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序 言

II. 儒家발생과 漢王朝代 이후의 儒家의 변질

III. 개혁가로서의 孔子

IV. 다른 학파와 儒家의 대비

V. 유교와 서구 민주주의

VI. 結 語

본문내용

사후 발전한 孔子의 설화와 해석이 왜곡되었음을 비
판하였다. 그 결과 그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즉, 孔子는 합리적인 이성을 신뢰하였
고 인간의 평등 및 협동사회의 이념을 제시함으로써 그 당시의 참담한 현실을 구제하려고 하였던 개혀
가였으며, 그 사상의 기본원리는 오늘날 민주주의 원리와 상통한다는 것, 비록 孔子의 사상을 漢代
이후 크게 변질, 곡해되었지만 전제정치 아래서도 일정한 기능을 하였으며, 바로 이러한 요소가 서구 민
주주의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본인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孔子에 대한 지식이 옳은지, creel의 견해가 옳은지에 대해 결론을 내리는
것만큼 섣부르고 위험스러운 일은 없을 것이다.
다만, 개혁가 민주주의자로서의 孔子를 서술하려는 저자는 근본취지는 좋았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근
거들이 다소 억지 비슷한 것은 아쉽지 않을 수 없다.
孔子의 儒 집단에 대한 교육이 정치의 개혁을 위한 발판이었다는 것, 서구의 민주주의, 특히 제퍼슨의
교육 개혁안이 중국의 과거제도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 등, 본인이 느끼기에 논리적 증명에 의한 결론이
라기 보다 '비약'을 통한 '추측'의 결론처럼 보이는 것이 그것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1.07.06
  • 저작시기20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