락말락한 호흡이 점차 깊어 지고 거칠어지다가 다시 약해셔서 아주 모를 정도로 약해지거나 또는 10 - 30초 가량의 무호흡 상태가 되는 것이 되풀이 된다.
h.해수와 객담
- 좌심부전에서 해수와 객담은 가장 먼저, 가장 현저하게 또는 유일한 증세로 나타나는 수가 있다.
해수는 심장천식이나 폐수종에서는 반드시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
해수는 객담이 수반되는 것이 보통이며, 심장천식, 폐수종에서는 혈액의 혼합으로 핑크색이 되는 일이 많고, 승모판협착에 의한 심부전의 객담은 심부전 세포로 인하여 갈색으로 보이는 수가 많다.
i.객혈과 혈성담
- 승모판협착, 폐수종에서 볼 수 있고, 기타 폐경색이 발생하여도 혈성담이 나온다.
j.치아노오제
- 없는 것이 보통이나 급성 폐수종, 기관지폐염, 폐전색, 만성 폐질환이 있으면 나타난다. 이런 질병이 없이 치아노오제가 있으면 선천성 심질환이 아닌가 생각하여야 한다.
3. 진단
좌심부전의 원인이 되는 질병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 폐울혈 증세가 있으면 진단이 가능하다. X선 촬영으로 심장의 확대와 폐문리의 증강이 있으면 도움이 되고 심장초음파로 직접 좌심의 기능을 측정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