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목차
차 례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 가설 4
4.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운동 참가 효과 7
2. 운동참가 효과의 메커니즘 14
3. 운동과 정서 20
4. 운동 참가와 정서에 대한 이론 26
Ⅲ. 연구 방법 34
1. 피험자 34
2. 측정 도구 34
3. 실험절차 35
4. 실험설계 36
5. 자료분석 36
Ⅳ. 연구 결과 37
1. 운동 자기-효능감과 운동 참가 시점별 정서 변화 37
2. 집단 할당 점검 40
3. 운동 자기효능감과 운동 참가 시점에 따른 정서 변화 41
Ⅴ. 논의 47
Ⅵ. 결 론 52
참 고 문 헌 53
부 록 1. 무드상태검사지(POMS) 57
부 록 2. 운동 자기-효능감 질문지 58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 가설 4
4.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운동 참가 효과 7
2. 운동참가 효과의 메커니즘 14
3. 운동과 정서 20
4. 운동 참가와 정서에 대한 이론 26
Ⅲ. 연구 방법 34
1. 피험자 34
2. 측정 도구 34
3. 실험절차 35
4. 실험설계 36
5. 자료분석 36
Ⅳ. 연구 결과 37
1. 운동 자기-효능감과 운동 참가 시점별 정서 변화 37
2. 집단 할당 점검 40
3. 운동 자기효능감과 운동 참가 시점에 따른 정서 변화 41
Ⅴ. 논의 47
Ⅵ. 결 론 52
참 고 문 헌 53
부 록 1. 무드상태검사지(POMS) 57
부 록 2. 운동 자기-효능감 질문지 58
본문내용
1 2 3 4
39. 씁씁한 0 1 2 3 4
40. 탈진한 0 1 2 3 4
41. 불안한 0 1 2 3 4
42. 싸우고 싶은 0 1 2 3 4
43. 온화한 0 1 2 3 4
44. 침울한 0 1 2 3 4
45. 절망적인 0 1 2 3 4
46. 나태한 0 1 2 3 4
47. 반항적인 0 1 2 3 4
48. 곤경에 빠진 0 1 2 3 4
49. 싫증난 0 1 2 3 4
50. 당혹스러운 0 1 2 3 4
51. 민첩한 0 1 2 3 4
52. 기만당한 0 1 2 3 4
53. 격분한 0 1 2 3 4
54. 능률적인 0 1 2 3 4
55. 신뢰하는 0 1 2 3 4
56. 원기왕성 0 1 2 3 4
57. 기분이 언짢은 0 1 2 3 4
58. 가치없는 0 1 2 3 4
59. 망각하기쉬운 0 1 2 3 4
60. 태평스러운 0 1 2 3 4
61. 두려운 0 1 2 3 4
62. 죄를 범한 0 1 2 3 4
63. 힘이 솟는 0 1 2 3 4
64. 불확실한 0 1 2 3 4
65. 맥이빠진 0 1 2 3 4
부 록 2. 운동 자기-효능감 질문지
Exercise Self-Efficacy Scale
■ 2학년 반 번 성 명 :
다음은 30분간 교정 달리기 운동에 참가하기 직전에 여러분들이 30분간 교정 달리기에 대하여 갖는 자신감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입니다. 다음 문항을 읽고 해당되는 점수에 ○표하여 주십시오.
전혀 보통이다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다
1. 나는 운동하기에 훌륭한 뭄을 가지고 있다. 1 2 3 4 5 6 7
2. 나는 모든 운동을 쉽게 배울 수 있다. 1 2 3 4 5 6 7
3. 나는 좋은 폼으로 운동을 한다. 1 2 3 4 5 6 7
4. 나는 모든 운동에서 뛰어나 기술을 가지고 있다. 1 2 3 4 5 6 7
5. 나는 쉬지않고 오래 운동할 수 있다. 1 2 3 4 5 6 7
6. 나는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다. 1 2 3 4 5 6 7
7. 나는 운동할 때 운동환경에 잘 적응한다. 1 2 3 4 5 6 7
8. 나는 운동할 때 신체적 결함을 느끼지 않는다. 1 2 3 4 5 6 7 9. 나는 체격이 큰 사람과 부담없이 만날 수 있다. 1 2 3 4 5 6 7
10. 나는 웃음소리에 자신이 있다. 1 2 3 4 5 6 7
11. 나는 이성과 자신있게 만날 수 있다. 1 2 3 4 5 6 7
12. 나는 다른 사람보다 운동검사 점수가 높다. 1 2 3 4 5 6 7
13. 나는 근력이 강하다. 1 2 3 4 5 6 7
14. 나는 순발력이 좋다. 1 2 3 4 5 6 7
15. 나는 운동을 하면서 균형을 잘 유지한다. 1 2 3 4 5 6 7
16. 나는 집단속에서 편안하게 행동한다. 1 2 3 4 5 6 7
ABSTRACT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Change of Emotion
Choi, Yong-Joo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on change of emotion as a function of exercise self-efficac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at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as a function of exercise self-efficacy had a effect on the tension/anxiety, depression/dejection, anger/hostility, vigor/activity, fatigue /inertia, and confusion/bewilderment of subdimensions in mood state. The Subjects were 99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y were intentionally assigned to 3 groups: 33 involved in control group, 33 involved in high self-efficacy group and 33 involved in low self-efficacy group through evaluation of exercise self-efficacy scores. They completed the POMS(McNair, Lorr, & Droppleman, 1971, 1992) with four times; 1 hour and 10 minutes pre-exercise, 10 minutes and 1 hours post- exercise. They administered inventory according to experimental treatment and response order. ANOVA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1. The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changed mood state as constructing iceberg profile.
