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남는다. 1925년 미국에서 일어났던 어떤 회오리는 큰 판자를 나무 줄기에 박히게 했는데 판자 끝에 사람이 하나 매달려도 끄덕 없을 만큼 튼튼하게 박혀 있었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최근의 용오름 현상은 1988년 10월 18일 울릉도 근해에서 관측되었다. 해상에서 물기둥을 이루며 30분 정도 계속되었으나 그가 보통의 토네이도 강도에 미치지 못했고, 육지에 상륙하지 않아 별다른 피해가 없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지만, 회오리는 본질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우며 지표 위를 끊임없이 소용돌이치며 불고 있는 여러 가지 바람 중에서 가장 짧지만 가장 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우리 나라에서 발생된 대표적인 용오름 현상
실 례
발생일시 : 1988. 10. 18, 10:40 ∼ 11:10
발생장소 : 울릉도
발생 전 상황
바 람 : ENE 0.7㎧
하늘상태 : Cu가 1∼2할 가량
해수온도 : 19.4℃
발생시기 상황
바 람 : Ne 5∼6㎧로 증가
하늘상태 : Cu에서 Cb로 변함
발생장소 : 울릉도 도동 남동쪽 1㎞ 해상
이동거리 : 북동쪽으로 약 800m
용오름 높이 : 약 500m
기둥직경 : 최소 10∼20m
일기도 자료
※ 관련 사진
우리 나라에서 가장 최근의 용오름 현상은 1988년 10월 18일 울릉도 근해에서 관측되었다. 해상에서 물기둥을 이루며 30분 정도 계속되었으나 그가 보통의 토네이도 강도에 미치지 못했고, 육지에 상륙하지 않아 별다른 피해가 없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지만, 회오리는 본질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우며 지표 위를 끊임없이 소용돌이치며 불고 있는 여러 가지 바람 중에서 가장 짧지만 가장 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우리 나라에서 발생된 대표적인 용오름 현상
실 례
발생일시 : 1988. 10. 18, 10:40 ∼ 11:10
발생장소 : 울릉도
발생 전 상황
바 람 : ENE 0.7㎧
하늘상태 : Cu가 1∼2할 가량
해수온도 : 19.4℃
발생시기 상황
바 람 : Ne 5∼6㎧로 증가
하늘상태 : Cu에서 Cb로 변함
발생장소 : 울릉도 도동 남동쪽 1㎞ 해상
이동거리 : 북동쪽으로 약 800m
용오름 높이 : 약 500m
기둥직경 : 최소 10∼20m
일기도 자료
※ 관련 사진