2. The exercise self-efficacy as a function of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had mediating effect. That is, high efficacious femail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positive enhancing mood state contrast to low efficacious students.
3. The enhancing mood state by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last till 1 hour post-exercise.
Key words: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mood state, exercise self-efficacy.
39. 씁씁한 0 1 2 3 4
40. 탈진한 0 1 2 3 4
41. 불안한 0 1 2 3 4
42. 싸우고 싶은 0 1 2 3 4
43. 온화한 0 1 2 3 4
44. 침울한 0 1 2 3 4
45. 절망적인 0 1 2 3 4
46. 나태한 0 1 2 3 4
47. 반항적인 0 1 2 3 4
48. 곤경에 빠진 0 1 2 3 4
49. 싫증난 0 1 2 3 4
50. 당혹스러운 0 1 2 3 4
51. 민첩한 0 1 2 3 4
52. 기만당한 0 1 2 3 4
53. 격분한 0 1 2 3 4
54. 능률적인 0 1 2 3 4
55. 신뢰하는 0 1 2 3 4
56. 원기왕성 0 1 2 3 4
57. 기분이 언짢은 0 1 2 3 4
58. 가치없는 0 1 2 3 4
59. 망각하기쉬운 0 1 2 3 4
60. 태평스러운 0 1 2 3 4
61. 두려운 0 1 2 3 4
62. 죄를 범한 0 1 2 3 4
63. 힘이 솟는 0 1 2 3 4
64. 불확실한 0 1 2 3 4
65. 맥이빠진 0 1 2 3 4
부 록 2. 운동 자기-효능감 질문지
Exercise Self-Efficacy Scale
■ 2학년 반 번 성 명 :
다음은 30분간 교정 달리기 운동에 참가하기 직전에 여러분들이 30분간 교정 달리기에 대하여 갖는 자신감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입니다. 다음 문항을 읽고 해당되는 점수에 ○표하여 주십시오.
전혀 보통이다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다
1. 나는 운동하기에 훌륭한 뭄을 가지고 있다. 1 2 3 4 5 6 7
2. 나는 모든 운동을 쉽게 배울 수 있다. 1 2 3 4 5 6 7
3. 나는 좋은 폼으로 운동을 한다. 1 2 3 4 5 6 7
4. 나는 모든 운동에서 뛰어나 기술을 가지고 있다. 1 2 3 4 5 6 7
5. 나는 쉬지않고 오래 운동할 수 있다. 1 2 3 4 5 6 7
6. 나는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다. 1 2 3 4 5 6 7
7. 나는 운동할 때 운동환경에 잘 적응한다. 1 2 3 4 5 6 7
8. 나는 운동할 때 신체적 결함을 느끼지 않는다. 1 2 3 4 5 6 7 9. 나는 체격이 큰 사람과 부담없이 만날 수 있다. 1 2 3 4 5 6 7
10. 나는 웃음소리에 자신이 있다. 1 2 3 4 5 6 7
11. 나는 이성과 자신있게 만날 수 있다. 1 2 3 4 5 6 7
12. 나는 다른 사람보다 운동검사 점수가 높다. 1 2 3 4 5 6 7
13. 나는 근력이 강하다. 1 2 3 4 5 6 7
14. 나는 순발력이 좋다. 1 2 3 4 5 6 7
15. 나는 운동을 하면서 균형을 잘 유지한다. 1 2 3 4 5 6 7
16. 나는 집단속에서 편안하게 행동한다. 1 2 3 4 5 6 7
ABSTRACT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Change of Emotion
Choi, Yong-Joo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on change of emotion as a function of exercise self-efficac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at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as a function of exercise self-efficacy had a effect on the tension/anxiety, depression/dejection, anger/hostility, vigor/activity, fatigue /inertia, and confusion/bewilderment of subdimensions in mood state. The Subjects were 99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y were intentionally assigned to 3 groups: 33 involved in control group, 33 involved in high self-efficacy group and 33 involved in low self-efficacy group through evaluation of exercise self-efficacy scores. They completed the POMS(McNair, Lorr, & Droppleman, 1971, 1992) with four times; 1 hour and 10 minutes pre-exercise, 10 minutes and 1 hours post- exercise. They administered inventory according to experimental treatment and response order. ANOVA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1. The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changed mood state as constructing iceberg profile.
2. The exercise self-efficacy as a function of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had mediating effect. That is, high efficacious femail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positive enhancing mood state contrast to low efficacious students.
3. The enhancing mood state by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last till 1 hour post-exercise.
Key words: acute exercise participation, mood state, exercise self-efficacy.
추천자료
운동과 식.생활습관이 체중감량과 우울증감소에 미치는 영향 연구
운동이 필요한 생리학적 이유
운동계획
68운동에 대한 조사자료
[여성]고려시대 여성의 지위, 고려시대 여성의 지위변화, 조선시대 여성의 현실, 조선시대 여...
[비정규직]비정규직노동(비정규고용)의 유형, 비정규직노동(비정규고용)의 규모, 비정규직노...
[건강][현대인 건강위험요소][현대인 건강과 식생활][현대인 건강과 운동][현대인의 건강과 ...
보디빌더(보디빌딩, 헬스)의 보충제, 보디빌더(보디빌딩, 헬스)의 필수 영양소, 보디빌더(보...
요통과운동처방
[지질, 비만, 지질분류, 혈중지질, 콜레스테롤]지질과 비만, 지질과 지질분류, 지질과 혈중지...
한국민족운동사_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의 특징과 의의
kcu운동과 비만 과제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 ROM)] Range of Motion 모든 것 - Range of Motion 개념과 ...
[2017년 생활과건강]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당뇨합병증 급성 만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